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2)
- 저자
- 송창용 민숙원 장광남 최현식 박혜진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22-0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2.12.31
- 등록일
- 2023.02.22
주제어
K-CESA, 핵심역량, 인공지능, 교육과정, 고등교육, 인재양성, 교육평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K-CESA
요 약_xi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K-CESA 진단 사업 체계 6 제3절 2022년 K-CESA 주요 사업 내용 16 제2장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현황_21 제1절 K-CESA 진단 참여 대학과 학생 현황 23 제2절 K-CESA 핵심역량 수준 27 제3절 소결 66 제3장 대학생 유형에 따른 핵심역량 수준 분석_67 제1절 K-CESA 진단 참여 학생 유형 구분 개요 69 제2절 K-CESA 진단 참여 학생 유형별 역량 수준 분석 73 제3절 소결 145 제4장 종합적 사고력 신규 문항 타당도 조사_147 제1절 조사 목적과 필요성 149 제2절 조사 방법 151 제3절 조사 결과 161 제4절 소결 185 제5장 K-CESA 신규판형 운영 및 안정화_191 제1절 K-CESA 신규판형 운영 준비 및 시스템 개선 193 제2절 K-CESA 신규판형 문항 변동 사항 및 운영현황 197 제3절 소결 199 제6장 K-CESA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진단평가 고도화_201 제1절 K-CESA 진단평가 방식 고도화 필요성: 서술형, 수행형 문항의 평가방식을 중심으로 203 제2절 K-CESA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진단평가 고도화 방식 205 제3절 K-CESA 진단평가 고도화 결과: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중심으로 210 제4절 소결 223 제7장 향후 계획_225 참고문헌_231
<표 1-1> K-CESA 사후 설명회 진행 현황 20 <표 2-1> K-CESA 진단 참여 대학 현황 24 <표 2-2> K-CESA 진단 참여 학생 현황 26 <표 2-3> 핵심역량별 K-CESA 점수 29 <표 2-4> 자기관리역량 점수(전체) 32 <표 2-5> 자기관리역량 점수(수도권) 33 <표 2-6> 자기관리역량 점수(비수도권) 34 <표 2-7> 대인관계역량 점수(전체) 38 <표 2-8> 대인관계역량 점수(수도권) 39 <표 2-9> 대인관계역량 점수(비수도권) 40 <표 2-10>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전체) 44 <표 2-11>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수도권) 45 <표 2-12>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비수도권) 46 <표 2-13> 글로벌역량 점수(전체) 50 <표 2-14> 글로벌역량 점수(수도권) 51 <표 2-15> 글로벌역량 점수(비수도권) 52 <표 2-16> 의사소통역량 점수(전체) 56 <표 2-17> 의사소통역량 점수(수도권) 57 <표 2-18> 의사소통역량 점수(비수도권) 58 <표 2-19> 종합적 사고력 점수(전체) 62 <표 2-20> 종합적 사고력 점수(수도권) 63 <표 2-21> 종합적 사고력 점수(비수도권) 64 <표 3-1> 참여 학생 분포 71 <표 3-2> 유형 구분 72 <표 3-3> 출신 고등학교 유형 74 <표 3-4>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K-CESA 점수 74 <표 3-5>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77 <표 3-6>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78 <표 3-7>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79 <표 3-8>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글로벌역량 점수 80 <표 3-9>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81 <표 3-10>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82 <표 3-11> 입학 전형 방법 83 <표 3-12> 입학 전형 방법별 K-CESA 점수 84 <표 3-13> 입학 전형 방법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87 <표 3-14> 입학 전형 방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88 <표 3-15> 입학 전형 방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89 <표 3-16> 입학 전형 방법별 글로벌역량 점수 90 <표 3-17> 입학 전형 방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91 <표 3-18> 입학 전형 방법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92 <표 3-19> 진로 계획 93 <표 3-20> 진로 계획별 K-CESA 점수 94 <표 3-21> 진로 계획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96 <표 3-22> 진로 계획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97 <표 3-23> 진로 계획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98 <표 3-24> 진로 계획별 글로벌역량 점수 99 <표 3-25> 진로 계획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100 <표 3-26> 진로 계획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101 <표 3-27> 학점 평균 102 <표 3-28> 학점별 K-CESA 점수 103 <표 3-29> 학점별 자리관리역량 점수 105 <표 3-30> 학점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106 <표 3-31> 학점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107 <표 3-32> 학점별 글로벌역량 점수 108 <표 3-33> 학점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109 <표 3-34> 학점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110 <표 3-35> 가정 경제 사정 112 <표 3-36> 가정 경제 사정별 K-CESA 점수 112 <표 3-37> 가정 경제 사정별 자리관리역량 점수 115 <표 3-38> 가정 경제 사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116 <표 3-39> 가정 경제 사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117 <표 3-40> 가정 경제 사정별 글로벌역량 점수 118 <표 3-41> 가정 경제 사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119 <표 3-42> 가정 경제 사정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120 <표 3-43> 학비 조달 방법 121 <표 3-44> 학비 조달 방법별 K-CESA 점수 122 <표 3-45> 학비 조달 방법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125 <표 3-46> 학비 조달 방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126 <표 3-47> 학비 조달 방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127 <표 3-48> 학비 조달 방법별 글로벌역량 점수 128 <표 3-49> 학비 조달 방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129 <표 3-50> 학비 조달 방법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130 <표 3-51> 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 132 <표 3-52> 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K-CESA 점수 132 <표 3-53> 자기관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134 <표 3-54>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136 <표 3-55>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138 <표 3-56> 글로벌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글로벌역량 점수 140 <표 3-57> 의사소통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142 <표 3-58> 종합적 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종합적 사고력 점수 144 <표 4-1> 종합적 사고력 검사 타당화 분석 대상 153 <표 4-2> Working Memory Test 및 Fluid Reasoning Test 분석 대상 154 <표 4-3> 종합적 사고력의 평가 요소 155 <표 4-4> 종합적 사고력 검사 신규 문항 유형 156 <표 4-5> 종합적 사고력 검사(5판형) 구성 157 <표 4-6> 본조사 문항 기술통계(N=733) 162 <표 4-7> 1 요인 모형 모형 적합도 163 <표 4-8> 1 요인 모형 요인부하량 165 <표 4-9> 본조사 문항 기술통계(N=733) 168 <표 4-10> 재채점 전후 변별도 및 신뢰도 변화 169 <표 4-11> 1 요인 모형 모형 적합도 169 <표 4-12> 1 요인 모형 요인부하량 171 <표 4-13> 성별 구분에 따른 측정 모형의 적합도 173 <표 4-14> 성별 구분에 따른 측정동등성 모형의 적합도 비교 174 <표 4-15> 대학 소재지 구분에 따른 형태 동등성 검증 176 <표 4-16> 대학 소재지 구분에 따른 측정동등성 모형의 적합도 비교 177 <표 4-17> 종합적 사고력(5판) 검사와 적성검사 간 상관관계(N=201) 178 <표 4-18> 대학 소재지별 검사 결과 비교(N=733) 180 <표 4-19> 대학 소재지별 성취수준 분포 비교(N=733) 181 <표 4-20> 학년별 검사 결과 비교(N=733) 182 <표 4-21> 학년별 성취수준 분포 비교(N=733) 184 <표 5-1> K-CESA 신규판형 도입에 따른 시스템 개선 사항 196 <표 5-2> K-CESA 신규판형 구성요인 및 문항유형 198 <표 6-1> Bert 학습 결과 209 <표 6-2> 연도별 의사소통(쓰기)역량 채점 현황 210 <표 6-3> 2018~2021년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총점 부여 현황 211 <표 6-4> 2018~2021년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언어의 정확성 점수 부여 현황 212 <표 6-5> 2018~2021년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표현의 적절성 점수 부여 현황 213 <표 6-6> 2018~2021년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논리적 연결성 점수 부여 현황 214 <표 6-7> 2018~2021년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목적부합성 점수 부여 현황 215 <표 6-8> 2018~2021년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효율성 점수 부여 현황 216 <표 6-9> 최근 4개(2018~2021) 연도 쓰기 영역 채점 분석 결과 218 <표 6-10> 2018년도 쓰기 영역 채점 분석 결과 219 <표 6-11> 2019년도 쓰기 영역 채점 분석 결과 220 <표 6-12> 2020년도 쓰기 영역 채점 분석 결과 221 <표 6-13> 2021년도 쓰기 영역 채점 분석 결과 222 <표 7-1> K-CESA 향후 운영 계획 229 [그림 1-1] K-CESA 사업 추진 체계 10 [그림 1-2] K-CESA 기본 구조 15 [그림 2-1] 자기관리역량 점수(2022) 35 [그림 2-2] 대인관계역량 점수(2022) 41 [그림 2-3]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2022) 47 [그림 2-4] 글로벌역량 점수(2022) 53 [그림 2-5] 의사소통역량 점수(2022) 59 [그림 2-6] 종합적 사고력 점수(2022) 65 [그림 4-1] Working Memory Test 검사 화면 158 [그림 4-2] 1 요인 모형 요인분석 결과 164 [그림 4-3] 종합적 사고력(5판) 검사 SET01-7번 문항 167 [그림 4-4] 1 요인 모형 요인분석 결과 170 [그림 4-5] 학년별 점수 추이 그래프 183 [그림 6-1] 무맥락 응답 검출 과정 순서도 206 [그림 6-2]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답안 길이 히스토그램 207 [그림 6-3] 의사소통역량 쓰기 영역 평가 점수 밀도표 20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2) | 2022.01.01~202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