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취약청소년의 자립과 취업지원 방안(2022): 다문화청소년

Study for Support Plans for Self-Reliance and Employment of Disadvantaged Youths (2022): Multicultural Youths
저자
변숙영 한상근 유진영 이정민 김호진 최영렬 이수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1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1
등록일
2023.02.27
주제어
취약청(소)년, 시설보호청소년, 자립, 취업 지원, 진로탐색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방법 및 내용	10
제2장  이론적 배경_21
제1절 다문화청소년 현황과 특성	23
제2절 다문화청소년 자립 및 취업 지원 현황과 특성	40
제3장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및 취업지원 실태_55
제1절 다문화청소년 자립 및 진로·취업 준비도 진단	57
제2절 다문화청소년 면담	99
제3절 국내외 다문화청소년 진로 및 취업지원 사례	125
제4장  다문화청소년의 자립과 취업지원 요구_177
제1절 관계자 FGI	179
제2절 델파이 조사	196
제5장  다문화청소년의 자립과 진로·취업지원 방안_213
제1절 사회·문화적 적응을 돕는 다문화청소년 자립 지원	217
제2절 다문화청소년 맞춤형 진로·취업 지원	229
제3절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한 법제 구축 및 문화 형성	242
참고문헌_263
부 록_279
1.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및 진로 관련 인식 조사	281
2. 다문화청소년의 자립과 취업지원 방안 도출을 위한 
델파이 조사	295
이 연구는 3년간 추진되는 ‘취약청년의 자립과 취업 지원 방안’의 2차년도(2022년) 연구로,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및 취업 실태와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자립과 취업 지원 정책 제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의 실질적인 사회적·경제적 자립을 돕고,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Multicultural youths desperately need social and economic self-reliance to grow into healthy members of society, but they are in a blind spot of support due to various constraints. The diversity of multicultural youth in domestic communities is increasing and their support needs are becoming more complex. Support for these youth should consider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to help them achieve social and economic self-reliance. Multicultural youth often struggle with adapting to Korean society due to various challenges such as social prejudice, limited Korean language skills, economic difficulties within their families, a lack of supportive systems, difficulties adjusting to Korean culture, low academic achievemen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youth immigrating midway, and low career competence. In particular, they need specialized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to ensur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romote stable growth. This study aims to develop support plans for the self-reliance and employment of multicultural youth who are considered disadvantaged in the second year (2022) of a three-year plan focused on supporting the self-reliance and employment of vulnerable youth. This plan specifically aims to provide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to ensur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romote stable growth for multicultural youth. ...
<표 1-1> 다문화 배경 청소년 개념	8
<표 1-2> FGI 및 개별면담 주요 내용 	15
<표 1-3> 시설보호청소년 진단검사의 구성 및 신뢰도	16
<표 1-4> 델파이 조사 주요 내용 	17
<표 1-5> 세미나 주요 내용 	18
<표 2-1> 다문화학생 유형	24
<표 2-2> 다문화 배경 청소년의 개념	25
<표 2-3> 국내 다문화청소년 자립 및 취업 관련 법령	27
<표 2-4> 정부부처 다문화청소년 관련 정책 기본계획(2018~2022)	30
<표 2-5> 다문화청소년 현황	32
<표 2-6> 다문화청소년 유형별·학교급별 현황	33
<표 2-7> 다문화가정 청소년 학업 중단 현황	38
<표 2-8> 18세 이상 다문화 2세대 생애주기 관련 지원서비스 수혜 현황 및 요구 	43
<표 2-9> 다문화가족 자녀의 진로 관련 지원 요구	47
<표 3-1> 시설보호청소년 진단검사의 구성 및 신뢰도	59
<표 3-2> 자립진단검사의 내용 타당도 평가전문가 의견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구성	61
<표 3-3> 다문화청소년 대상 ‘자립 기술’ 문항 내용 타당도 및 수정 문항	64
<표 3-4> 다문화청소년 대상 ‘진로 성숙도’ 문항 내용 타당도 및 수정 문항	65
<표 3-5> 다문화청소년 응답자 일반적 특성(N=238)	68
<표 3-6>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	71
<표 3-7>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수준	80
<표 3-8>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T 점수 분포	81
<표 3-9> 국내외 출생별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T 점수 분포	82
<표 3-10> 다문화청소년의 희망 직업	91
<표 3-11>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탐색 준비 행동 특성	92
<표 3-12> 면담 참여 청소년 특성	99
<표 3-13> 다문화청소년 주요 면담 항목(학생용)	100
<표 3-14> 사례 분석 항목	126
<표 3-15> 충남 ○○고등학교 한국어 교육 과정 운영 목표 및 방침	128
<표 3-16> 충남 ○○고등학교 교과 운영	129
<표 3-17> 충남 ○○고등학교 2022년 국제문화반 구성	130
<표 3-18> 충남 ○○고등학교 2022학년도 1학기 국제문화반 학습 내용	130
<표 3-19> 광주 ○○고 다문화학생 규모	135
<표 3-20> 광주 ○○고의 지원사업명 및 지원 내용	136
<표 3-21> 북방지역 교포 자녀 초청 기술교육의 주요 운영 방침	141
<표 3-22> 북방 4개국 유학생 초청 현황	143
<표 3-23> 이주배경청소년재단 ‘레인보우스쿨’	145
<표 3-24> 2010~2020년 이주배경(Migrationsstatus) 주민 수	158
<표 3-25> 난민청소년, 이주자, 이민자를 위한 독일연방 프로그램 개관	165
<표 3-26>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이주배경 인구 수 	169
<표 3-27> 미국의 다문화 교육 지원 정책	170
<표 3-28> 덴버 공립 고등학교의 CTE SERVE	171
<표 3-29> 블랙스톤 밸리의 shop 프로그램	172
<표 4-1> FGI 참여자 특성	180
<표 4-2> 다문화청소년 관계자 FGI 주요 내용	180
<표 4-3> 다문화청소년의 강점과 약점	198
<표 4-4> 다문화청소년의 내부(개인) 위협 요인 합의 결과	199
<표 4-5> 다문화청소년의 외부 위협 요인 합의 결과	200
<표 4-6>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취업 준비 결정 제약 요인 합의 결과	201
<표 4-7> 다문화청소년 지원 정책 중요도 합의 결과	204
<표 4-8> 다문화청소년 지원 정책 및 서비스 연계 방안 및 향후 다문화청소년의 지원 방향에 대한 의견	205
<표 4-9> 다문화청소년의 내부(개인) 위협 요인 합의 결과	207
<표 4-10> 다문화청소년의 외부 위협 요인 합의 결과	207
<표 4-11>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취업 준비 시 제약 요인 합의 결과	208
<표 4-12> 다문화청소년 지원 정책 중요도 합의 결과	209
<표 4-13> 다문화청소년 지원 및 서비스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합의 결과	210
<표 5-1>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정서 및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의 예	226
<표 5-2>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안)	230
<표 5-3>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개발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 콘텐츠 개발(안)	232
<표 5-4> 커리어넷의 1:1 온라인 심화 진로상담 신청 현황(2021년)	233
<표 5-5>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사회배려 대상자를 위한 진로교육 관계자 연수 현황	235
<표 5-6> 다문화청소년 진로·취업지원 관련 정부부처 및 기관별 협력 사안	246
[그림 1-1] 연구 대상 다문화청소년 범주	9
[그림 1-2] 2021~2023 연구 추진 체계도	12
[그림 1-3] 2022년 연구 추진 체계도	19
[그림 2-1] 지역별 다문화학생 현황	34
[그림 2-2] 15~24세 다문화 2세대와 청소년 일반의 직종 비교	52
[그림 3-1] 다문화청소년의 국가 정체성에 따른 자립 기술 수준 	73
[그림 3-2] 외국인 부모의 출신 국가와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	75
[그림 3-3] 부모의 최종학력과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	76
[그림 3-4]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실력과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	78
[그림 3-5] 다문화청소년의 국가 정체성에 따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84
[그림 3-6] 외국인 부모의 출신 국가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태도 영역] 	86
[그림 3-7] 외국인 부모의 출신 국가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능력과 행동 영역] 	87
[그림 3-8] 부모의 최종학력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88
[그림 3-9] 부모의 한국어 실력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 	90
[그림 3-10] 진담검사 결과를 통해 확인한 다문화청소년의 필요(니즈)	96
[그림 3-11] 면담을 통해 확인한 다문화청소년의 필요(니즈)	124
[그림 3-12] 재류외국인 수의 추이와 일본 총 인구 중 점하는 비율의 추이	150
[그림 3-13] 일본어 지도가 필요한 아동·학생 수 추이	151
[그림 3-14] 일본 정부의 외국인 학생에 대한 교육 기본 방침	153
[그림 3-15] 일본 기후현 가니시의 지원 정책 사례	154
[그림 3-16] 이주배경이 있는 직업교육훈련 지원자 수(%) 	160
[그림 5-1]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및 진로·취업지원 방안	216
[그림 5-2] 지역별 국가 커뮤니티 활용·연계(안)	220
[그림 5-3] 중도 입국 다문화청소년 예비교육 전달 체계(안)	223
[그림 5-4] 커리어넷의 진로상담 화면	234
[그림 5-5] 사회적경제 기업의 다문화청소년 인턴체험과 취업지원(안)	24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취약청소년의 자립과 취업 지원 방안(2022): 다문화청소년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