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22)

저자
유명환 민숙원 최수현 이지은 박라인 곽은혜
분류정보
기본사업(2022-0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1
등록일
2023.03.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OECD 교육지표교육성과지표OECD INES LSO
요 약
제1장 사업 개요_1
	제1절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사업의 내용 및 추진 방법	6
	제3절 사업 추진 경과	8
제2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활동_11
	제1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13
	제2절 OECD 교육지표 2022	17
제3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_29
	제1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제27차 총회	31
	제2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제28차 총회	71
제4장 OECD 교육성과 지표: 이슈 분석_167
	제1절 부모의 소득수준이 자녀의 고등교육에 미치는 영향	169
	제2절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기간과 첫 일자리	198
제5장 사업성과 및 향후 개선 방안_245
	제1절 사업성과	245
	제2절 향후 개선 방안	247
참고문헌_249
○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및 향후 자료 지표자료집 구성을 위하여 OECD가 매년 요청하는 통계자료를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공하여 제공하고 지표와 관련된 수시 요청에 대응함.
○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연 2회 개최)에 참석하여 EAG 지표 검토 및 신규 지표 개발 작업 과정에 참여하여 OECD INES 총회에서 논의된 현안을 중심으로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 관련 동향 분석 자료를 도출함.
○ 교육 및 노동시장 연계에 관련한 국제통계 정보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의 개선 및 연구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며, 본원 연구원에게 OECD 총회 결과 및 최신 OECD 교육지표 성과 등 관련 이슈를 공유함.
○ LSO 총회의 주요 안건 중에서 보다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한 주제를 선정하여 이슈 분석을 하고, 그 내용을 전문가 포럼을 통해 공유함. EAG 2022의 중점 이슈인 고등교육(tertiary education)을 주제로 한 올해 이슈 분석은 두 가지 주제로, 첫째는 ‘부모의 소득수준이 자녀의 고등교육에 미치는 영향’이고, 둘째는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기간과 첫 일자리’임.
<표 2-1> OECD 교육지표 자료 수록 국가	14
<표 2-2> LSO 네트워크 총회 및 분과별 주요 활동	16
<표 2-3> 󰡔OECD 교육지표󰡕 구성(2022)	22
<표 2-4> EAG 2022: A4 지표 데이터 산출 방식	24
<표 2-5> 교육수준별 상대소득	26
<표 2-6> 중위소득 대비 소득수준 분포	27
<표 2-7> 교육수준별 남녀 소득 격차	28
<표 3-1> PIAAC 본조사 세부 일정	62
<표 3-2> 뉴질랜드와 노르웨이 사례	89
<표 3-3> 설문조사 일정표	105
<표 3-4> EAG 일정표	105
<표 3-5> EAG 2022 데이터 수집	114
<표 4-1> 데이터 구성	176
<표 4–2> 분석변수의 내용 	178
<표 4-3> 회귀분석 결과(모형1)	185
<표 4-4> 회귀분석 결과(모형2)	187
<표 4-5> 추가 분석 결과	188
<표 4-6> 성별 분석 결과	190
<표 4-7> 대학 종류 및 성별에 따른 졸업 후 첫 구직기간	201
<표 4-8> 첫 일자리 종사상 지위별 구직기간	202
<표 4-9> 평균 월 급여에 따른 첫 구직기간	204
<표 4-10> 전문대학 졸업생 분석표본 요약통계 	212
<표 4-11> 4년제 대학 졸업생 분석표본 요약통계	214
<표 4-12> 비례위험(proportional hazard) 모형 추정 결과:전문대학	216
<표 4-13> 비례위험(proportional hazard) 모형 추정 결과:4년제 대학	220
<표 4-14> 학력별, 성별 첫 일자리 근속기간	222
<표 4-15> 학력별, 전공별 첫 일자리 근속기간	223
<표 4-16> 첫 일자리 순간 퇴직률에 대한 비례위험(proportional hazard) 모형 추정 결과: 전문대학	228
<표 4-17> 첫 일자리 순간 퇴직률에 대한 비례위험(proportional hazard) 모형 추정 결과: 4년제 대학	233
<표 4-18> 첫 구직기간이 첫 일자리 질에 미치는 영향(로짓 모형)	238
[그림 3-1] 3차 교육을 받은 25~34세 비중 추이(2000년과 2021년)	37
[그림 3-2] 3차 교육을 받은 25~64세의 전공 분야 (2021년)	37
[그림 3-3] 학·석·박사 혹은 동등한 학위를 가진 젊은 여성과노년 여성 비율(2021년)	38
[그림 3-4] 각 국가의 지역별 3차 학력을 이수한 25~64세의 비율(2021년)	38
[그림 3-5] 25~29세의 NEET 추이 분석	39
[그림 3-6] VET 진로 경로 분석에 대한 작업도	41
[그림 3-7] 연구 분야별 3차 교육을 받은 성인의 취업률(2021년)	43
[그림 3-8] 3차 교육수준별 25~34세의 취업률(2021년)	44
[그림 3-9] 학력별 실업률 추이(2000-2021년)	44
[그림 3-10] 학력별 25~64세의 장기 실업자 비율(2021년)	45
[그림 3-11] 3차 교육을 받은 25~34세의 비경제 활동률(2021년)	45
[그림 3-12] 학력별 25~64세 성인의 상대적 소득(2020년)	46
[그림 3-13] 연구 분야별 고등교육을 받은 성인의 상대적 소득(2022년)	47
[그림 3-14] 0 및 마이너스 소득자 응답 비율	48
[그림 3-15] 학력별 평균 소득 절반 이하 성인 비율	49
[그림 3-16] 25~54세의 교육 정도별 주 1회 인터넷 이용 비율(2021년)	53
[그림 3-17] 고등교육을 받은 55~74세의 인터넷을 통해 전화 혹은영상 통화를 하는 비율(2019년과 2021년)	54
[그림 3-18] 고등교육을 받은 55~74세의 온라인에서 건강 관련 정보를찾는 비율(2019년과 2021년)	54
[그림 3-19]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타 문화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2018년)	55
[그림 3-20] 어머니의 교육 정도에 따른 학생들의 글로벌 사고방식(2018년)	55
[그림 3-21] 연령대별 재택근무 하는 성인 비율(2019~2021년)- 선택지1 	56
[그림 3-22] 교육 정도별 재택근무 하는 성인 비율(2019~2021년)- 선택지2	56
[그림 3-23] 미국 ISCED 전개도	74
[그림 3-24] 성별 직업교육훈련 참여자: 2017~18년, 2018~19년,2019~20년	76
[그림 3-25] CTE 직무체계도	77
[그림 3-26] 컬럼비아 특별구 CTE 구성도	79
[그림 3-27] 텍사스 CTE 구성도	80
[그림 3-28] 스웨덴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요	81
[그림 3-29] 스웨덴 직업교육 경로	82
[그림 3-30] 고등 직업교육, 2020/21학년도 학생 수	82
[그림 3-31] 2021학년도 학업 형태별 재학생 총수	84
[그림 3-32] 10대 전문 프로그램 자격	84
[그림 3-33] 졸업 후 3년간 상태(2016/17년도 졸업생)	85
[그림 3-34] 학력별 소득이 0과 마이너스인 정규직 근무 근로자 비율(25~64세)	90
[그림 3-35] 교육 및 근로자 유형별 정규직 상대소득(2020년)	90
[그림 3-36] 학력별 소득이 0 또는 마이너스인 정규직 근로자 비율(25~64세)	91
[그림 3-37] 학력별 소득이 0 또는 마이너스인 시간제 근로자 비율(25~64세)	91
[그림 3-38] 연령대 및 소득 범주별 상대적 소득(2020년)	92
[그림 3-39] 학력수준과 0 및 마이너스 소득자 포함에 따른 중위소득또는 그 이하 성인의 백분율	92
[그림 3-40] 모든 성인의 시간제/연간제 비상근 근로자 중 근로소득 및교육 수준별 비율	96
[그림 3-41] 학력별 시간제 아르바이트생의 실소득	97
[그림 3-42] 학력별 1인당 GDP 대비 시간제 아르바이트 근로자의실제 소득	97
[그림 3-43] 고등교육을 받은 25~34세 비중 추이(2000년, 2021년)	104
[그림 3-44] EAG 내 VET 유형: UOE	131
[그림 3-45] EAG 내 VET 유형: LSO	131
[그림 3-46] EAG 내 VET 유형: 젊은 청년과 노동시장에 대한 EU-LFS임시 모듈	132
[그림 3-47] 제안된 유형 분류체계	132
[그림 3-48] 기존 유형 분류체계와의 연관성	133
[그림 3-49] VET 이후 접근성	134
[그림 4-1] 부모의 소득에 따른 자녀의 학력 분포	171
[그림 4-2] 칠레의 소득분위별 고등교육 참여율	174
[그림 4-3] 자녀의 학력에 따른 부모의 소득 분포	181
[그림 4-4] 부모의 소득분위에 따른 자녀의 고등교육 수준	182
[그림 4-5] 자녀가 부모에게 기대하는 경제적 지원기간에 따른고등교육 수준	183
[그림 4-6] 2022년 설립 구분·소재지별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평균 등록금	192
[그림 4-7] 2022년 계열별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평균 등록금	194
[그림 4-8] 소득 상·하위 25% 학생들의 대학 시설 및 재정지원에 대한만족도 차이	195
[그림 4-9] 졸업 남성과 여성의 구직기간에 따른 취업 확률: 전문대학	207
[그림 4-10] 졸업 남성과 여성의 구직기간에 따른 취업 확률:4년제 대학	208
[그림 4-11] 취업 종류별 기저 위험함수(baseline hazard function):전문대학	217
[그림 4-12] 취업 종류별 기저 위험함수(baseline hazard function):4년제 대학	221
[그림 4-13] 임금수준에 따른 첫 일자리 근속 생존함수(전문대학)	225
[그림 4-14] 임금수준에 따른 첫 일자리 근속 생존함수(4년제 대학)	226
[그림 4-15] 기저 위험함수(baseline hazard function): 전문대학	230
[그림 4-16] 기저 위험함수(baseline hazard function): 4년제 대학	23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22)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