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2)
- 저자
- 윤수린 최지희 임건주 안유진 최다희 한종택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22-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2.12.31
- 등록일
- 2023.03.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UNESCO-UNEVOCURC 사업국제협력
영문 약어 요 약_ix 제1장 서 론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사업 내용 6 제3절 사업 추진 절차 및 방법 8 제2장 UNESCO-UNEVOC, 국제 및 국내 TVET 동향 분석_13 제1절 UNESCO-UNEVOC 현황 15 제2절 국제 및 국내 TVET 동향 25 제3절 국내외 TVET 동향의 시사점과 워크숍 추진 방향 55 제3장 워크숍 준비_57 제1절 워크숍 기획 및 어젠다 개발 59 제2절 워크숍 수요분석 및 주제 선정 66 제3절 워크숍 사전 준비 84 제4장 2022 UNEVOC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_95 제1절 워크숍 운영 97 제2절 워크숍 시사점 159 제5장 UNEVOC 네트워크 참여_167 제1절 UNESCO TVET 전략 2022-2029 169 제2절 UNEVOC 네트워크 회의 186 제6장 URC(2022) 사업의 성과 및 제언_191 제1절 URC(2022) 사업 성과 요약 193 제2절 동아시아·동남아시아 TVET 시사점 196 제3절 URC(2023) 사업의 방향 제언 198 참고문헌_209 부 록_215 1.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지역 TVET 우선순위 도출 및 워크숍 수요 조사를 위한 설문지 217 2.2022 동아시아·동남아시아 UNEVOC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포스터 229 3. 2022 동아시아·동남아시아 UNEVOC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만족도 조사(연사용) 230 4.2022 동아시아·동남아시아 UNEVOC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만족도 조사(참가자용) 232 5. URC 사업 연혁(2000~2021) 236
본 사업의 핵심 의도는 UNESCO-UNEVOC 회원센터 간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TVET 분야에서의 국제협력을 촉진하는 것이다. 특히,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로서 해당 지역의 TVET 정책 전문가들의 역량 개발과 우수 사례 공유를 통해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 국가의 TVET 정책 발전을 지원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RC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UNESCO-UNEVOC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로서, 지역 내 각 국가별 사례 조사를 통해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업데이트된 TVET 우선순위 영역과 이슈를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개최를 통해 지역 및 국가 간의 TVET 정책 현황을 공유하고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회원센터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자 한다. 셋째, 코로나19 상황의 지속으로 활성화된 온라인 지식 공유의 특징을 살려,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에서 논의된 사항을 온라인 연구 자료로 출간하여 직능연의 URC 사업 성과를 확산하고자 한다.
<표 1-1> 워크숍 개최 단계별 추진 내용 10 <표 1-1> 워크숍 개최 단계별 추진 내용 10 <표 1-2> 사업 추진 일정 12 <표 2-1> UNESCO-UNEVOC SDG4 세부 목표 16 <표 2-2> 지역별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현황 17 <표 2-3> 지역별 클러스터 및 UNEVOC 센터 세부 유형 18 <표 2-4> 동아시아・동남아시아 클러스터 UNEVOC 회원센터 21 <표 2-5>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2019~2021) 24 <표 2-6> UNESCO TVET 전략 2016-2021 주요 성과 26 <표 2-7> 교육 분야 유관기관 국제협력 사업 현황 49 <표 2-8> 고용・노동 분야 유관기관 국제협력 사업 현황 53 <표 3-1> UNESCO 베이징 사무소 자문협의회 내용 61 <표 3-2>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 TVET 우선순위 도출 및 워크숍 수요조사 65 <표 3-3> 조사 응답자 특성 66 <표 3-4> 국가 수준 TVET 정책 이슈 중요도 68 <표 3-4> 국가 수준 TVET 정책 이슈 중요도(국문) 69 <표 3-5> 기관 수준 TVET 정책 이슈 중요도 71 <표 3-5> 기관 수준 TVET 정책 이슈 중요도(국문) 73 <표 3-6> 국가 및 기관별 TVET 우선순위 주관식 응답 74 <표 3-6> 국가 및 기관별 TVET 우선순위 주관식 응답(국문) 75 <표 3-7> 워크숍 발표 희망 TVET 정책 이슈 80 <표 3-7> 워크숍 발표 희망 TVET 정책 이슈(국문) 81 <표 3-8> 워크숍 관련 주관식 응답 결과 82 <표 3-8> 워크숍 관련 주관식 응답 결과(국문 요약) 82 <표 3-9> 2022년 워크숍 세션 1 온라인 협의회 84 <표 3-10> 2022년 워크숍 세션 2 온라인 협의회 87 <표 3-11> 2022년 워크숍 세션 3 온라인 협의회 90 <표 3-12> 2022년 워크숍 세션 4 온라인 협의회 92 <표 4-1> 워크숍 콘셉트 노트 98 <표 4-2> 워크숍 첫째 날 프로그램 순서 99 <표 4-2> 워크숍 첫째 날 프로그램 순서(국문) 102 <표 4-3> 워크숍 둘째 날 프로그램 순서(국문) 103 <표 4-4> 워크숍 참여 등록자 현황 107 <표 4-5> 워크숍 기조연설(해리 스톨트) 요약 111 <표 4-6> 세션 1: 주제 발표 114 <표 4-7> 세션 1: 사례 연구 1 115 <표 4-8> 세션 1: 사례 연구 2 117 <표 4-9> 세션 1: 그룹 토론 질문 120 <표 4-10> 세션 2: 주제 발표 124 <표 4-11> 세션 2: 사례 연구 1 126 <표 4-12> 세션 2: 사례 연구 2 127 <표 4-13> 세션 2: 그룹 토론 질문 130 <표 4-14> 워크숍 특별 세션 1 133 <표 4-15> 세션 3: 주제 발표 136 <표 4-16> 세션 3: 사례 연구 1 137 <표 4-17> 세션 3: 사례 연구 2 139 <표 4-18> 세션 3: 그룹 토론 질문 143 <표 4-19> 세션 4: 주제 발표 146 <표 4-20> 세션 4: 사례 연구 1 147 <표 4-21> 세션 4: 그룹 토론 질문 149 <표 4-22> 워크숍 특별 세션 2 152 <표 4-23> 워크숍 참석자 요약 154 <표 4-24> 워크숍 해외 유관기관 참석자 155 <표 4-25> 워크숍 직능연 참석자 158 <표 4-26> 워크숍 국내 유관기관 참석자 158 <표 4-27> 워크숍 만족도 조사 항목 159 <표 4-28> 워크숍 만족도 조사 결과: 기본 항목 160 <표 4-29> 워크숍 만족도 조사 결과: 주제 및 내용, 행사 운영 161 <표 4-30> 향후 워크숍에 대한 제언 162 <표 5-1> UNESCO TVET 전략 2022-2029 주요 분야 170 <표 6-1> URC 워크숍 서면 자문 참여 명단 및 기관명 198 [그림 2-1] UNESCO-UNEVOC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소개 20 [그림 2-2] UNESCO ‘3-1’ 접근법 28 [그림 2-3] 학부 교육과정과 전문 과정 학생의 평균 나이 비교 30 [그림 2-4] 2022년 국제개발협력 추진 방향 52 [그림 3-1] 워크숍 어젠다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절차 60 [그림 3-2] UNESCO 베이징 사무소 자문협의회 사진 63 [그림 3-3] 한국과의 TVET 협력 희망 분야 순위 77 [그림 3-4] 기관별 워크숍 참석 예정 인원 78 [그림 3-5] 워크숍 희망 대주제 누적 가중치 79 [그림 3-6] 2022년 워크숍 세션 1 온라인 협의회 사진 87 [그림 3-7] 2022년 워크숍 세션 2 온라인 협의회 사진 89 [그림 3-8] 2022년 워크숍 세션 3 온라인 협의회 사진 91 [그림 3-9] 2022년 워크숍 세션 4 온라인 협의회 사진 94 [그림 4-1] 2022년 동아시아・동남아시아 UNEVOC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포스터 105 [그림 4-2] UNESCO-UNEVOC 공식 홈페이지 홍보 내용 106 [그림 4-3] 워크숍 개회사(류장수 원장) 109 [그림 4-4] 워크숍 축사(프리드리히 휴블러 박사) 110 [그림 4-5] 워크숍 참가자 기념사진 110 [그림 4-6] 워크숍 기조연설(해리 스톨트 박사) 112 [그림 4-7] 워크숍 세션 1 사진 122 [그림 4-8] 워크숍 세션 2 사진 132 [그림 4-9] 워크숍 특별 세션 1: READY 모델 134 [그림 4-10] 워크숍 세션 3 사진 145 [그림 4-11] 워크숍 세션 4 사진 151 [그림 4-12] 워크숍 특별 세션 사진 2 154 [그림 5-1] 콘퍼런스 단체 기념사진 176 [그림 5-2] 콘퍼런스 첫째 날 오전 프로그램 사진 178 [그림 5-3] 싱가포르 테마삭 폴리테크닉 마켓플레이스 사진 179 [그림 5-4] 콘퍼런스 첫째 날 오후 프로그램 사진 181 [그림 5-5] 콘퍼런스 둘째 날 프로그램 사진 185 [그림 5-6] UNEVOC 센터 서명식 기념사진 187 [그림 5-7] UNEVOC 네트워크 회의 사진 19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2) | 2022.01.01~202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