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비대면 교육훈련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Training
저자
김봄이 손규태 안선민 이은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2.12.31
등록일
2023.03.15
주제어
비대면, 온라인 교육, 교육 효과성, 학습 효과, 학습 전이
요 약_ix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8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0
제2장 비대면 교육훈련 관련 선행연구 분석_13
제1절 비대면 교육훈련의 개념적 규명	15
제2절 비대면 교육훈련의 효과성 관련 연구	31
제3절 소결	40
제3장 비대면 교육훈련 관련 해외 사례 분석_43
제1절 비대면 교육훈련 관련 국가 사례	46
제2절 비대면 교육훈련 관련 기업 사례 	60
제3절 소결	67
제4장 비대면 교육훈련의 현황 분석_73
제1절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를 활용한 비대면 교육훈련의 현황 분석	75
제2절 기업직업훈련 실태조사를 활용한 비대면 교육훈련의 현황 분석	89
제3절 소결	106
제5장 비대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_109
제1절 조사 개요	111
제2절 비대면 교육훈련의 효과성 분석 결과	112
제3절 소결	161
제6장 비대면 교육훈련에 대한 현장 의견 분석_169
제1절 비대면 교육훈련에 대한 FGI 및 인터뷰 조사 결과	171
제2절 소결	190
제7장 결론 및 제언_193
제1절 결론	195
제2절 정책제언	197
SUMMARY_207
참고문헌_209
부록_231
1. 기업 직업훈련 실태조사지(2020년 기준)	233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교육훈련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비대면 교육훈련 내실화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비대면 교육훈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비대면 교육훈련의 확대는 새로운 기술을 단순히 교육훈련에 도입하는 수동적 차원이 아니라, 복잡하고 다양한 교육 현안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체계적인 대안 마련을 통해 선도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대면 교육훈련의 대체성 및 보완성에 대해 분석하여 비대면 교육훈련의 속성과 향후 발전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육훈련 전략을 구축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unprecedented unique challenges to all types and levels of training(Cedefop, 2020). “Zoom, a video conferencing software, became the king of the quarantine economy” (Groskop, 2020). This remark accurately sums up how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digital and online) training, that had been already underway, has further accelerated amid worldwide closures related to the pandemic. In fact, even before the pandemic, many companies had begun to use digital and online training methods in training programs. The use of these methods was also growing for training programs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However, the rising demand for non-face-to-face training, driven by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is offering a strong momentum to the overall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ly available non-face-to-face training. In Korea, given the potential of non-face-to-face train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include remote training in the list of supported occupational training types since 1999.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remote training is assessed to be inadequately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train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spread of mixed training. ...
<표 2-1> 비대면 학습의 효과성 요인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16
<표 2-2>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20
<표 2-3> 코로나19 이후 학교 및 교육 현장의 비대면 교육	29
<표 2-4> 만족도 및 학습 성과 측면에서의 비대면 교육 효과성 선행연구	32
<표 2-5> 박윤희・장주희(2011) 설문 문항	33
<표 2-6> 김승보 외(2021) 설문 문항	36
<표 2-7> 고혜원 외(2020) 설문 문항	37
<표 2-8> 김남희・변숙영・최동선(2020) 설문 문항	38
<표 2-9> 장혜정 외(2021) 설문 문항	40
<표 4-1> 교육훈련 이수의 의무화 여부	77
<표 4-2> 최소 교육훈련 시간	78
<표 4-3> 1인당 연평균 교육훈련시간	78
<표 4-4> 교육훈련비용	79
<표 4-5> 1인당 교육훈련 투자 비용	80
<표 4-6> 교육훈련 계획 수립	80
<표 4-7> 직무능력향상 참여율 - ① 직무능력 향상 훈련	81
<표 4-8> 직무능력향상 참여율 - ② 경력개발 훈련	82
<표 4-9> 직무능력향상 참여율 - ③ 유지보수훈련	82
<표 4-10> 교육훈련 성과 - ① 직원직무능력	83
<표 4-11> 교육훈련 성과 - ② 노동생산성	84
<표 4-12> 교육훈련 성과 - ③ 회사 이미지	84
<표 4-13> 교육훈련 성과 - ④ 직원 의욕	85
<표 4-14> 교육훈련 성과 - ⑤ 직원 이직 방지	85
<표 4-15> 비대면 교육훈련 중요도	86
<표 4-16> 교육훈련 방법별 중요도	86
<표 4-17> 비대면 교육훈련 효과	87
<표 4-18> 교육훈련 방법별 교육효과	87
<표 4-19> 집체훈련 또는 원격훈련 교육훈련실시 기업 비중	92
<표 4-20> 교육훈련참여 근로자 비중(정부 지원)	94
<표 4-21> 교육훈련참여 근로자 비중(정부 미지원)	95
<표 4-22> 참여인원당 교육훈련비용(전체)	97
<표 4-23> 참여인원당 교육훈련비용(정부 지원)	98
<표 4-24> 참여인원당 교육훈련비용(정부 미지원)	99
<표 4-25> 인당 교육훈련 비용(전체)	101
<표 4-26> 인당 교육훈련 비용(정부 지원)	102
<표 4-27> 인당 교육훈련 비용(정부 미지원)	103
<표 4-28> 숙련에 대한 기업의 태도에 따른 교육훈련참여 근로자 비중	104
<표 5-1> 연구의 변수 및 측정도구	114
<표 5-2> 연구가설	121
<표 5-3> 기술통계(전체)	124
<표 5-4> 탐색적 표본 기술통계	126
<표 5-5> 탐색적 요인분석	128
<표 5-6> 확인적 표본 기술통계	129
<표 5-7> 측정모형 적합도 지수 평가	129
<표 5-8> 확인적 요인분석	130
<표 5-9> 인공지능 직종 표본의 기술통계	132
<표 5-10> 운전운송 직종 표본의 기술통계	133
<표 5-11> 보육/청소 직종 표본의 기술통계	134
<표 5-12> 신뢰도 분석	136
<표 5-13> 단일요인모형 적합도 지수 평가	137
<표 5-14> 잠재변인 간 상관관계(인공지능 직종)	138
<표 5-15> 잠재변인 간 상관관계(운전운송 직종)	138
<표 5-16> 잠재변인 간 상관관계(보육/청소 직종)	139
<표 5-17> 측정모형 적합도 지수 평가	141
<표 5-18> 확인적 요인분석(인공지능 직종)	142
<표 5-19> 확인적 요인분석(운전운송 직종)	143
<표 5-20> 수정된 잠재변인 간 상관관계(운전운송 직종)	144
<표 5-21> 수정된 확인적 요인분석(운전운송 직종)	144
<표 5-22> 수정된 측정모형 적합도 지수 평가	145
<표 5-23> 확인적 요인분석(보육/청소 직종)	145
<표 5-24>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 평가	146
<표 5-25> 잠재변인 간 경로계수(인공지능 직종)	148
<표 5-26> 잠재변인 간 경로계수(운전운송 직종)	150
<표 5-27> 잠재변인 간 경로계수(보육/청소 직종)	151
<표 5-28> 제안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 결과(인공지능 직종)	153
<표 5-29> 제안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 결과(운전운송 직종)	155
<표 5-30> 제안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 결과(보육/청소 직종)	157
<표 5-31> 매개효과 검정	159
<표 5-32> 가설 검정(인공지능 직종)	159
<표 5-33> 가설 검정(운전운송 직종)	160
<표 5-34> 가설 검정(보육/청소 직종)	161
<표 5-35> 변인 간 관계의 도식화	163
<표 6-1> 비대면 교육훈련에 대한 FGI 조사 개요	172
<표 6-2> 비대면 교육훈련에 대한 FGI 조사 결과 요약	191
<표 7-1> 비대면 교육훈련의 AS-IS vs. TO-BE 요약	196
<표 7-2> 비대면 교육훈련의 성과 제고를 위한 단기, 중기, 장기 전략 및과제	205
[그림 1-1] 기업교육 재개 시 고려 중인 교육형태	5
[그림 1-2] STEP 혼합훈련-유사 집체훈련 훈련 성과 비교	6
[그림 1-3]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훈련방식(1순위)에 대한 훈련교사-훈련생 비교 	6
[그림 1-4] 연구 범위 및 내용	9
[그림 2-1] 한국판 뉴딜 중 디지털 뉴딜	27
[그림 3-1] Skills Toolkit에서 제공하는 강의 정보 예시	47
[그림 3-2] National Retraining Scheme	49
[그림 3-3] 교육훈련 방법(지난 1년간)	50
[그림 3-4] 기업 규모별 교육훈련 방법(지난 1년간)	51
[그림 3-5] 지난 2~3년간 교육훈련 방법 변화	52
[그림 3-6] 디지털 기술의 활용 정도(2020년과 2021년 비교)	53
[그림 3-7] 기업 규모별 디지털 기술의 활용 정도	54
[그림 3-8] 지난 2~3년간 디지털 교육훈련 방법 변화	55
[그림 3-9] The France Université Numérique	56
[그림 3-10] SkillsFuture Month 이벤트	58
[그림 3-11] eCollege	60
[그림 4-1]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의 진행 과정 개요	76
[그림 4-2] 교육훈련실시 기업 비중(집체훈련 또는 원격훈련)	91
[그림 5-1] 연구모형	120
[그림 5-2] 연구모형 분석 결과(인공지능 직종)	149
[그림 5-3] 연구모형 분석 결과(운전운송 직종)	150
[그림 5-4] 연구모형 분석 결과(보육/청소 직종)	152
[그림 5-5] 수정모형 분석 결과(인공지능 직종)	154
[그림 5-6] 수정모형 분석 결과(운전운송 직종)	156
[그림 5-7] 수정모형 분석 결과(보육/청소 직종)	15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비대면 교육훈련의 효과성 연구 2022.01.01~202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