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탄소중립 성장을 위한 인재양성방안: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HR Development for Carbon-Neutral Growth: Focusing on the energy field
저자
황규희 유한구 채창균
분류정보
기본연구(2022-2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02.28
등록일
2023.05.08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주제어
연구개발 전문인력, 현장 기술인력, 원자력,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에너지 저장과 수소, 송배전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 체계와 연구 방법	7
제2장 탄소중립 추진과 인력양성_13
제1절 탄소중립 국내외 동향	15
제2절 탄소중립에 대응한 해외의 인력양성 사례	22
제3절 탄소중립에 대응한 한국의 인력양성 현황	49
제4절 탄소중립 추진에 따른 고용변화 전망	70
제3장 에너지 분야 기술변화와 인력 이슈_81
제1절 탄소중립과 에너지 분야	83
제2절 에너지 기술 변화	87
제3절 에너지 산업 현황	111
제4절 소결: 에너지 분야 인력 이슈	127
제4장 에너지 부문 인력양성 개선 요구조사_133
제1절 조사 계획	135
제2절 델파이조사 결과	141
제3절 개선 과제	160
제5장 인력양성 개선 방안_163
제1절 인력양성정책 방향성	165
제2절 에너지 인력양성 개선 시급 사항	173
제3절 에너지 인력양성 개선 중장기 방안	177
SUMMARY_181
참고문헌_194
부  록_201
...본 연구에서는 탄소중립에서 가장 첨예하게 제기되는 한편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의 원천이라고 여겨지는 에너지 부문의 인력 이슈에 주목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세부 영역별 인력양성 방안의 구체화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판단하며, 본 연구는 영역별 인력양성 방안의 구체화를 검토하고, 영역 간 차별화 및 우선순위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탈탄소사회로의 적극적인 이행을 통해 새로운 기회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인식아래, 에너지 부문 인력 이슈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전환(발전)과 송배전에 집중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에너지 세부 영역별 글로벌 기술변화 추이 및 국내 기술수준 분석. 산업현황 분석, 델파이조사를 통한 수요분석 등에 기반하여, 에너지 인력양성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에너지 부문 내 인력양성의 차별성을 고려하며, 인력양성 개선 시급 사항과 개선 중장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탄소중립을 기반으로 하는 지속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manpower issue in the energy sector, which is raised most acutely in carbon neutrality and is considered a source of new economic growth.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expansion of new opportunities can be promoted through active transition to a decarbonized society, in order to proactively respond to manpower issues in the energy sector, we will especially focus on energy transition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his study aims to bring the energy manpower develop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global technological trend and domestic technology level by detailed energy sector, the analysis of industrial status, and the demand analysis through Delphi surve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differentiation by energy sub-sector, we intend to present urgent matters for manpower development improvement and mid- to long-term plans for improvement. ...
<표 1-1> 연구 체계	8
<표 1-2> 에너지 기술별 델파이조사 대상	11
<표 1-3> 에너지 기술별 델파이조사 분야	12
<표 1-4> 델파이조사 내용	12
<표 2-1> 2050 탄소중립시나리오 총괄표	18
<표 2-2> 연도별 전원 구성(연말 정격용량 기준) 전망	20
<표 2-3> 연도별 전원구성(연말 실효용량 기준, 피크 기여도 반영) 전망	20
<표 2-4> 전원별 발전량 및 비중 전망	21
<표 2-5> 발전원별 정책 방향	21
<표 2-6> 에너지 인력양성 관련 2023년 예산안 현황	53
<표 2-7>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인력 양성사업	56
<표 2-8> 부처협업형 인재양성사업 ’23년 정부안 세부 내역	58
<표 2-9> 교육부의 대학지원 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비교	59
<표 2-10>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개요	60
<표 2-11> 탄소중립 특성화대학원 지원 내용	63
<표 2-12> 폐자원에너지특성화대학원 지원 내용	63
<표 2-13> 기후기술인재양성 시범사업 주요 내용	64
<표 2-14> 원전기업 인력육성 사업 개요	66
<표 2-15> 고준위방폐물관리 인력양성 주요 사업 개요	67
<표 2-16> 원자력안전연구 전문인력양성 사업 교육훈련 분야 주요 사업 개요	68
<표 2-17>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개요	69
<표 2-18> 저탄소 전환의 확산 여부 및 속도, 확산 시점	70
<표 2-19> 시나리오별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2020~2035)	73
<표 2-20> 대분류 기술수준별 직종별 에너지 기술인력 전망 결과	76
<표 2-21> 직종별 에너지기술인력 전망 결과	77
<표 2-22> 대분류 기술 및 학력 수준별 중장기 에너지기술인력 전망 결과	78
<표 3-1> 에너지 기술 기업 현황(2020)	85
<표 3-2> 기후기술 산업통계 감축 부문(2020)	86
<표 3-3> Y02E 에너지 전환 및 송배전	87
<표 3-4> 주요 특허DB에서 Y02E(에너지 전환 및 송배전) 추이	89
<표 3-5> Y02E(에너지 전환 및 송배전)의 그룹별 추이	90
<표 3-6> Y02E(에너지 전환 및 송배전) 내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	91
<표 3-7> Y02E(에너지 전환 및 송배전) 내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 표준화	91
<표 3-8> Y02E 10(재생에너지) 내 서브 그룹별 추이	95
<표 3-9> Y02E 30(원자력) 내 서브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	97
<표 3-10> Y02E 30(원자력) 내 서브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 표준화	97
<표 3-11> Y02E 40(송배전) 내 서브 그룹별 추이	99
<표 3-12> Y02E 60(에너지 저장) 내 내 서브 그룹별 추이	101
<표 3-13> 2020년 에너지 기술별, 매출액별 분포	111
<표 3-14> 2020년 에너지산업 기술 수준	112
<표 3-15> 2020년 에너지 기술별 종사자 직무 분포	114
<표 3-16> 2020년 에너지 기술별 종사자 학력 분포	115
<표 3-17> 2021년 에너지 기술인력 실태조사의 신재생 등 모집단	116
<표 3-18> 2021년 기술인력 현황	117
<표 3-19> 수소 생산 분류	126
<표 4-1> 델파이조사 대상자	136
<표 4-2> 델파이조사 대상자의 인적 분포	138
<표 4-3> 1차 델파이조사 설문 내용	139
<표 4-4> 2차 델파이조사 설문 내용	140
<표 4-5> 에너지 기술 수준 전망	142
<표 4-6> 에너지산업 수준 전망(현재=100)	143
<표 4-7> 에너지 인력수요 전망(현재=100)	144
<표 4-8> 1차 델파이조사 인력양성 방안 응답 결과	152
<표 4-9> 1차 델파이조사 결과를 반영한 2차 델파이조사 문항	154
<표 4-10> 인력양성 방안 대학 및 대학원 구분	156
<표 4-11> 에너지 분야별 대학 및 대학원의 인력양성 방안	157
<표 4-12> 에너지 분야별 정부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 방안	159
<표 4-13> 미래 전망 유형별 인력양성 수준	161
[그림 3-1] Y02E(에너지 전환 및 송배전) 내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표준화) 추이	92
[그림 3-2] Y02E(에너지 전환 및 송배전) 내 그룹별 추이	93
[그림 3-3] Y02E 10(재생에너지) 추이	94
[그림 3-4]Y02E 10(재생에너지) 내 서브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표준화) 추이	96
[그림 3-5] Y02E 30(원자력) 추이	97
[그림 3-6] Y02E 40(송배전) 추이	98
[그림 3-7] Y02E 40(송배전) 내 서브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표준화) 추이	99
[그림 3-8] Y02E 60(에너지 저장) 추이	100
[그림 3-9]Y02E 60(에너지 저장) 내 서브 그룹의 시점별 구성 비율(표준화) 추이	101
[그림 3-10] 태양광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03
[그림 3-11] 풍력발전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04
[그림 3-12] 원자력발전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05
[그림 3-13] 송배전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06
[그림 3-14] 전력 저장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07
[그림 3-15] 수소 제조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08
[그림 3-16] 수소 저장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09
[그림 3-17] 연료전지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110
[그림 3-18] 태양광 산업 공급망	118
[그림 3-19] 국내 태양광 설치 현황 및 동향	119
[그림 3-20] 풍력산업의 가치사슬 및 생태계 구조	120
[그림 4-1] 신규인력의 수준(100점 만점)	145
[그림 4-2] 대학 및 대학원의 교육 수준(100점 만점)	146
[그림 4-3] 기술-산업 전망 교차 분석(5년)	148
[그림 4-4] 기술-산업 전망 교차 분석(10년)	148
[그림 4-5] 기술-인력수요 전망 교차 분석(5년)	149
[그림 4-6] 기술-인력수요 전망 교차 분석(10년)	149
[그림 4-7] 산업-인력수요 전망 교차 분석(5년)	150
[그림 4-8] 산업-인력수요 전망 교차 분석(10년)	150
[그림 4-9] 대학 및 대학원의 인력양성 방안	155
[그림 4-10] 정부의 정책적・제도적 지원 방안	15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탄소중립 성장을 위한 인재양성방안: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2022.05.01~2023.02.28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