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데이터 기반 진로교육을 위한 커리어넷 데이터 구축 및 활용방안 모색

Exploratory Research to Build and Utilize Career-net data for Data-based Career Education
저자
최광성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0.05
등록일
2023.12.12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진로교육커리어넷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
	제2절 연구 내용 및 구성	7
제2장 진로정보망 유사사례 및 선행연구_9
	제1절 진로정보망 유사사례 검토	 11
	제2절 진로교육 분야 빅데이터 분석 관련 선행연구	34
제3장 커리어넷 구조분석 및 진로심리검사 기초분석_37
	제1절 커리어넷 구조분석	39
	제2절 커리어넷 진로심리검사 기초분석	46
제4장 커리어넷 데이터 활용 분석 사례-직업별 노동수요동향 분석_73
	제1절 인공지능(AI) 텍스트 분석 방법	77
	제2절 커리어넷 직업백과를 활용한 구인 정보 분류 모델	84
	제3절 주요 직업군별 구인 동향 분석	91
	제4절 향후 개선 방향	113
제5장 진로분야 데이터 구축 및 활용방안 모색_115
	제1절 개인맞춤형 진로정보서비스 필요성	117
	제2절 커리어넷 데이터 문제점 및 개선방향	120
	제3절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연계	123
	제4절 진로분야 데이터 활용방안	126
SUMMARY_129    
참고문헌_131    
부록_137
	[부록 1] 중·고등학생 진로심리검사 기초통계	139
	[부록 2] 대학생·일반 진로심리검사 기초통계	149
	[부록 3] 잡코리아 산업분류 및 매칭결과	160
본 연구에서는 커리어넷 데이터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데이터 기반의 진로교육을 위해 현재 축적되고 있는 커리어넷 데이터의 종류와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특히 데이터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커리어넷 데이터의 구조 및 현황 분석을 실시한다. 나아가 데이터 기반 진로분석의 일환으로 커리어넷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커리어넷을 비롯한 진로교육 분야의 데이터 구축 필요성 및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Career-net data and discusses ways to utilize this data. First, I review career information networks in other countries that are similar to Career-net. I look at how countries such as Japan, the U.S., Canada, and France provide career information. In addition, I identify the Career-net data structure for data-based career education. I conduct summary statistics and create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ification model using Career-net data and job posting data. These results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abor market situation by occupation on Career-net.
There is necessary to link various information in career eduction. For effective data management, Career-net data and education-related data should be linked. Furthermore, labor market information also needs to be linked and managed to career education data. Based on this integrated data, it is expected that advanced personalized career services can be provided.
<표 1-1> 2022년 진로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세부내용	5
<표 1-2> 커리어넷 주요 이용 실적	6
<표 2-1> Career One-stop의 흥미검사(Interest Assessment) 문항	17
<표 2-2> Career One-stop의 직업가치관검사(Work Values Matcher) 문항	19
<표 2-3> ONISEP Quiz 문항	27
<표 3-1> 커리어넷 직업백과 상세정보	45
<표 3-2> 진로심리검사별 이용건수 - 중학생	49
<표 3-3> 진로심리검사별 이용건수 – 고등학생	50
<표 3-4> 직업흥미검사(H형) 흥미유형별 성격특성과 대표직업	51
<표 3-5> 직업흥미검사(H형) 결과(T점수) - 중학생	52
<표 3-6> 직업흥미검사(H형) 결과(T점수) - 고등학생	52
<표 3-7> 직업적성검사 적성유형별 직업군	53
<표 3-8> 직업적성검사 결과(T점수) - 중학생	55
<표 3-9> 직업적성검사 결과(T점수) - 고등학생	55
<표 3-10> 진로성숙도검사 차원별 영역	57
<표 3-11> 진로성숙도검사 결과(T점수) - 중학생	57
<표 3-12> 진로성숙도검사 결과(T점수) - 고등학생	58
<표 3-13> 직업가치관검사 유형별 가치관	59
<표 3-14> 직업가치관검사 결과(원점수) - 중학생	60
<표 3-15> 직업가치관검사 결과(원점수) - 고등학생	60
<표 3-16> 진로개발역량검사 유형별 하위역량	61
<표 3-17> 진로개발역량검사 결과(T점수) - 중학생	62
<표 3-18> 진로개발역량검사 결과(T점수) - 고등학생	62
<표 3-19> 진로심리검사별 이용건수 – 대학생·일반	64
<표 3-20> 직업가치관검사 가치관별 특징과 직업선택	65
<표 3-21> 직업가치관검사 결과	66
<표 3-22> 진로개발준비도검사 능력평가유형	66
<표 3-23> 진로개발준비도검사 결과(T점수)	67
<표 3-24> 이공계전공적합도검사 능력평가 유형	68
<표 3-25> 이공계전공적합도검사 결과(T점수) - 전공효능감	69
<표 3-26> 이공계전공적합도검사 결과(T점수) - 전공직업흥미	69
<표 3-27> 주요능력효능감검사 주요능력	70
<표 3-28> 주요능력효능감검사 결과(T점수)	71
<표 4-1> 잡코리아 구인 글 DB 예시	89
<표 4-2> 전체 직업군에 대한 구인 동향	93
<표 4-3> 구인 글 직업 순위(1~10위)	94
<표 4-4> ‘조리사 및 주방장’에 대한 구인 동향	95
<표 4-5> ‘물류관리사’에 대한 구인 동향	96
<표 4-6> ‘상점판매원’에 대한 구인 동향	97
<표 4-7> 경영·사무·금융·보험직 구인 동향	99
<표 4-8> 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구인 동향	100
<표 4-9>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직 구인 동향	102
<표 4-10> 보건·의료직 구인 동향	103
<표 4-11>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구인 동향	105
<표 4-12>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구인 동향	106
<표 4-13> 영업·판매·운전·운송직 구인 동향	108
<표 4-14> 건설·채굴직 구인 동향	109
<표 4-15> 설치·정비·생산직 구인 동향	111
<표 4-16> 농림어업직 구인 동향	112
[그림 1-1] 학교급별 진로활동 만족도	4
[그림 2-1] Mynavi 홈페이지	12
[그림 2-2] My Career Study의 Match plus Action	12
[그림 2-3] Mynavi 진학 홈페이지	13
[그림 2-4] Mynavi 바이토 홈페이지	14
[그림 2-5] Mynavi 2024 홈페이지	15
[그림 2-6] Career One-stop의 흥미검사(Interest Assessment)	16
[그림 2-7] Career One-stop의 기술매칭검사(Skill Matcher)	18
[그림 2-8] My Future 홈페이지	20
[그림 2-9] My Future의 개인 프로필 서비스	21
[그림 2-10] My Future의 직업정보	22
[그림 2-11] 호주의 교육수준별 직업(자동차 분야 예시)	23
[그림 2-12] 호주의 자동차 분야 훈련 수준 및 요구조건	24
[그림 2-13] My Future의 산업전망 및 정보(건설업 예시)	25
[그림 2-14] ONISEP 홈페이지	26
[그림 2-15] Times Change의 4가지 전략	29
[그림 2-16] Times Change의 CAMP	31
[그림 2-17] Times Change의 교육 상담 프로그램	32
[그림 2-18] 워크넷 홈페이지	33
[그림 3-1]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홈페이지	40
[그림 3-2] 커리어넷 진로심리검사	41
[그림 3-3] 커리어넷 진로상담	43
[그림 3-4] 커리어넷 직업정보	44
[그림 3-5] 커리어넷 학과정보	46
[그림 4-1] 커리어넷 인공지능 모델 활용 방안 예시	76
[그림 4-2] 최근 LLM(모델의 크기가 10B 이상)의 타임라인	79
[그림 4-3] 커리어넷 직업백과 검색 화면	85
[그림 4-4] 커리어넷 직업백과 세부내용	86
[그림 4-5] 잡코리아 검색 화면	87
[그림 4-6] 잡코리아 채용공고 정보 예시	88
[그림 4-7] 분석 프로세스	9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데이터 기반 진로교육을 위한 커리어넷 데이터 구축 및 활용방안 모색 2023.04.06~2023.10.05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