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취업자 수 전망 6
<표 1-2> 연도별 국내 대졸자 대비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중 변화 (2018~2022) 9
<표 2-1> 응답자의 성별 분포 16
<표 2-2> 응답자의 전공분류별 분포 16
<표 2-3> 응답자의 연령별 분포 17
<표 2-4> 응답자의 지역·권역별 분포 18
<표 2-5> 응답자의 성별·전공분류별 분포 20
<표 2-6> 응답자의 성별·지역별 분포 21
<표 2-7> 응답자의 성별·연령별 분포 22
<표 2-8> 응답자 특성별 박사과정 진학의 주된 이유 24
<표 2-9> 응답자 특성별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전념 여부 28
<표 2-10> 응답자 특성별 휴학 경험 여부 30
<표 2-11> 응답자 특성별 휴학 사유 32
<표 2-12> 응답자 특성별 박사과정 중 총학비 지출 현황 34
<표 2-13> 응답자 특성별 박사과정 중 학술지 논문 게재 수 37
<표 2-14> 응답자 특성별 연구 프로젝트 참여 경험 39
<표 2-15> 응답자 특성별 경제활동 상태 42
<표 2-16> 응답자 특성별 종사상 지위 45
<표 2-17> 응답자 특성별 재직 중인 직장 유형 48
<표 2-18> 응답자 특성별 취업(예정)자의 직종 51
<표 2-19> 응답자 특성별 현재 연봉 수준 53
<표 2-20> 응답자 특성별 현재 업무와 박사과정 전공과의 관련 정도 55
<표 2-21> 응답자 특성별 선호하는 직장 유형(1순위) 57
<표 2-22> 응답자 특성별 직장 선택 시 고려사항 59
<표 2-23> 응답자 특성별 희망 연봉 61
<표 2-24> 응답자 특성별 해외 취업 및 이주 계획 63
<표 2-25> 응답자 특성별 박사후과정 확정 및 계획 67
<표 2-26> 응답자 특성별 박사후과정 후 한국으로 돌아올 계획 69
<표 2-27> 응답자 특성별 박사후과정 재원 71
<표 2-28> 응답자 특성별 희망 시간강사 유형 73
<표 2-29> STEM전공 분야 박사의 주요 특징 75
<표 3-1> 선행연구 요약 86
<표 3-2> 개인 특성 변수 90
<표 3-3> 노동시장 이행성과 변수 92
<표 3-4> 응답자 특성(전체 전공 영역, 2021~2023) 94
<표 3-5> 응답자의 노동시장 이행 현황(전체 전공 영역, 2021~2023) 96
<표 3-6> 응답자 특성(STEM전공) 98
<표 3-7> 연도별 STEM전공 박사의 인적 구성 변화 99
<표 3-8> STEM전공 박사의 전공 영역별 인적 구성 비교 100
<표 3-9> 진로확정비중 변화 103
<표 3-10> 개인 특성에 따른 학업전념 박사의 진로확정비중 비교 105
<표 3-11> 개인 특성에 따른 학업전념 박사의 학계·연구계로의 진로확정비중 비교 107
<표 3-12> 상용직 비중 변화 108
<표 3-13> 개인 특성에 따른 학업전념 박사의 상용직 비중 비교 110
<표 3-14> 정규직 비중 변화 111
<표 3-15> 개인 특성에 따른 학업전념 박사의 정규직 비중 비교 113
<표 3-16> 연 근로소득 분포 115
<부표 1> 전공별 기초통계량 131
<부표 2> 박사조사 설문 주요 내용 135
<부표 3> 국내 신규박사학위 취득자 조사 이행과정 137
[그림 1-1]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율 기준 상위 10대 직업(직업 중분류) 6
[그림 1-2] 연도별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수 변화(2018~2022) 7
[그림 1-3] 연도별 이공계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수 및 비중 변화 (2018~2022) 8
[그림 2-1] 박사과정 진학 이유 23
[그림 2-2]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유 26
[그림 2-3]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전념 여부 27
[그림 2-4] 휴학 경험 유무 29
[그림 2-5] 휴학 사유 31
[그림 2-6] 박사학위과정 중 총학비 지출 현황 33
[그림 2-7] 재원 조달 방법에 따른 박사과정 중 총학비를 충당하는 비중 35
[그림 2-8] 박사과정 중 학술지 게재 논문 수 36
[그림 2-9] 연구 프로젝트 참여 경험 38
[그림 2-10] 경제활동 상태 41
[그림 2-11] 구직계획이 없는 이유 43
[그림 2-12] 종사상 지위 44
[그림 2-13] 임금근로자의 근로 형태 46
[그림 2-14] 비정규직 중 박사후과정 또는 전업 시간강사 비율 47
[그림 2-15] 재직 중인 직장 유형 48
[그림 2-16] 현재 연봉 수준 52
[그림 2-17] 현재 업무와 박사과정 전공과의 관련 정도 54
[그림 2-18] 선호하는 직장 유형(1순위) 56
[그림 2-19] 직장 선택 시 고려사항 58
[그림 2-20] 희망 연봉 60
[그림 2-21] 해외 거주 계획 이유 64
[그림 2-22] 해외 취업 및 이주 국가 65
[그림 2-23] 박사후과정 확정 및 계획 66
[그림 2-24] 박사후과정 이수 계획 국가 68
[그림 2-25] 박사후과정 재원 70
[그림 2-26] 전업 시간강사 계획 72
[부도 1] 박사조사(2023)에 대한 협조 공문 139
[부도 2] 박사조사(2023) 설문지 국문 141
[부도 3] 박사조사(2023) 설문지 영문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