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교육 환경 변화와 직업계고 교사 전문성
Professionalism of Vocational Teachers in Future Education Environments
- 저자
- 김남희 이수정 박미희 이수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3-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3.10.31
- 등록일
- 2024.01.0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전문교과 교사교사 전문성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연구의 범위 12 제2장 선행연구 탐색_15 제1절 미래 교육 환경 변화 17 제2절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념 탐색 39 제3절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발 제도와 정책 58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77 제3장 직업교육 교사 전문성 관련 해외 사례_83 제1절 미국 85 제2절 싱가포르 98 제3절 오스트리아 106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11 제4장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념 타당화_115 제1절 델파이 조사 설계 117 제2절 델파이 조사 결과 124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41 제5장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발 면담조사_147 제1절 교사 면담 개요 149 제2절 초기 경력: 전문성 형성기 집단 150 제3절 산업체에서 교직으로: 전문성 전환기 집단 162 제4절 중기 경력: 전문성 확장기 집단 175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87 제6장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인식조사_191 제1절 조사 설계 193 제2절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구성영역 인식 197 제3절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하위영역 인식 209 제4절 전문성 개발 도움 정도와 장애요인 216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220 제7장 결론 및 논의_223 제1절 결론 225 제2절 정책제언 235 제3절 후속연구 제언 253 SUMMARY_255 참고문헌_259 부 록_283 1.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285 2.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298 3.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312 4. 델파이 조사 수정 대조표 339 5. 전문성 인식조사 설문지 349
본 연구는 직업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직업계고의 전문교과 교사들이 갖춰야 할 전문성이 무엇인지 개념과 구성영역을 도출하고, 전문교과 교사들은 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전문성 개발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궁극적으로는 전문가로서 미래의 직업계고 교사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며, 이러한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으로는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가를 모색해 보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교사 전문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2장), 해외 사례 분석(3장),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념 및 구성영역 타당화(4장),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5장, 6장)을 탐색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주요 정책제언(7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직업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직업계고의 전문교과 교사들이 갖춰야 할 전문성이 무엇인지 개념과 구성영역을 도출하고, 전문교과 교사들은 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전문성 개발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궁극적으로는 전문가로서 미래의 직업계고 교사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며, 이러한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으로는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가를 모색해 보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교사 전문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2장), 해외 사례 분석(3장),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념 및 구성영역 타당화(4장),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5장, 6장)을 탐색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주요 정책제언(7장)을 제시하였다.
Vocational teachers are commonly known as 'dual professionals' (Smith, 2019) because of their expected expertise in both teaching and their occupational field. However, the meaning of vocational teacher professionalism remains ambiguo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vocational teacher professionalism that is meaningful to policy makers and vocational teachers. This study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questionnair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to achieve its objectives. The following are the key findings: First, Reflecting on the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and future education agenda, three categories are identified to explain professionalism: expert knowledg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hese categories are crucial in defining professionalism in education. In the context of vocational education, expert knowledge is a dual structure that combines pedagogical and occupational knowledge. Second, The validity of the conceptual model of vocational teacher professionalism was confirmed using a Delphi survey. Vocational teacher professionalism comprises autonomy, responsibility, pedagogical expertise, and professional expertise. To enhance comprehension of pedagogical and occupational expertise, subdomains were suggested for both. ...
<표 1-1> 델파이 조사 차수별 개요 8 <표 1-2>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인식조사 개요 10 <표 1-3> 정책세미나 개요 10 <표 1-4> 중등학교 교원 구분 13 <표 2-1> 만 15~24세 경제활동인구와 실업자 수 현황 19 <표 2-2> 산업별 취업자 전망 21 <표 2-3> 산업별 만 24세 미만 고졸 근로자 수 23 <표 2-4> 12대 산업별 향후 1년 이내 고졸 채용 예상 인력 25 <표 2-5> 기업규모별 향후 1년 이내 고졸 채용 예상 인력 26 <표 2-6> 학습 나침반 구성요소의 주요 의미 31 <표 2-7> 직업교육훈련의 10대 미래 트렌드 34 <표 2-8> 직업계고 교사 자격유형별 현황 37 <표 2-9> 직업계고 기간제 교사 현황 38 <표 2-10> OECD(2016)의 교사 전문성 프레임워크 44 <표 2-11> 영국의 직업교육 교사 전문성 표준 51 <표 2-12> 전문교과 교사 대상 전문성 또는 역량 관련 국내 선행연구 54 <표 2-13> 전문교과 교사 대상 전문성 관련 해외 선행연구에서의 주요 강조점 57 <표 2-14> 직업계고 교사의 교원양성기관 유형별 현황(2022년 기준) 59 <표 2-15> 중등학교 정교사 2급 자격취득을 위한 이수과목 61 <표 2-16> 교사자격종별 자격 기준 62 <표 2-17> 산학겸임교사 자격 기준 63 <표 2-18> 중등교사 임용시험 유형 및 과목별 출제 범위 65 <표 2-19> 시도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문교과 2차 실기 평가 내용 66 <표 2-20> 교원 연수 운영 주체별 분류 71 <표 2-21> 경력 구간별 주요 자격연수 72 <표 2-22> 전문교과 부전공 연수 운영 결과 73 <표 2-23> 직업계고 교원 현장 직무연수 개설 현황(2020년 기준) 74 <표 2-24>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 관련 정책(2010~2023년) 75 <표 3-1> 미국 고교생이 받을 수 있는 CTE의 일반적인 유형 87 <표 3-2> 미국 CTE 교사 대안적 자격제도 93 <표 3-3> CTE 교사의 전문가적 기준 94 <표 3-4> CTE 교사 초기 교육 모형 96 <표 3-5> CTE 교사 경로 혁신 그랜트 프로그램의 내용 97 <표 3-6> 오스트리아 중등교육 고급과정의 교육기관 유형 106 <표 3-7> 미국, 싱가포르, 오스트리아, 한국의 직업교육 교사 전문성개발 비교 114 <표 4-1>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델파이 조사 전문가 패널 구성 현황 118 <표 4-2> 직업적 전문성 및 교육학적 전문성 하위영역 초기(안) 121 <표 4-3> 델파이 조사 차수별 개요 122 <표 4-4>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성 개념 타당화 125 <표 4-5>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구성영역 타당화 126 <표 4-6>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하위영역 타당화 127 <표 4-7>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성 개념 타당화 129 <표 4-8>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구성영역 타당화 130 <표 4-9> 2차 델파이 조사의 교사 전문성 하위영역 타당화 결과 132 <표 4-10>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전문성 개념 타당화 133 <표 4-11>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구성영역 타당화 135 <표 4-12> 3차 델파이 조사의 교사 전문성 하위영역 타당화 결과 137 <표 4-13> 전문성 보유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40 <표 4-14>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세부 개념 144 <표 5-1> 초기 경력 집단 면담 대상자 특성 152 <표 5-2> 산업체 경력 집단 면담 대상자 특성 163 <표 5-3> 중기 경력 집단 면담 대상자 특성 177 <표 5-4> 교사 면담 결과 요약 189 <표 6-1> 분석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95 <표 6-2>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인식조사 내용 196 <표 6-3> 전문교과 교사들의 전문성 보유도와 중요도 197 <표 6-4> 경력구간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198 <표 6-5> 전공계열별 직업적 전문성 ․ 교육학적 전문성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0 <표 6-6> 산업체 경험 유무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2 <표 6-7> 산학협력 업무 경험 유무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3 <표 6-8> 학교 설립유형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4 <표 6-9> 학교 소재지역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5 <표 6-10> 직업적 전문성에 대한 영향변인 분석 207 <표 6-11> 교육학적 전문성에 대한 영향변인 분석 208 <표 6-12> 직업적 전문성 하위영역의 보유도와 중요도 211 <표 6-13> 교육학적 전문성 하위영역의 보유도와 중요도 214 <표 6-14> 교원양성과정 및 정교사 1급 과정의 전문성 개발 도움 정도 217 <표 6-15> 입직 후 지속적인 학습 분야(복수응답) 218 <표 6-16> 직업적 전문성, 교육학적 전문성 개발의 장애요인(복수응답) 219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체계도 11 [그림 2-1] 경제성장률(1990~2022)과 향후 주요 전망(2023~2035) 18 [그림 2-2] 주요 산업별 향후 1년 이내 고졸 채용 예상 인력 변화 24 [그림 2-3] 직업별 AI 노출 정도 28 [그림 2-4] OECD의 학습 나침반 2030 30 [그림 2-5] 교사의 전문성의 개념 구조 43 [그림 2-6] 전문성의 형성 관계 45 [그림 2-7] 전문성(Expertise)의 수직적 전환(A)과 수평적 전환(B) 47 [그림 2-8] 직업교육학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 50 [그림 2-9]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개념 프레임워크 82 [그림 3-1] 미국 CTE 교사 자격제도 현황 91 [그림 3-2] 싱가포르 중등 및 고등 교육 체계 99 [그림 3-3] ITE Create 2020~2024 105 [그림 4-1]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 141 [그림 6-1] 경력구간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199 [그림 6-2] 전공계열별 직업적 전문성 ․ 교육학적 전문성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1 [그림 6-3] 학교 설립유형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4 [그림 6-4] 학교 소재지역별 전문성 구성영역 보유도 및 중요도 인식 206 [그림 6-5] 직업적 전문성 하위영역의 보유도와 중요도 212 [그림 6-6] 교육학적 전문성 하위영역의 보유도와 중요도 215 [그림 6-7] 전문성 보유도-중요도 Locus for Focus 모델 216 [그림 7-1] 전문교과 교사 전문성의 불균형 230 [그림 7-2] 전문성에 관한 기본 질문과 정책적 접근 23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미래 교육 환경 변화와 직업계고 교사 전문성 | 2023.01.01~2023.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