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특성화고의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in Vocational Education Specialized High Schools
저자
윤형한 옥준필 김신애 한애리 오관택 송낙현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0.31
등록일
2024.01.0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교육과정전문교과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 정의	13
제2장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관련 문헌 고찰_17
	제1절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개념	19
	제2절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 정책 및 제도	25
	제3절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관련 선행연구	40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62
제3장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실태 및 요구_71
	제1절 조사 개요	73
	제2절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실태 및 요구	75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07
제4장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쟁점_119
	제1절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전문교과 운영’의 쟁점	121
	제2절 ‘기초학력 강화를 위한 책임교육 운영’의 쟁점	133
	제3절 ‘적성과 진로에 연계된 학습 선택 운영’의 쟁점	154
	제4절 ‘다양한 학습경험을 위한 학교 밖 교육 운영’의 쟁점	165
제5장 특성화고의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 방안_181
	제1절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쟁점 대응 방향	183
	제2절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방안	202
	제3절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지원 방안	225
SUMMARY_255
참고문헌_267
부 록_279
	1. 설문 조사지	281
	2. 학교 특성별 교육과정 실행 중요도-난이도 인식	296
국가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모든 학교급의 일반적인 기준들, 특정 학교급의 편제, 시간(학점) 배당기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교육부, 2022c: 4)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2022년 12월 22일 고시)의 편성?운영 기준들을 고려하여 특성화고에서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하는 데 어떠한 어려움과 쟁점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실행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in Republic of KOREA present educational goals for each school level, including the vision of an educated person and key competencies pursued by the curriculum, standard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school-level curricula to implement this educational direction, and guidelines for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it contains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MPOE). In accordance with Section 2 of Article 23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nounced in December 2022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will apply specialized high schools in 20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issues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in vocational education specialized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organizing and operating standards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o prepare implementation, and support measures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prior research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surveyed the status and needs, set directions for responding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issues to derive measures to be implemented, and measures to be suppo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MPOE).
...
<표 1-1> 전문가 자문 협의회 운영 개요	9
<표 1-2> 설문 조사 내용	10
<표 1-3> 심층 면담 참여자 및 면담 내용	11
<표 1-4> 워킹그룹 운영 개요	12
<표 1-5> 전문가 세미나 개요	13
<표 1-6> 국가 교육과정 개정 시기 주요 용어 비교	15
<표 2-1> 교육과정 실행 양상	24
<표 2-2> 2022 개정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사항	28
<표 2-3> ‘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23.8)의 기초역량 관련 내용	39
<표 2-4> 특성화고 교사의 초과 이수 편성에 관한 인식	50
<표 3-1> 설문조사 응답자 소속학교 분표	74
<표 3-2>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 사항	74
<표 3-3> 향후 편성 희망 전문공통과목	76
<표 3-4> 전문공통과목 편성・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76
<표 3-5> 전문공통과목 편성・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77
<표 3-6> 기초과목・실무과목 연계 편성・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78
<표 3-7> 기초과목・실무과목 연계 편성・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79
<표 3-8> 전문교과 초과 이수학점 평균	80
<표 3-9> 전문교과 초과 이수 편성・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81
<표 3-10> 보통교과 편성 방향	82
<표 3-11>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단위이수학점 평균	82
<표 3-12> 보통교과 편성・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84
<표 3-13> 보통교과 편성・운영에 대한 지원 필요사항	84
<표 3-14> 공통과목의 대체 과목 편성・운영 여부	86
<표 3-15> 공통과목의 대체 과목 편성・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87
<표 3-16> 공통과목의 대체 과목 편성・운영 시 필요 지원사항	88
<표 3-17>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계획 시 고려사항	89
<표 3-18>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89
<표 3-19>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90
<표 3-20> 선택과목 개설 운영 여부	91
<표 3-21> 향후 고시 외 과목 운영 계획 및 운영 여부	93
<표 3-22> 고시 외 과목 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95
<표 3-23> 고시 외 과목 편성・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95
<표 3-24> 학교 밖 교육 프로그램 미운영 이유	99
<표 3-25> 현장실습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방법	101
<표 3-26> 현장실습 운영 유형	102
<표 3-27> 산학협력교육 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103
<표 3-28> 현장실습 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104
<표 3-29>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중요도 및 난이도	106
<표 4-1> 연도별 수능 직탐영역의 전문공통과목 선택 추세	124
<표 4-2>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전공과목 편성・운영 관련 근거	126
<표 4-3>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과목 수	130
<표 4-4>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초과 이수 편성・운영 관련 근거	131
<표 4-5> 공통수학1과 기본수학1의 성취기준(일부)	141
<표 4-6> 교육과정의 공통과목 대체 이수 근거 조항	143
<표 4-7> 교육과정의 선택과목 개설 운영 관련 근거 조항	155
<표 4-8>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자율편성단위(학점)의 변화	161
<표 4-9> 교육과정의 학교 밖 교육 운영 관련 근거 조항	165
<표 4-10> 직업계고 지역사회기관 현장실사 점검 항목	171
<표 4-11>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쟁점(전체)	178
<표 5-1>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전문교과 운영’ 쟁점 대응 방향	185
<표 5-2>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전문교과 운영’ 관련 쟁점 대응 내용	186
<표 5-3> ‘기초학력 강화를 위한 책임교육 운영’ 쟁점 대응 방향	191
<표 5-4> ‘기초학력 강화를 위한 책임교육 운영’ 쟁점 대응 내용	191
<표 5-5> ‘적성과 진로에 연계된 학습 선택 운영’ 쟁점 대응 방향	196
<표 5-6> ‘적성과 진로에 연계된 학습 선택 운영’ 쟁점 대응 내용	197
<표 5-7> ‘다양한 학습경험을 위한 학교 밖 교육 운영’ 쟁점 대응 방향	200
<표 5-8> ‘다양한 학습경험을 위한 학교 밖 교육 운영’ 쟁점 대응 내용	201
<표 5-9> 특성화고 교육과정 실행 방안 로드맵	203
<표 5-10>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융합 수업계획(사례)	211
<표 5-11> 특성화고 교육과정 실행 지원 방안 로드맵	226
<표 5-12> 공통과목의 대체 이수 과목 관련 근거 조항 개선	248
<표 5-13> 기술 변화에 따른 공동실습소의 역할 변화	250
[그림 1-1]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중점 개정사항	5
[그림 1-2] 연구의 수행 절차	16
[그림 2-1] 전문교과 교과(군) 및 기준학과의 변화	27
[그림 2-2]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30
[그림 2-3] ‘중등직업교육 발전 방안’(’23.8)의 8대 핵심 과제	38
[그림 2-4]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방향	41
[그림 2-5]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실행 방향별 실행 내용	44
[그림 2-6] 전문교과 과목 편제 개편	48
[그림 2-7] 직업계고의 수학 수업시간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	51
[그림 3-1] 전문공통과목 편성 시기	75
[그림 3-2] 실무과목의 주요 편성・운영 방향	78
[그림 3-3] 전문교과 초과 이수 편성・운영의 주요 이유	80
[그림 3-4] 전문교과 초과 이수 편성・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81
[그림 3-5] 인력양성유형에 맞는 보통교과 편성 여부	83
[그림 3-6] 공통과목의 적정 대체 과목에 대한 교사 인식	85
[그림 3-7] 공통과목의 대체 과목 미운영 이유	86
[그림 3-8]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실시 여부	88
[그림 3-9] 선택과목 개설 시 주요 고려 요소	91
[그림 3-10] 선택과목 개설 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92
[그림 3-11] 선택과목 개설 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92
[그림 3-12] 고시 외 과목 운영 방향	93
[그림 3-13] 고시 외 과목 운영 과목군	94
[그림 3-14] 자율편성단위(학점) 편성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	96
[그림 3-15] 자율편성단위(학점) 운영 시 주요 애로사항	97
[그림 3-16] 자율편성단위(학점) 운영 시 주요 지원사항	97
[그림 3-17] 학교 밖 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98
[그림 3-18] 학교 밖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식	98
[그림 3-19] 학교 밖 교육 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100
[그림 3-20] 산학협력교육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	100
[그림 3-21] 현장실습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	101
[그림 3-22] 산학협력교육의 지원 필요사항	104
[그림 3-23] 현장실습 운영 시 지원 필요사항	105
[그림 3-24] 특성화고 교육과정 실행 중요도 및 난이도	106
[그림 4-1] 특성화고의 전문공통과목 편성・운영 시기	123
[그림 4-2]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전문교과 운영’의 쟁점	133
[그림 4-3]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 이수학점(174학점) 구성	135
[그림 4-4] ‘기초학력 강화를 위한 책임교육 운영’의 쟁점	154
[그림 4-5] ‘적성과 진로에 연계된 학습 선택 운영’의 쟁점	164
[그림 4-6] 특성화고에서 채택한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모형	166
[그림 4-7] 학교 밖 교육 개설・운영 절차 및 기준	170
[그림 4-8] ‘다양한 학습경험을 위한 학교 밖 교육 운영’의 쟁점	178
[그림 5-1] 교육과정상 ‘교과 교육과정의 구조・설계’(예시)	206
[그림 5-2] 교과 교육과정 과목체계도(OO고 사례)	207
[그림 5-3] 개별 전공과목 간 연계도(OO고 사례)	207
[그림 5-4] 전문교과 초과 이수 과정 운영 흐름도(예시)	209
[그림 5-5] 과목별 연간 진도 운영계획(OO고 사례)	210
[그림 5-6]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안내 가정통신문(OO고 사례)	216
[그림 5-7] 학생의 진로에 따른 선택과목 이수학점(예시)	217
[그림 5-8] 특성화고 교육과정 실행 방안 로드맵	224
[그림 5-9] 특성화고 교육과정 실행 조건	225
[그림 5-10] ‘직업계고 학점제 추진계획’(’21.3.) 중 전환학기 내용	238
[그림 5-11] ‘직업교육과정 정보 제공・관리 플랫폼’의 주요 콘텐츠(안)	253
[그림 5-12] 특성화고 교육과정 실행 지원 방안 로드맵	25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특성화고의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2023.01.01~202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