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칼라’의 새로운 진로경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w career paths about ‘brown-collar’
- 저자
- 정윤경 한상근 김나라 안중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3-1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3.10.31
- 등록일
- 2024.01.0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브라운칼라진로경로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의 정의 19 제4절 연구의 제한 21 제2장 브라운칼라의 개념과 청년층 진로지원 정책 고찰_23 제1절 브라운칼라의 개념과 특성 25 제2절 청년세대의 특성과 진로인식 33 제3절 청년층을 위한 진로지원 정책 43 제4절 논의 및 시사점 84 제3장 브라운칼라의 특성 및 근무 여건_87 제1절 사례자 특성 및 생애 이력 89 제2절 일의 특성 및 유형 100 제3절 근무 여건 및 장단점 109 제4절 논의 및 시사점 118 제4장 브라운칼라의 진로경로, 성공 및 역경 경험_123 제1절 브라운칼라의 초기 과정 125 제2절 브라운칼라의 발전과 성장 143 제3절 브라운칼라의 위기와 극복 과정 151 제4절 브라운칼라의 직업가치, 역량, 향후 진로계획 158 제5절 브라운칼라의 정책 수혜 경험 및 요구사항 169 제6절 논의 및 시사점 174 제5장 브라운칼라의 새로운 진로경로 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_179 제1절 청년 및 중장년을 위한 국가·사회적 정책 과제 181 제2절 청소년을 위한 학교·교육적 정책 과제 191 Summary_199 참고문헌_203 부 록_219 [부록 1] 심층면담 조사지 221 [부록 2] 사례자(20명)의 생애 이력 그래프 228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년들의 다양한 도전을 지원하고 우리 사회의 진로다양성을 확보하는 방향에서 청년들의 직업에 대한 새로운 도전사례를 찾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청년층의 특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전에 대해 이해한다. 둘째, 기존 세대들이 외면했던 육체노동, 지적인 육체노동 등에서 새로운 분야를 발굴하고 개척하는 청년들의 사례를 탐색한다. 셋째, 브라운칼라 노동의 성격, 진로경로 등에 관한 분석을 통해 관련 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넷째, 청년층의 직업에 대한 새로운 도전의 내용과 전략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진로교육 및 직업교육의 재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cases of challenges to young people's jobs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in the direction of supporting various challenges of young people in Korea and securing career diversity in our society. In this study, 'brown-collar' is defined as people who have pioneered a new niche by incorporating creative ideas into existing blue-collar labor.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 young adults aged 18 to 43 years old.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literature review, field visits,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FGIs), expert councils, and seminar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th interviewees (20 in total), 7 of them are from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y and 13 from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industry. Most of them are founders (18), and their current work experience is short: 5 have been in business for 1 to 5 years, 10 for 7 to 9 years, and 5 for more than 10 years. Annual revenue varied by industry, and life satisfaction was generally high. The brown-collar stories are based on manual labor, but they bring a variety of creative ideas to their work. In addition to their basic work, they were performing multiple roles simultaneously, including marketing, product planning and branding, business management, and additional activities. They often productized and commercialized the outputs of their physical labor, put a lot of effort into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social media, and performed complex tasks. In addition, they utilized their expertise and IT skills to create unique products. Based on their work, four types of brown-collar workers were identified: (1) idea-seekers, (2) multi-taskers, (3) technology-driven, and (4) niche market pioneers. ...
<표 1-1> 심층면담 현황 9 <표 1-2> 심층면담 내용 11 <표 1-3> 초점집단면접(FGI) 개최 현황 14 <표 1-4> 전문가협의회 개최 현황 15 <표 1-5> 세미나 일정 및 내용 16 <표 2-1> 각종 칼라 직업의 의미 30 <표 2-2> 전 세계의 세대별 특성에 대한 요약 34 <표 2-3> 연령대별 이직 사유 – 경제활동인구조사(2022) 37 <표 2-4> 연령대별 추가 취업 및 전직 희망 이유 – 경제활동인구조사(2022) 38 <표 2-5> 직업군별 추가 취업 및 전직 희망 이유 – 경제활동인구조사(2022) 39 <표 2-6> 학력별 추가 취업 및 전직희망 이유 – 경제활동인구조사(2022) 40 <표 2-7> 연령대별 만족도, 성취 만족도, 스트레스 정도 – 사회조사(2022) 41 <표 2-8>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의 진로지원 관련 사업 내용 44 <표 2-9>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체계 47 <표 2-10> 대학 진로탐색학점제 운영 내용 요약 49 <표 2-11> 대학교의 파란학기제 참여 유형 개요 50 <표 2-12> 청년층 대상 디지털 기반의 진로지원 서비스 52 <표 2-13> 사이버진로교육센터의 청년층 대상 온라인 진로교육 54 <표 2-14> ‘일학습병행’의 대상 유형별 주요 운영사항 56 <표 2-15> ‘산업계 주도 청년 맞춤형 훈련’의 산업 분야별 참여기관 58 <표 2-16> ‘청년친화형 기업 ESG 지원’의 우수 운영사례 60 <표 2-17> ‘청년 일 경험 지원’의 유형별 프로그램 개요 62 <표 2-18> 정부부처별 지역·산업 분야 특화 일 경험 지원 사업(2023) 63 <표 2-19> ‘청년도전 지원사업’의 운영 프로그램별 지원사항 64 <표 2-20> 서울청년센터 ‘청년도전 지원사업’의 세부 프로그램 65 <표 2-2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 지원 내용 67 <표 2-22> 지역연계형 청년창업지원(넥스트 로컬사업) 단계별 지원 내용 71 <표 2-23> 청년후계농 사례 요약 72 <표 2-24> 일본 일반재단법인 전통공예품산업진흥협회의 2020년 공예산업디지털화/신상품 개발 관련 주요 사업 77 <표 2-25> Butler Valet School 2주 과정 교육 프로그램 79 <표 2-26> The International Butler Academy 교육 프로그램 80 <표 2-27> 푸드테크 산업 유형 81 <표 2-28> 미국 키친 인큐베이터 활성화된 상위 10개 지역 83 <표 3-1> 특성별 심층면담 사례자 현황 90 <표 3-2> 사례자의 사업체 규모 및 업무 수행경력 91 <표 3-3> 사례자의 생애 이력과 현재 직업 연관성 93 <표 3-4> 브라운칼라의 연구 대상자가 인식하는 장점 및 단점 120 <표 5-1> 일 체험 기회 및 정보 제공을 통해 브라운칼라 진로에 대한사회적 인식 개선 방안(안) 183 <표 5-2> 지방자치단체 청년정책 우수사례 186 <표 5-3> 브라운칼라 입직 희망자 및 종사자를 위한 취·창업 지원 강화 방안(안) 187 <표 5-4>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 대책(안) 190 <표 5-5> 브라운칼라에 관한 연구 및 진로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방안(안) 194 <표 5-6> 2022년 『진로와 직업』 교육과정(고등학교)에서 ‘진로와 나의 이해’성취기준 195 <표 5-7>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의 가치를 균형 있게 학습할 수 있는『진로와 직업』 교육과정 개편 방안(안) 196 <표 5-8> 브라운칼라 등 다양한 진로경로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진로인식 개선 방안(안) 198 [그림 1-1]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18 [그림 2-1] 브라운칼라의 4가지 유형 28 [그림 2-2] 노동력의 4가지 수준 29 [그림 2-3] 2030 세대를 대상으로 기술직에 대한 직업 가치관 조사 결과 36 [그림 2-4] 연도별 직업군별 취업자 비율 – 경제활동인구조사(2018~2022) 42 [그림 2-5] 청년내일채움공제 개요 69 [그림 3-1] 도배 이○석(37세, 남) 씨 청년기 생애 이력 그래프(역경 극복형) 96 [그림 3-2] 공예 안○우(40세, 남) 씨 청년기 생애 이력 그래프(우상향형) 97 [그림 3-3] 농업 정○훈(39세 남) 씨 청년기 생애 이력 그래프(굴곡형) 98 [그림 3-4] 배관 신○희(35세, 여) 씨 청년기 생애 이력 그래프(기타 일자형) 99 [그림 3-4] 브라운칼라 일의 특성과 유형 및 새로운 부가가치 119 [그림 4-1] 브라운칼라의 진로선택과 역경 및 극복 과정 17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브라운칼라’의 새로운 진로경로에 관한 연구 | 2023.01.01~2023.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