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소기업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타당성 연구

저자
황성수 김철희 박동 이지연 김문선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0.31
등록일
2024.01.0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중소기업교육훈련메타버스직업훈련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8
	제3절 연구 절차 및 방법	11
제2장 중소기업 교육훈련 및 메타버스 현황_17
	제1절 중소기업 교육훈련 제도 및 현황	19
	제2절 기존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문제점	32
	제3절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 국내외 사례	35
	제4절 중소기업 교육훈련에 대한 신기술 접목의 필요성	45
제3장 중소기업 메타버스 교육훈련 수요에 대한 심층면담 및 실태조사_53
	제1절 심층면담 및 실태조사 개요	55
	제2절 심층면담을 통한 사례 분석	59
	제3절 실태조사를 활용한 정량 분석	73
제4장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메타버스 활용 타당성 분석_83
	제1절 교육훈련의 메타버스 활용	85
	제2절 기술적·시기적 관점에서 메타버스 활용의 타당성	89
	제3절 범용성·확장성 관점에서 메타버스 활용의 타당성	105
제5장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_113
	제1절 요약 및 쟁점	115
	제2절 정책 방향 및 제언	120
참고문헌_137
부 록_143
	[부록 1] 중소기업 메타버스 교육훈련 심층면담 질문지	145
	[부록 2] 중소기업 메타버스 교육훈련 수요조사 질문지	149
이 연구는 중소기업 교육훈련 분야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것이 어떤 이로움이 있을지, 이를 위해서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정책적 지원은 타당한지, 업종별로 범용성은 있는지, 개별 기업 단위로의 확장성은 있을지, 또한 현시점에서는 어떠하며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는 어떠할지 등에 대한 타당성과 활용 가능성을 고민하고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투입비용과 관계없이, 또는 메타버스를 통한 교육훈련이 여러 중소기업에 미치는 도움 정도나 크기를 고려하지 않은 채, 중소기업의 특정 교육훈련 콘텐츠의 메타버스화를 지원하는 정부의 정책은 초기 메타버스 산업을 육성하려는 산업정책 차원에서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보다 효율적인 국가 예산 활용과 남용 방지 차원에서 메타버스화를 지원하려는 현시점에서의 정부지원 정책이 타당한지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에서 제기되었던 고질적인 문제들을 메타버스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중소기업 스스로의 수요와 교육훈련 관련 역량, 더 나아가 신기술의 활용 시도라는 부분까지 동시적인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이에 대한 현황 파악과 앞으로의 상황에 대한 전망 등이 본 연구가 수행해야 할 주요 연구 목적이자 내용이다. 
<표 2-1> 중소기업 수, 종사자 수 및 매출액	20
<표 2-2> 중소기업 교육훈련 프로그램 현황(중앙정부 중심)	24
<표 2-3>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지원 대상	25
<표 2-4>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 내용	27
<표 2-5> S-OJT 지원 내용	28
<표 2-6> 직업능력개발 표준훈련지수	31
<표 2-7> 정부지원제도의 영향	31
<표 2-8> 메타버스 교육훈련 활용사례	39
<표 2-9> VR, AR, MR 기술	49
<표 3-1> 인재육성형 중소기업 인증의 현장평가지표 일부 항목	56
<표 3-2> Best-HRD 인증의 인적자원 관련 심사기준(중소기업)	56
<표 3-3> 이노비즈 인증의 업종분류 기준	58
<표 3-4> 교육훈련 심층면담 결과	68
<표 3-5> 메타버스 관련 심층면담 결과	70
<표 3-6> 응답기업 개요	74
<표 3-7> HCCP 기업의 교육훈련비	75
<표 3-8> 메타버스 적용 교육훈련의 현재 필요도	77
<표 3-9> 메타버스 적용 교육훈련의 미래 필요도	78
<표 3-10> 부처별 메타버스 지원책의 인지도·필요도 및 예상 만족도	82
<표 4-1> 메타버스 기반 교육훈련을 위한 상용화 완료 시기별 구현 가능 기술 개요	98
<표 4-2> 메타버스 기술 적용 시기에 따른 교육훈련에의 시사점	102
<표 5-1> 시장경제 형태별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비교	116
<표 5-2> 공동훈련센터 유형	129
<표 5-3> 중소기업 교육훈련의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 및 제언	134
[그림 1-1] 메타버스 구글 트렌드 검색 결과(2004년~현재)	4
[그림 1-2] 메타버스 구글 트렌드 검색 결과(2021년~현재)	5
[그림 1-3] 중소기업 교육훈련 및 메타버스 활용 수요	7
[그림 1-4] 연구 절차와 방법	12
[그림 2-1]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수준	20
[그림 2-2] 청년층과 고령층의 직업훈련 참여의지와 실제 참여 간 차이	22
[그림 2-3] 기업 직업능력개발 서비스 개선	26
[그림 2-4] 기업규모에 따른 문해력과 수리력 점수	35
[그림 2-5] 미국 미래학협회(ASF)가 제시한 메타버스의 네 가지 유형 프레임워크	36
[그림 2-6] IAR-MAP	39
[그림 2-7] 해부학 강의에서 혼합현실 활용사례	40
[그림 2-8] 한기대 STEP과 디바이스 연계 가상훈련 콘텐츠	42
[그림 2-9] 한기대 메타버스 활용 시범강좌 운영사례	43
[그림 2-10] 중소기업 교육훈련에 대한 신기술 접목의 필요성	46
[그림 2-11] AI 시대의 일자리 예상 분포도	48
[그림 2-12] 중소기업 교육훈련 신기술 도입 활용 방향	50
[그림 4-1] 도구와 대상으로 구분된 메타버스 적용	87
[그림 4-2]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모델	88
[그림 4-3]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1. 객체 자동생성 기술	90
[그림 4-4]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2. 디지털 휴먼 생성 기술	91
[그림 4-5]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3. 메타버스 공간구축 기술	92
[그림 4-6]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4. 메타버스 상호작용 기술	93
[그림 4-7]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5. 초실감 시각화 기술	94
[그림 4-8]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6. 실·가상 공간 동기화 기술	95
[그림 4-9]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7. 햅틱 인터랙션 기술	96
[그림 4-10] 메타버스 핵심기술 상용 적용 시기 전망:8.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기술	97
[그림 4-11] 메타버스 기술 및 시기별 예측과 메타버스 기반 교육훈련 전망	103
[그림 5-1] 메타버스 교육훈련 발전 시기에 따른 장단기 정책 방향 및 대안	12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소기업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타당성 연구 2023.01.01~202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