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중·장년층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을 통한 훈련 및 경력 설계 방안 연구

Analyzing Labor Market Outcome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Vocational Training: Exploring Strategies for Training and Career Design
저자
문상균 최수현 손규태 최광성 박동찬 나영선 김수원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0.31
등록일
2024.01.10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중·장년층직업훈련근로자훈련
요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분석방법 	7
제2장 중·장년층 직업훈련 제도 및 효과에 관한 이론과 선행연구_13
	제1절 중·장년층 직업훈련 제도의 변천 과정 및 현황	15
	제2절 직업훈련 효과의 이론적 근거	33
	제3절 직업훈련 효과 관련 선행연구	42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55
제3장 중·장년층 임금근로자로서 노동시장 이행과 직업훈련 성과 분석_57
	제1절 자료 및 분석방법	59
	제2절 중·장년층 근로자의 노동시장 경력 및 특성 분석	73
	제3절 중·장년층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86
	제4절 중·장년층 직업훈련 특성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122
	제5절 소결 및 한계점	191
제4장 중·장년층 자영업으로의 노동시장 이행과 직업훈련_195
	제1절 개요	197
	제2절 중·장년층의 자영업 실태 및 자영업으로의 이행 확률	200
	제3절 분석자료와 분석방법	206
	제4절 분석 결과	213
	제5절 소결 및 연구의 한계점	216
제5장 정책 제언_219
	제1절 중·장년층을 위한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활성화 및 개선 방안	221
	제2절 중·장년층 노동시장 경력과 개인 특성에 따른 직업훈련의 설계 방안	225
	제3절 중·장년층 직업훈련 상담 플랫폼 보완을 통한 생애경력설계 개선 방안	231
참고문헌_239
SUMMARY_247
부  록_249
	1. 연도별 근로자훈련 참여자 특성 기초통계분석	251
	2. 연도별 실업자훈련 참여자 특성 기초통계분석	287
	3. 특정 집단별 근로자훈련 수료자의 훈련 특성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321
	4. 특정 집단별 실업자훈련 수료자의 훈련 특성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335
	5. 직종분류별 KECO 소분류	349
The changing demographic structure due to low birth rates and an aging population, alongside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is causing significant shifts in the lives of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Considering the crisis of societal insurance funds' depletion in Korea, this research stems from a concern about the role of vocational training in enabli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to remain in wage labor for an extended period. As the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rate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have steadily increased recently, there is a demand for policies focused on enhancing the productivity and re-educa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training for this group. Subsequently, it seeks to categorize demand for vocational train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 outcomes of such training to identify relatively effective programs. The criteria for this study's analysis target individuals aged 40 and above, encompassing various policies outlined i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garding the middle-aged. Specifically, the primary research tasks include: 1) reviewing theories and prior research on vocational training systems and effects for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2) analyzing the impact of vocational training on employed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3)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raining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based on the career and traits of this demographic's major subgroups, particularly focusing on women, managerial positions, and economically vulnerable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Additionally, 4) an assessment of self-employed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regarding labor market compliance and vocational training is considered.
...
<표 1-1> 실증분석 시 사용한 분석모형	9
<표 1-2> 제3장과 제4장에 사용한 분석 대상	10
<표 1-3> FGI 대상자 명단 및 실시 방법	11
<표 2-1> 고령자 단기적응훈련 현황	16
<표 2-2> 고령자 뉴스타트 프로그램 실적	18
<표 2-3> 한국폴리텍대학 베이비붐 세대 훈련 실적	19
<표 2-4> 중·장년 ICT 훈련 연도별 현황	22
<표 2-5> 중·장년 특화과정 연도별 현황	23
<표 2-6> 신중년 특화과정 현황	26
<표 2-7> 중·장년층의 직업훈련사업	27
<표 2-8> 직업훈련 참여자 중 50세 이상 비중 및 취업률	29
<표 2-9> 교육 및 훈련 효과와 관련된 경제학 이론	34
<표 2-10> 훈련효과를 긍정하는 선행연구	43
<표 2-11> 긍정적 선행연구의 시사점	45
<표 2-12> 훈련효과를 부정하는 선행연구	50
<표 2-13> 부정적 선행연구의 시사점	51
<표 3-1> 분석 변수	63
<표 3-2> 2010년 근로자훈련 수료 여부에 따른 기초통계분석	89
<표 3-3> 2015년 근로자훈련 수료 여부에 따른 기초통계분석	91
<표 3-4> 2021년 근로자훈련 수료 여부에 따른 기초통계분석	95
<표 3-5> 2015년 근로자훈련 수료 여부에 따른 기초통계분석: 성향점수매칭 표본	98
<표 3-6> 2015년 근로자훈련 수료 여부에 따른 기초통계분석: 성향점수매칭 표본 & 2015년 전후 개인훈련 경험이 없는 표본	100
<표 3-7>근로자훈련 수료 시 취업(고용보험 취득) 성과 분석 결과(1)	105
<표 3-8> 근로자훈련 수료 시 취업(고용보험 취득) 성과 분석 결과(2)	107
<표 3-9> 근로자훈련 수료 시 월평균임금 성과 분석 결과(1)	110
<표 3-10> 근로자훈련 수료 시 월평균임금 성과 분석 결과(2)	111
<표 3-11> 처치집단과 비교집단의 임금 확인 가능 표본 수	112
<표 3-12> 임금이 확인 가능하고 매칭이 가능한 표본 수	113
<표 3-13> 매칭이 가능한 표본만을 이용한 월평균임금 분석 결과	113
<표 3-14> 근로자훈련 수료 시 동일 업체 근속에 대한 성과 분석 결과(1)	116
<표 3-15> 근로자훈련 수료 시 동일 업체 근속에 대한 성과 분석 결과(2)	117
<표 3-16> 근로자훈련 수료 시 동일 직종 근무 성과 분석 결과	120
<표 3-17> 근로자훈련 수료 표본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2010~2021년 수료 표본	124
<표 3-18> 근로자훈련 수료 표본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2010년/2021년	127
<표 3-19> 근로자훈련 분류에 따른 고용보험 취득 성과 분석	130
<표 3-20> 근로자훈련 분류에 따른 월평균임금 성과 분석	132
<표 3-21> 근로자훈련 분류에 따른 월평균임금 성과 분석: 이직자를 대상으로	135
<표 3-22> 근로자훈련 분류에 따른 동일 기업 근속 여부 성과 분석	138
<표 3-23> 근로자훈련 특성에 따른 훈련직종 연계 직종 근무여부 분석	140
<표 3-24> 여성 집단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고용보험 취득 간 상관관계 분석	144
<표 3-25> 여성 집단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월평균임금 간 상관관계 분석	146
<표 3-26> 여성의 근로자훈련 특성에 따른 훈련 NCS 직종과 연계된 직종 근무 여부	148
<표 3-27> 관리직 수료생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고용보험 취득 간 상관관계 분석	151
<표 3-28> 관리직 수료생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월평균임금 간 상관관계 분석	153
<표 3-29> 관리직 수료생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훈련 NCS 직종과 연계된 직종 근무 여부의 상관관계 분석	155
<표 3-30> 빈곤 위험 집단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고용보험 취득 간 상관관계 분석	158
<표 3-31> 빈곤 위험 집단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월평균임금 간 상관관계 분석	160
<표 3-32> 빈곤 위험 집단의 근로자훈련 특성과 훈련 NCS 직종과 연계된직종 근무 여부의 상관관계 분석	162
<표 3-33> 실업자훈련 수료 표본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2010~2021년 수료 표본	165
<표 3-34> 실업자훈련 수료 표본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2010년/2021년	169
<표 3-35> 실업자훈련 특성과 고용보험 취득의 상관관계 분석	173
<표 3-36> 실업자훈련 특성과 월평균임금의 상관관계 분석	175
<표 3-37>경력이 짧은 여성의 실업자훈련 특성과 고용보험 취득 간 상관관계 분석	178
<표 3-38> 경력이 짧은 여성의 실업자훈련 특성과 월평균임금 상관관계 분석	180
<표 3-39> 관리직 경력자의 실업자훈련 특성과 고용보험 취득 상관관계 분석	182
<표 3-40> 관리직 경력자의 실업자훈련 특성과 월평균임금 상관관계 분석	184
<표 3-41> 빈곤 위험 집단의 실업자훈련 특성과 고용보험 취득 간 상관관계 분석	186
<표 3-42> 빈곤 위험 집단의 실업자훈련 특성과 월평균임금의 상관관계 분석	188
<표 4-1> 경제활동인구의 고용형태 – 전체 연령	201
<표 4-2> 경제활동인구의 고용형태 – 중·장년층	202
<표 4-3> 고용형태의 이행 확률 – 전체 연령	203
<표 4-4> 고용형태의 이행 확률 – 중·장년층(한국노동패널)	204
<표 4-5> 고용형태의 이행 확률 – 중·장년층(고령화연구패널)	205
<표 4-6> 분석 대상 및 중·장년층 해당 여부	207
<표 4-7> 창업훈련 이수 여부(처치변수)	208
<표 4-8> 자영업 기간(성과변수)	209
<표 4-9> 여성 비중 및 평균 연령	209
<표 4-10> 교육수준	210
<표 4-11> 직업훈련이 중·장년층 자영업 총기간에 미치는 영향	213
<표 4-12> 직업훈련이 중·장년층 자영업 지속 기간에 미치는 영향	215
<표 5-1> 여성의 근무 확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훈련 특성	226
<표 5-2> 관리직의 임금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훈련 특성	227
<표 5-3> 빈곤 위험 집단이 근무 확률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훈련 특성	229
[그림 3-1] 성별 연령별 고용 추세: 1960년대생	74
[그림 3-2] 성별 연도별 고용 추세: 1960년대생	76
[그림 3-3] 1969년생 여성의 고용보험 취득 시퀀스 그래프	77
[그림 3-4] 성별 연도별 관리직 비율 추세(1960년대생 전체)	80
[그림 3-5] 성별 연도별 관리직 비율 추세(1965년생)	81
[그림 3-6] 관리직 종사 후 노동시장 이행	82
[그림 3-7] 훈련 수료 여부에 따른 훈련 전후 근로 비율	108
[그림 3-8] 훈련 수료 여부에 따른 훈련 전후 근로자 임금 총합	114
[그림 3-9] 근로자훈련 수료 시 동일 업체 근속 비율 추세	118
[그림 3-10] 근로자훈련 수료 시 동일 직종 근무 비율 추세	121
[그림 4-1] 우리나라 자영업자 규모 및 비중 변화 추이(1997~2022년)	198
[그림 4-2] OECD 국가 자영업 비중	199
[그림 5-1] 임금직무정보시스템 특성 선택 및 임금분포 시각화 방안	233
[그림 5-2] NCS 훈련직종별 연도별 훈련 참여 현황	235
[그림 5-3] NCS 훈련직종별 훈련 이후 고용보험 취득 추세	236
[그림 5-4] NCS 훈련직종별 훈련 이후 월평균임금 추세	236
[그림 5-5] 상담내용과 상담신청자 훈련 및 고용 성과 결합 방안	23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중·장년층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을 통한 훈련 및 경력 설계 방안 연구 2023.01.01~202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