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진로교육의 성과 분석

An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Outcomes
저자
김민경 이진솔 방혜진 문찬주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0.31
등록일
2024.01.10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진로교육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제3절 연구의 제한	8
제2장 초·중등 진로교육 환경_9
	제1절 진로교육의 정책 및 제도 변화	11
	제2절 진로교육의 국내 환경	23
	제3절 해외의 진로개발 지침	43
제3장 진로교육의 성과_55
	제1절 이론적 토대	57
	제2절 진로교육의 성과 관련 선행연구	69
	제3절 진로교육의 성과분석 개념 모형	94
제4장 학교 진로교육 성과분석_109
	제1절 학교 진로교육 현황	111
	제2절 학교 수준 분석	120
	제3절 학생 수준 분석	136
	제4절 소결	153
제5장 시도 진로교육 성과분석_157
	제1절 시도 진로교육 현황	159
	제2절 시도 수준 분석 	168
	제3절 학교 수준 분석 	173
	제4절 소결	178
제6장 학생 진로교육 성과분석_181
	제1절 학생 진로교육 현황	183
	제2절 진로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188
	제3절 진로개발역량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
	제4절 소결	211
제7장 진로교육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지원 방안_213
	제1절 기본 방향	215
	제2절 진로교육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정책과제	218
SUMMARY_245
참고문헌_247
부록_2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s the outcomes of career education at the schools, provincial, and individual levels, and to derive policy tasks based on the findings. This involves conducting literature reviews on the policies and system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e also examined career development theory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and the theory of school social system, which underpin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areer education outcomes. Through this analysis, we identify the interactive impact of career education on schools,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arious systems and policies affecting individual development. The analysis was further enrich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at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in real life settings using  relevant indicators.
Our findings reveal that career education has yielded positive outcomes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provincial levels. Firstly, school-level performance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fostering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Secondly, factors, such as dedicated spaces for career education, the appointment rate of career-education teachers, and participation rates in career experiences, effectively influenc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t the city and provincial levels. Thirdly, individual-level analysis demonstrates that school-based career activities positively impact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hich in turn further enhanc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job/work satisfaction in the labor market, high alignment with chosen majors, and average monthly wages.
...
<표 1-1> 세미나 일정 및 내용	7
<표 2-1> 우리나라의 진로교육 추진 체계 발전 과정	16
<표 2-2> 우리나라의 주요 진로교육 추진 계획 발전 과정	17
<표 2-3> 우리나라의 진로 교육과정 발전 과정	19
<표 2-4> 우리나라의 「진로교육법」 및 진로교육 기준 발전 과정	20
<표 2-5>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21
<표 2-6> 우리나라의 진로교육 전담인력 발전 과정	22
<표 2-7> 교육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신구 조항 비교	25
<표 2-8> 2022년 특별교부금 국가시책사업 목록 및 교부액	27
<표 2-9> 연도별 진로교육 국가시책사업 교부액 비교	27
<표 2-10> 서울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인적 구성 및 업무	30
<표 2-11> 시도별 지역진로교육센터·진로교육협의회·지역진로교육원 현황	31
<표 2-12> 중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	34
<표 2-13> 진로심리검사의 측정 영역 및 대표적인 검사 종류	37
<표 2-14> 진로체험 유형과 활동 내용	38
<표 2-15> 진로교육 관련 주요 웹사이트의 목적 및 제공 서비스	41
<표 2-16> 해외 주요 국가의 진로개발 가이드라인의 영역 및 하위 목표	44
<표 2-17> 해외 국가(단체)에서 제시한 진로개발 촉진자의 역량	48
<표 2-18> 영국의 개츠비 성취기준(Gatsby Benchmarks)과 학교 의무 사항	49
<표 2-19> 스웨덴 학교 감사위원회 평가 내용	51
<표 2-20> 국가별 진로관리(전환) 역량 평가 수준	52
<표 3-1> 학교 사회 체제 모형 중 변형 과정의 하위 체제	62
<표 3-2> 진로교육 성과 관련 선행연구 종합	86
<표 3-3> 학교 진로교육 성과지표 영역 및 항목 정의	95
<표 3-4> 진로교육 성과관리 지표(중학교)	96
<표 3-5> 진로교육의 성과지표	99
<표 3-6> 학교 진로교육 현황 및 성과지표 영역과 항목 정의	100
<표 3-7> 교육·고용 관련 조사 데이터 개요	104
<표 3-8> 진로교육 성과분석 연구를 위한 주요 변수 포함 여부	105
<표 4-1> 진로심리검사 실시 여부 및 유형(중복응답)	115
<표 4-2> 학생 진로상담 실시 방식(중복응답)	116
<표 4-3> 학생의 진로체험 참여 현황	117
<표 4-4> 희망 직업이 있는 학생 비율 변화(2013~2022년)	117
<표 4-5>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	118
<표 4-6>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118
<표 4-7>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122
<표 4-8>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2022년)	126
<표 4-9>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2017~2022년)	128
<표 4-10> 학교의 진로교육 수행 수준이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30
<표 4-11> 학교의 진로교육 수행 수준이 학부모의 학교 진로·진학지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32
<표 4-12> 학교의 진로교육 수행 수준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134
<표 4-13>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136
<표 4-14>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2022년)	141
<표 4-15>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2017~2022년)	143
<표 4-16> 학교의 진로교육 수행 수준이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46
<표 4-17> 학교의 진로교육 수행 수준이 학부모의 학교 진로·진학지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48
<표 4-18> 학교의 진로교육 수행 수준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151
<표 5-1> 시도별 진로교육 현황 파악 리스트	162
<표 5-2>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168
<표 5-3> 시도 분석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2017~2022년)	170
<표 5-4>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의 영향 요인	172
<표 5-5>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173
<표 5-6> 학교 진로활동 만족도 및 진로개발역량 영향 요인	176
<표 6-1> 중·고등학교 진로교육 경험 및 도움 정도	187
<표 6-2>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190
<표 6-3> 진로활동 및 진로체험 참여 비율 및 만족도(고2~고3)	192
<표 6-4> 진로개발역량 변수	193
<표 6-5> 주요 변수에 관한 기술통계(2016년)	194
<표 6-6> 개별 진로활동 및 진로체험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종합표)	195
<표 6-7> 진로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197
<표 6-8> 진로체험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199
<표 6-9> 진로교육 횟수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200
<표 6-10> 주요 변수 구성 및 설명	202
<표 6-11> 노동시장 성과분석에 관한 기술통계	203
<표 6-12> 진로개발역량이 대학 및 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5
<표 6-13> 진로개발역량이 직장 만족도, 업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6
<표 6-14> 진로개발역량이 전공 일치도, 월평균 소득에 미치는 영향	208
<표 6-15> 진로개발역량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9
<표 7-1>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방안	239
<표 7-2> 진로교육 성과를 관리하기 위한 정책 방안 	241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8
[그림 2-1] 학교급별 진로교육의 주요 내용과 방법	14
[그림 2-2] 교육부가 제시한 진로교육 협력 체계 	24
[그림 3-1] 4가지 차원의 생태 체계	58
[그림 3-2] 개방 체제의 기본 모형	60
[그림 3-3] 학교의 사회 체제 모형(Social-Systems Model for Schools)	61
[그림 3-4]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원 및 추진 체계	64
[그림 3-5] 학교 진로교육 성과 모형: 학교급별 학교 진로교육 현황 및 성과에 따른 영역	65
[그림 3-6]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내용 체계(투입, 과정, 성과 측면)	66
[그림 3-7]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안)	67
[그림 3-8] 진로교육 성과분석을 위한 개념 모형	107
[그림 4-1] 학교 진로활동별 참여율 변화(중학생)(2015~2022년)	113
[그림 4-2] 학교 진로활동별 참여율 변화(고등학생)(2015~2022년)	114
[그림 5-1] 시도별 진로교육 환경 여건(중학교)	163
[그림 5-2] 시도별 진로교육 환경 여건(고등학교)	164
[그림 5-3] 연도별 진로개발역량 추이(중학교)	165
[그림 5-4] 연도별 진로개발역량 추이(고등학교)	165
[그림 5-5] 연도별 시도 예산 추이	166
[그림 5-6] 시도별 중·고등학생 수 대비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회원 비율	167
[그림 7-1] 진로교육의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5대 영역	217
[그림 7-2] 진로교육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	24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진로교육의 성과 분석 2023.01.01~202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