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술혁신 및 산업구조 변화와 학교 직업교육의 대응

Responding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dustrial Structural Changes in School Vocational Education
저자
최동선 류지은 이상훈 오혁제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0.31
등록일
2024.01.10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산업구조 변화기술변화직업교육전문대학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추진방법	8
제2장  산업구조 변화와 학교 직업교육 변화 추이_17
	제1절 산업구조 변화와 학교 직업교육 대응의 이론적 논의	19
	제2절 산업구조 변화와 학교 직업교육 대응 관련 정책 동향	57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111
제3장  학교 직업교육의 산업구조 변화 대응방식 탐색_115
	제1절 분석 대상 분야의 선정	117
	제2절 직업계고 및 전문대학의 대응방식	139
	제3절 산업구조 및 기술혁신에 대한 직업교육기관 대응 실태	194
	제4절 종합 및 시사점	232
제4장  정책과제 제안_239
	제1절 산업구조 및 기술변화에의 직업교육기관 대응성 강화	241
	제2절 기술환경 변화를 포함한 산업수요에 민감성 제고 기반 마련	247
	제3절 유연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 및 충실한 기반 조성	250
SUMMARY_253
참고문헌_263
부  록_279
	<부록 1> 산업구조 및 기술혁신에 대한 직업교육기관 대응 실태분석 설문조사 질문지	281
	<부록 2-1> 심층면담 질문지: 직업교육기관 관계자	288
	<부록 2-2> 심층면담 질문지: 산업계 관계자	290
	<부록 2-3> 심층면담 질문지: 졸업생	292
Recent discussions on megatrends surrounding the industrial structure commonly point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major trend. In addition to new technologies including nano, bio, and 3D printings, the core technolog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cloud, and big data are affecting the entire industry and causing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tself, leading to changes in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However,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been discussed in the past as having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However, there seems to be a wide range of views on the simplistic assumption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s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will threaten technical and functional jobs. Taken together, these discussion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structure change and vocational education need not be viewed in a monolithic and pessimistic manner, but on the other hand, proactive responses to technological change should also be addressed in vocational education. If our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have considere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t an overview level, it is necessary to take a mid- to long-term view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is one of the key drivers of overall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a multilayered response is needed in vocation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electing industries and technologies that require intensive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ocational schools and colleges, and exploring the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responses of schoo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se areas. Specifically, the research consisted of (1) analyzing trends in industrial structure change and reorganization of school vocational education, (2) selecting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sectors to be analyzed and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analysis, (3) conducting and analyzing FGIs and surveys to analyze school vocational education responses to new industries and new technologies, and (4) proposing policy issue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ith school officials, industry officials, and graduates, and a survey to analyze the actual response of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to industrial structur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표 1-1> 분석 대상 산업・기술 분야 선정을 위한 전문가 면담 운영 현황	9
<표 1-2> 대상별 심층인터뷰 질문 내용	11
<표 1-3> 신산업・신기술 분야별・대상별 심층면담 추진 현황	12
<표 1-4> 직업교육기관 대응 실태분석 설문조사 영역별 문항 및 심층인터뷰와의 관련성	15
<표 1-5> 설문조사 학교급별 조사 및 분석 대상	15
<표 2-1> 경제 성장 단계별 핵심 산업	32
<표 2-2> 산업구조 변화 관련 주요 메가트렌드	33
<표 2-3> 디지트화, 디지털화, 디지털 전환의 비교	35
<표 2-4>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 분야별 변화	38
<표 2-5> 산업별 연구개발비 변화	39
<표 2-6> 산업군별 주력 제조업의 제품 구조 변화	41
<표 2-7> 2030년 서비스업의 (실질)부가가치 제고 및 일자리 창출 전망	42
<표 2-8>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이 산업의 구조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42
<표 2-9> 디지털 기술의 노동시장 영향 관련 선행연구	46
<표 2-10> 1990년대 초반과 2010년대 중반의 VET 비교	50
<표 2-11> 4차 산업혁명이 직업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	51
<표 2-12> 미래에 요구되는 주요 역량	53
<표 2-13> 新직업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직업교육 개혁 과제	57
<표 2-14> 선행연구의 중등직업교육 정책 동향	59
<표 2-15> 선행연구의 고등직업교육 정책 동향	71
<표 2-16>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 주요 특징	103
<표 3-1> 신산업・신기술 분야(예시)	120
<표 3-2> 전문대학 주・야간 및 학부특성별 교과목 개설 현황	129
<표 3-3> 심층인터뷰 참여자 소속 학과의 개편・전환 내용	139
<표 3-4> 심층인터뷰 참여자 소속 학과의 인력양성 방향	144
<표 3-5> 학과 개편・신설 여부	194
<표 3-6> 학과 개편 연도	195
<표 3-7> 학과 개편 방식	196
<표 3-8> 학과 개편 및 신설 배경	197
<표 3-9> 개편/신설 학과 주요 인력양성 분야(인공지능/SW/빅데이터)	198
<표 3-10> 개편/신설 학과 주요 인력양성 분야(바이오)	199
<표 3-11> 개편/신설 학과 주요 인력양성 분야(전기・전자 융합)	200
<표 3-12> 전공 분야별 주요 인력양성 직무	202
<표 3-13> 학과 개편/신설 시 산업계 수요 및 기술동향 부응 정도	203
<표 3-14> 학과 개편/신설 시 산업계 수요 및 기술동향 반영 방식 (인공지능/SW/빅데이터)	205
<표 3-15> 학과 개편/신설 시 산업계 수요 및 기술동향 반영 방식 (바이오)	207
<표 3-16> 학과 개편/신설 시 산업계 수요 및 기술동향 반영 방식 (전기・전자 융합)	209
<표 3-17> 산업구조 및 기술변화를 반영한 학과 운영 방식 (인공지능/SW/빅데이터)	211
<표 3-18> 산업구조 및 기술변화를 반영한 학과 운영 방식(바이오)	213
<표 3-19> 산업구조 및 기술변화를 반영한 학과 운영 방식 (전기・전자 융합)	215
<표 3-20> 기술변화 관련 교육을 위한 외부 기관의 교육과정 연계 운영 여부	216
<표 3-21> 교육과정 연계 운영 외부 기관 유형	217
<표 3-22> 학과 개편・운영 시 어려움(인공지능/SW/빅데이터)	219
<표 3-23> 학과 개편・운영 시 어려움(바이오)	221
<표 3-24> 학과 개편・운영 시 어려움(전기・전자 융합)	223
<표 3-25> 학과 개편・운영 성과(인공지능/SW/빅데이터)	225
<표 3-26> 학과 개편・운영 성과(바이오)	227
<표 3-27> 학과 개편・운영 성과(전기・전자 융합)	229
<표 3-28> 산업구조 및 기술변화를 반영한 직업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 사항	231
[그림 2-1] 산업별 실질GDP 비중 및 증가율	20
[그림 2-2] 제조업 업종별 실질GDP 비중 및 증가율	21
[그림 2-3] 서비스업 업종별 실질GDP 비중 및 증가율	22
[그림 2-4]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	23
[그림 2-5] 1차・2차・3차 산업의 취업자 비중 변화 추이	25
[그림 2-6] 산업분야별 고용 비중 변화 추이(2013~2022)	26
[그림 2-7] 산업분야별 고용 비중 변화 추이(2013~2022): 고졸・전문대졸 중심으로	27
[그림 2-8] 제조업의 실질GDP와 취업자 규모의 관계	28
[그림 2-9]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규모 증감률	30
[그림 2-10] 산업별 AI-산업 관계의 중점 영역	37
[그림 2-11] 산업×직업별 취업자 수 변화(2015년과 2022년의 차이)	45
[그림 2-12] 횡단성 정도에 따른 상위 30개 횡단적 스킬 키워드	54
[그림 2-13] 미래 횡단적/소프트 스킬 강조에 대한 인식	55
[그림 2-14] 학습 현장의 변화	56
[그림 2-15] 마이스터 성장경로	64
[그림 2-16] 이명박 정부의 우수 전문대학 육성 방향	77
[그림 2-17] 지역주도 대학재정지원사업 체계(안)	82
[그림 2-18] 정부별 주요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86
[그림 2-19] 직업계고 및 전문대학의 학생 수 및 비율 변화 추이 (2000~2020년)	90
[그림 2-20] 15~24세 인구 대비 직업교육 참여율 비교	91
[그림 2-21] 교과군별 직업계열 학과의 학생 수 변화 추이 (2008~2022년)	92
[그림 2-22] 전공 분야별 전문대학 학과의 재학생 수 변화 추이 (2008~2022년)	93
[그림 2-23] 직업계고 학과 명칭의 주요 단어의 변화 추이: 2011~2012년과 2021~2022년 비교	98
[그림 2-24] 전문대학 학과 명칭의 주요 단어의 변화 추이: 2011~2012년과 2021~2022년 비교	99
[그림 3-1] 직업계고・전문대학 졸업자의 업종별 취업자 비율	118
[그림 3-2] 직업계고 학과별 교육과정 네트워크 구성 및 변환: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예시	123
[그림 3-3] 기준학과 ‘정보컴퓨터과’의 편성 과목 네트워크 구조	125
[그림 3-4] 기준학과 ‘화학공업과’ 및 ‘식품가공과’의 편성 과목 네트워크 구조	126
[그림 3-5] 기준학과 ‘기계과’의 편성 과목 네트워크 구조	127
[그림 3-6] 설치학과 ‘전자기계과’의 편성 과목 네트워크 구조	128
[그림 3-7] 전문대학 교육과정 네트워크 분석에 활용된 학과의 중분류별 분포	131
[그림 3-8] 전문대학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소분류의 교과목 단어(토큰) 네트워크 구조	133
[그림 3-9] 전문대학 ‘경영정보학’ 소분류의 교과목 단어(토큰) 네트워크 구조	134
[그림 3-10] 전문대학 ‘화학・생명과학・환경’ 중분류의 교과목 단어(토큰) 네트워크 구조	135
[그림 3-11] 전문대학 ‘메카트로닉스공학’ 소분류의 교과목 단어(토큰) 네트워크 구조	136
[그림 3-12] 전문대학 ‘자동차공학’ 소분류의 교과목 단어(토큰) 네트워크 구조	137
[그림 4-1] 바이오산업 및 인공지능산업 분야의 직무체계(예시)	24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술혁신 및 산업구조 변화와 학교 직업교육의 대응 2023.01.01~2023.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