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산학협력 관련 법령 5
<표 1-2> 전문대학 대상 산학협력 지원사업 7
<표 1-3> 지역 기반 직업교육 산학협력 체제 구축 사례 9
<표 1-4>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인식 조사 대상 15
<표 1-5>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별 FGI 대상 15
<표 1-6>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운영 유형 18
<표 2-1> 산학협력 개념 관련 주요 법적 정의 25
<표 2-2> 산학협력에 관한 주요 개념 비교 27
<표 2-3>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구조 29
<표 2-4> 산학협력 관련 주요 법령 32
<표 2-5> 산학협력 관련 법령 대한 선행연구에서의 논의 내용(일부 발췌) 35
<표 2-6> 산학협력 관련 정부 정책의 변화 38
<표 2-7> 「산학협력 활성화 5개년 기본계획(2016~2020)」의 주요 내용 39
<표 2-8> 「제1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2019~2023) 수정」의 주요 내용 41
<표 2-9> 「대학의 산학협력 인력양성 효과성 제고 방안(2020)」의 주요 내용 43
<표 2-10>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의 주요 내용 44
<표 2-11>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의 유형별 주요 특징 45
<표 2-12>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의 주요 산학협력 제도 46
<표 2-13> 학교급별 현장실습 제도 비교 48
<표 2-14> 학교기업 지원사업의 발전 과정 50
<표 2-15> 「제3단계 학교기업 지원사업(2020~2024)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51
<표 2-16> 학교기업 내에서의 현장실습 운영 방식 53
<표 2-17> 학교급별 학교기업 내 현장실습 운영 방식 비교 54
<표 2-18> 3단계 학교기업 지원사업 선정 사업단 현황 56
<표 2-19> 「산학협력 마일리지 활성화 방안(2021)」의 주요 내용 57
<표 2-20> 산학협력 활동별 마일리지 적립기준 58
<표 2-21> 기업 마일리지 연계사업 목록(2022년 기준) 59
<표 2-22> 산학협력 우수기관 인증 혜택 60
<표 2-23> 대학 유형별 가족회사 운영 현황 62
<표 2-24>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 현황 66
<표 2-25> 2020~2021년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 현황 67
<표 2-26> 지역별 직업계고 졸업자 졸업 후 상황(2022년) 68
<표 2-27> 시・도별(근로지 기준)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현황(2022년) 69
<표 2-28>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지원 내용 72
<표 3-1> 현장실습의 개념 변화 분석 82
<표 3-2> 직업계고 현장실습 유형 83
<표 3-3> 특성화고 현장실습 참여 현황 85
<표 3-4> 현장실습 계열별 참여율 86
<표 3-5> 연계교육형 현장실습 유형별 참여 현황 88
<표 3-6> 동아마고의 산관학협력위원회 역할 89
<표 3-7> 인천전자마이스터고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90
<표 3-8>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현황(2023.2.10. 자료) 97
<표 3-9> 직업교육 혁신지구 운영 현황 103
<표 3-10> 2021년도 아이치 캐리어교육 지역연계사업 내용 129
<표 3-11> 수업시간표(주당) 137
<표 3-12> 지케엔 드라이브라인의 이원화 직업교육훈련 사례 139
<표 3-13> 독일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들의 연계 144
<표 3-14> 개인 역량개발계획에서 이해관계자의 역할 147
<표 3-15> 삐르깐마 지역의 교육훈련 제공기관과 산업체와의 협력의 결과물 149
<표 3-16> 일터 사전방문 및 사후작업 과정 152
<표 3-17> 핀란드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154
<표 4-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인식 조사 대상 162
<표 4-2>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인식 조사 내용 및 설문지 구성 164
<표 4-3> 조사 응답자 일반 현황 166
<표 4-4>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사례별 FGI 대상 167
<표 4-5> 중등직업학교 산학협력 사례 대상 FGI 주요 내용 168
<표 4-6> 협력기업의 규모별 비중(학교관계자) 169
<표 4-7> 최근 3년간 졸업생의 진로 현황(학교관계자) 170
<표 4-8> 산학협력교육의 목적(학교관계자) 171
<표 4-9>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설치 여부(학교관계자) 171
<표 4-10>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인적 구성(학교관계자) 172
<표 4-11>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모임 주기(학교관계자) 172
<표 4-12> 산학협력 관련 위원회 주요 활동(학교관계자) 173
<표 4-13> 산학협력 위원회 전담조직 구성 여부 173
<표 4-14> 산학협력 위원회 전담조직 참여 부서 수(학교관계자) 174
<표 4-15> 산학협력 위원회 전담조직 주요 활동(학교관계자) 174
<표 4-16>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담인력/조직 필요(학교관계자) 175
<표 4-17>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담조직 필요 이유(학교관계자) 175
<표 4-18>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학생 만족도, 운영 효과, 지역사회 협조 정도(학교관계자) 177
<표 4-19>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방법(학교관계자) 178
<표 4-20>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흥미 정도(학교관계자) 178
<표 4-21>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에 흥미가 없는 이유(학교관계자) 179
<표 4-22> 학생의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학교관계자) 179
<표 4-23>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용이성 및 중요도(학교관계자) 180
<표 4-24>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문제점(현장실습, 도제학교)(학교관계자) 181
<표 4-25>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문제점(혁신지구)(학교관계자) 182
<표 4-26>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사전교육 필요 정도(학교관계자) 183
<표 4-27>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학생 중도 탈락률(학교관계자) 184
<표 4-28>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학생 중도 탈락 사유(학교관계자) 184
<표 4-29>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참여 학생 중도 탈락 방지 노력(학교관계자) 185
<표 4-30> 산학협력 파견산업체 확보 방법(학교관계자) 186
<표 4-31> 산학협력 파견산업체 연계 시 어려운 점(학교관계자) 186
<표 4-32>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추진과제 필요 정도(학교관계자) 191
<표 4-33> 지역사회에서 직업교육 당면 문제(학교관계자) 194
<표 4-34>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중앙부처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195
<표 4-35>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교육청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196
<표 4-36>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197
<표 4-37>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산업체/기타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사항(학교관계자) 197
<표 4-38>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이유(기업체관계자) 199
<표 4-39> 산학협력 운영 현황(기업체관계자) 203
<표 4-40> 산학협력 관련 교류의 주요 활동 목적(기업체관계자) 204
<표 4-41> 산학협력 관련 업무 담당자(기업체관계자) 204
<표 4-42>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경로(기업체관계자) 205
<표 4-43> 학생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동기(기업체관계자) 206
<표 4-44> 산학협력 프로그램 매뉴얼(핸드북) 존재 여부(기업체관계자) 207
<표 4-45> 산학협력 프로그램 매뉴얼(핸드북) 포함 내용(기업체관계자) 207
<표 4-46> 산학협력 프로그램 진행 방식(기업체관계자) 208
<표 4-47> 산학협력 프로그램 계약서 작성 여부(기업체관계자) 208
<표 4-48> 산학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와의 충실한 사전협의 여부(기업체관계자) 209
<표 4-49> 산학협력 관련 사전교육 실시 여부(기업체관계자) 209
<표 4-50> 산학협력 관련 사전교육 내용(기업체관계자) 210
<표 4-51> 바람직한 산학협력 학습공간(기업체관계자) 210
<표 4-52> 산학협력 참여 학생들의 업무 수행 태도 및 능력(기업체관계자) 211
<표 4-53> 산학협력 참여 학생들의 수행 업무(기업체관계자) 212
<표 4-54> 산학협력 참여 시 우려되는 문제(기업체관계자) 212
<표 4-55> 산학협력 참여 학생의 중도 탈락률(기업체관계자) 213
<표 4-56> 산학협력 참여 학생들의 중도 탈락 원인(기업체관계자) 214
<표 4-57> 산학협력 참여 학생에 대한 평가계획 수립 및 결과 전달(기업체관계자) 214
<표 4-58> 향후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의향 215
<표 4-59> 향후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중단 이유(기업체관계자) 215
<표 4-60>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시기(기업체관계자) 217
<표 4-61>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기간(기업체관계자) 217
<표 4-62>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학생 규모(기업체관계자) 218
<표 4-63>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실습지도 인력(기업체관계자) 218
<표 4-64>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산업체당 학교 비율(기업체관계자) 219
<표 4-65> 바람직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취업연계 정도(기업체관계자) 219
<표 4-66> 산학협력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기업체관계자) 220
<표 4-67> 산학협력 프로그램 인센터브 필요 정도(기업체관계자) 221
<표 4-68> 사업 운영 시 지역사회의 당면 문제(기업체관계자) 223
<표 4-69>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차원의 지원사항(기업체관계자) 223
<표 4-70> 현장실습 참여동기에 대한 학교 및 기업체관계자 응답비교 224
<표 4-71> 도제학교 참여동기에 대한 학교 및 기업체관계자 응답비교 225
<표 4-72> 혁신지구 참여동기에 대한 학교 및 기업체관계자 응답비교 226
<표 4-73> 산학협력 관련 주요 설문조사/FGI 분석 결과(학교/기업관계자) 233
<표 5-1> 중등직업교육 산학협력 모델 개선과 구안(안) 237
<표 5-2> 산학협력 관련 거버넌스 현황 242
<표 5-3> 지역(광역) 수준의 협의체 현황 244
<표 5-4> ‘(가칭)시・도산학연협력협의회’ 설치・운영을 위한 법령 개정(안) 245
<표 5-5> 중등직업교육에서 일경험 실습기업 프로그램 운영(안) 263
<표 5-6> 일경험 산학협력 실습기업 프로그램 운영 내용 및 방법(안) 263
<표 5-7> 대학의 캡스톤디자인 운영 현황 264
<표 5-8> 창의적 체험활동(진로활동)을 활용한 직업・직장체험 프로그램 운영(안) 268
<표 5-9> ‘계약학과 설치・운영 규정’에 나타난 대학 중심의 조문 분석 결과 269
[그림 1-1] 현장실습 정책의 변화 흐름 8
[그림 1-2] 2023년 연구 추진 체계도 13
[그림 2-1] 국내 직업교육 관계 법령 체계 31
[그림 2-2] 학교기업 변화 추이(2004~2019) 52
[그림 2-3] 학교기업에서의 학점인정 현장실습 학생 수 변화 55
[그림 2-4] 가족회사 참여 형태별 현황 61
[그림 2-5] 계약학과 규모(학과, 재학생, 산업체)의 변화 63
[그림 2-6] 캡스톤디자인 운영 현황(운영 대학, 이수학생 수)의 변화 64
[그림 2-7] 교육청-지역인자위 협업 절차 예시 73
[그림 3-1] 직업계고 현장실습 운영 절차 84
[그림 3-2] 특성화고 산업체 현장실습 실습 기간 현황(2018~2021) 87
[그림 3-3] 중장기 산학협력 추진 로드맵 수립 91
[그림 3-4]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추진체계도 94
[그림 3-5]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사업단 운영 모델 유형 95
[그림 3-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모형 96
[그림 3-7] 직업교육 혁신지구 협업체계 101
[그림 3-8] 인천 직업교육 혁신지구 뷰티・바이오 분야 특화인력양성 모델 체계 105
[그림 3-9] 부산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추진체계 107
[그림 3-10] 대구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비전 및 목표 108
[그림 3-11] 창원 직업교육 혁신지구 성장경로 예시 110
[그림 3-12] 캐리어교육이 필요하게 된 배경과 과제 120
[그림 3-13] 지역 캐리어교육 지원협의회 설치 촉진사업의 기본 설계도 125
[그림 3-14] 협동직업훈련 참여기업의 수 현황 추이 141
[그림 3-15] 베를린 주정부의 협동직업훈련 촉진 지원 및 기업 연계 142
[그림 4-1] 산학협력교육 운영 현황(학교관계자) 170
[그림 4-2]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학생 만족도, 운영 효과, 지역사회 협조 정도(학교관계자) 176
[그림 4-3]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별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학교관계자) 188
[그림 4-4]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별 운영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학교관계자) 189
[그림 4-5] 산학협력 프로그램별 지역사회의 협조에 대해 현황 인식(학교관계자) 190
[그림 4-6] 지역사회(지자체, 지역교육청 등)의 산학협력 제도・프로그램별 협조 필요성(학교관계자) 193
[그림 4-7]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현황(기업체관계자) 200
[그림 4-8]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학생 직무능력 향상 도움 정도(기업체관계자) 201
[그림 4-9]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산업체 우수인력 수급 도움 정도(기업체관계자) 202
[그림 4-10] 산학협력 프로그램 참여 의향(기업체관계자) 222
[그림 5-1] 지역인재양성과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239
[그림 5-2] 일경험 산학협력 실습기업 프로그램 개념도 259
[그림 5-3] ‘캡스톤디자인’ 과목 운영(안) 266
[그림 5-4] ‘캡스톤디자인’ 과목 운영 절차 266
[그림 5-5] 직업계고 학년별 진로활동 267
[그림 5-6] 직업계고 3학년 2학기 현장실습 과목의 다양화 방안(예시)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