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23)

Research on Korean Occupational Index for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2023)
저자
박화춘 한상근 황승록 권율수 박천수 장현진 최지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1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2.28
등록일
2024.02.14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지표맞춤형 취업지원
요 약_xiii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9
제2장 국내외 직업지표 조사 및 서비스 현황_35
	제1절 국내 직업지표 조사 및 서비스 현황	38
	제2절 국외 직업지표 조사 및 서비스 현황	45
	제3절 소결	76
제3장 기초 직업지표 분석_81
	제1절 조사 개요	84
	제2절 입직요건과 소득	98
	제3절 직무특성과 직업가치	115
	제4절 직무능력과 근무여건	136
	제5절 고용안정과 일자리 전망	158
	제6절 소결	172
제4장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대상별 직업지표 분석_175
	제1절 고졸자 적합 직업 추천 및 직업 특성	178
	제2절 인문계열 대학 졸업자 추천 직업과 특성	208
	제3절 경력단절자 및 경력단절여성 추천 직업	228
	제4절 고령자 일자리 직업지표	253
	제5절 일자리에서 안전보건	275
제5장 정책 제언 및 과제_297
	제1절 고졸자 맞춤 취업지원	300
	제2절 인문계열 대학 졸업자 취업지원	311
	제3절 경력단절자 및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지원	313
	제4절 고령자 일자리 관련 시사점과 정책 제언	319
	제5절 일자리에서의 안전보건	324
	제6절 향후 직업지표 연구	328
SUMMARY_331
참고문헌_341
부  록_365
	1. 2023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설문조사 문항(2023년)	367
	2. 직업지표(2023) 조사 대상 직업 목록	383
	3. 직업지표(2023년) 조사 지역 표본 할당 대분류 모집단 수	389
	4. 산업별 표본 할당(2023년) 소분류 수준 모집단 수	397
	5. 산업별 표본 할당(2023)	404
2016년부터 매년 진행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있는 전체 직업에 대해 세분류 수준에서 직업지표를 조사하고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023년 조사 연구의 목적은 첫째,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 3.0버전 3주기의 1년 차 연구로서 ‘자연과학?공학?제조’ 분야 약 165개 직업의 지표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초 직업지표 분석은 1) 입직요건과 소득, 2) 직무특성과 직업가치, 3) 직무능력과 근무여건, 4) 고용안정과 일자리 전망이다. 둘째, 대상별 맞춤 취업지원을 위해 추천 직업을 도출하고 직업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2023년에는 1) 고졸자의 취업, 2) 인문계열 대졸자 취업, 3) 경력단절자, 4) 고령자를 맞춤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련 직업지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 직업세계와 대중 매체를 통해 최근 몇 년 동안 중요하게 화두가 되고 있는 일자리 안전보건을 직업세계 쟁점 이슈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2023년 직업지표 분석, 대상별 맞춤형 직업지표 분석, 이슈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지원에 관한 정책을 도출하고 그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is policy research study aims to examine the occupational indicators for all occupations  at the detailed classification level in Korea and discuss major issues related to the world of work.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has conducted an annual research study on occupational indicators since 2006. 
In the year 2023 study, we examined the indicators of 165 occupations in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The 165 occupations were selected at the detailed classification level of the four groups out of the nine groups in the Korea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e four groups were a) Class 2: Professionals and related workers, b) Class 7: Craft and related workers, c) Class 8: Equipment, machine operating and assembling workers, and d) Class 9: Elementary workers. 
...
<표 1-1> ‘직업지표 연구’ 3.0버전 각 주기 연차별 대상 맞춤 및 이슈 분석 주제	11
<표 1-2> 직업지표 연구 3.0버전 각 주기 연차별 조사(예상) 대상	13
<표 1-3> FGI 개요	13
<표 1-4> 설문조사의 개요 및 방법	18
<표 2-1> 직업지표 조사 결과 활용 학술 연구 및 홍보 사례	40
<표 2-2>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취업·직업정보 항목	44
<표 2-3> 미국의 인력 교육 및 개발 투입-과정-결과 기초 정보	46
<표 2-4> 미국 노동부의 직업전망 핸드북(OOH)	49
<표 2-5> 미국 오넷(O*NET)의 개요	49
<표 2-6> 오넷에서 제공하는 직업정보 검색 브라우저와 항목	50
<표 2-7> 오넷에서 제공하는 직업 데이터베이스	52
<표 2-8> 오넷 직업조사 방법 개요	53
<표 2-9> 독일 네트워크 관리자 직업정보	60
<표 2-10> 독일 건축·전자 기술자 훈련 과정	61
<표 2-11> 프랑스 오니셉(ONISEP)의 직업 검색 항목 및 하위 분류체계	66
<표 2-12> 일본 JILPT 제5기 프로젝트 연구 및 하위 주제 목록	73
<표 3-1> 표본 설계	85
<표 3-2> 표본의 변수별 할당 방법	86
<표 3-3> 직업대분류 및 권역별 표본 할당	87
<표 3-4> 표본 수집 방식 및 검증(2023년)	88
<표 3-5> 2023년 직업지표 조사 응답자 현황	90
<표 3-6> 2023년 직업 및 경력별 응답자 분포	91
<표 3-7> 2023년 사업체 규모별 응답자 학력수준 분포	93
<표 3-8> 직업지표 영역별 신뢰도 	93
<표 3-9> 직업지표 영역 내 항목 간 상관관계	95
<표 3-10> 직업대분류별 입직요건 영역 직업지표	99
<표 3-11> 직업대분류별 소득 영역 직업지표	108
<표 3-12> 직업대분류별 직무특성 영역 직업지표	116
<표 3-13> 직업대분류별 직업가치 영역 직업지표	127
<표 3-14> 직업대분류별 직무능력 영역 직업지표	136
<표 3-15> 직업대분류별 근무여건 영역 직업지표	147
<표 3-16> 직업대분류별 고용안정 영역 직업지표	158
<표 3-17> 직업대분류별 일자리 전망 영역 직업지표	168
<표 3-18> 1~3주기 일자리 전망 영역 결과 비교	170
<표 4-1> 고졸자 취업지원 직업지표 문항과 분석 변인	185
<표 4-2> 직업군별 입직 시 일반적인 학력수준(2017/2020/2023)	188
<표 4-3> 직업군별 학력수준이 직무, 소득, 인맥에 미치는 영향	189
<표 4-4> 학력이 직무·소득·인맥에 미치는 영향이 낮은 직업 15순위	190
<표 4-5> 직업군별 고졸자 적합도	191
<표 4-6> 직업군별 고졸자 적합도와 고졸 청년 적합도의 차이	193
<표 4-7> ‘고졸 청년 적합도’ 높은 직업의 학력의 영향력에 따른 세부 유형	199
<표 4-8> 고졸 청년 적합도와 타 직업지표 간의 상관관계	202
<표 4-9> 고졸 청년 적합도와 관련 직업지표 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204
<표 4-10> 인문계열 대졸자 추천 직업과 특성 분석을 위한 주요 변수	213
<표 4-11> 인문계열 대졸자 전공 교차 취업용이성	216
<표 4-12> 인문계열 대졸자가 취업할 만한 자연과학·제조·공학 분야 직업	217
<표 4-13> 인문계열 대졸자가 취업할 만한 직업의 일자리 특성과 입직요건	219
<표 4-14> 인문계열 대졸자가 취업할 만한 직업의 직무특성과 직무능력	221
<표 4-15> 인문계열 대졸자의 취업용이성 영향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223
<표 4-16> 대졸자의 전공 교차 취업에 효과적인 준비 방법	224
<표 4-17> 인문계열 대졸자의 전공 교차 취업을 위한 직업별 준비 방법	225
<표 4-18> 경력단절여성 관련 법령	232
<표 4-19> 고용노동부의 여성 취업 및 고용유지 지원 정책 현황	232
<표 4-20> 여성가족부의 여성 취업 및 고용유지 관련 지원 정책	233
<표 4-21> 경력단절자 직업조사 내용과 주요 결과	234
<표 4-22>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현황 조사	237
<표 4-23> 경력단절 관련 직업지표 조사 문항과 분석 내용	237
<표 4-24> 직업대분류별 경력단절 영역 직업지표	240
<표 4-25> 직업생활 중단 후 해당 직업에 복귀하기 쉬운 상위 15개 직업	241
<표 4-26> 졸업 후 오랫동안 직업을 갖지 않았던 사람이 취업하기 쉬운 상위 15개 직업	242
<표 4-27> 직업생활 중단 후 타 분야로 취업하기 쉬운 상위 15개 직업	243
<표 4-28> 경력단절 이후 추천 직업의 직업지표별 특성	244
<표 4-29> 경력단절여성에게 추천하는 상위 15개 직업	247
<표 4-30> 경력단절여성에게 추천하는 상위 15개 직업의 학력수준	248
<표 4-31> 여성 종사자 비율이 높은 직업 상위 15개 직업: 모든 직업	249
<표 4-32> 모든 직업군에서 경력단절여성에게 추천하는 상위 5개 직업	250
<표 4-33> 고령자 취업지원 직업지표 문항과 분석 변인	256
<표 4-34> 현실적 은퇴 연령과 실제 일할 수 있는 연령의 직업별 격차 비교	263
<표 4-35> 현실적 은퇴 연령과 실제 일할 수 있는 연령의 갭이 많은 직업 30선	264
<표 4-36> 55세 이상 고령자가 취업하여 일할 수 있는 직업 30선	269
<표 4-37> 55세 이상 고령자가 취업 가능한 직업의 직무특성과 직무능력	271
<표 4-38> 55세 이상 고령자가 취업 가능한 직업의 입직요건	271
<표 4-39> 55세 이상 고령자 취업 가능한 직업의 입직 상세요건	272
<표 4-40> 일자리에서 안전보건 직업지표 문항과 변인	281
<표 4-41> 직업대분류별 안전보건 영역 직업지표	282
<표 4-42> 직업대분류별 가장 큰 업무 스트레스	289
<표 4-43> 학력수준별 가장 큰 업무 스트레스	290
<표 4-44> 취업자 소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2
<표 4-45> 실제 소득 구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3
<표 5-1> 고졸 청년의 취업 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	302
<표 5-2> 경력단절 예방 프로그램	314
<표 5-3> 주요 국가의 법적 정년	321
[그림 1-1]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직업지표 연구 현황	6
[그림 1-2] 단계별 연구 내용 및 방법	10
[그림 1-3] 최근 10년간 대분류 수준에서의 종사자 수 변화 추이	19
[그림 1-4] 1~2주기 및 2023년(3주기 1년 차) 지표 문항 비교	22
[그림 1-5] 2023년(3주기 1년 차) 직업 지표 조사 영역 및 내용, 문항, 척도, 수정‧개발 사항	24
[그림 2-1] 직능연 직업지표연구 버전별 연구 성과	39
[그림 2-2] 직업지표연구 버전별 조사 직업 수 변화	40
[그림 2-3] 오넷 개인 프로파일러 및 직업 탐색창 	53
[그림 2-4] 미국 오넷 표본 선택 과정 요약	55
[그림 2-5] 직업탐색 화면(일부)	59
[그림 2-6] 프랑스 오니셉(ONISEP)의 직업·일자리 검색 페이지(구글 한국어 번역)	65
[그림 2-7] 프랑스 오니셉의 직업정보 질의응답 페이지(건축 및 공공사업 직업 사례)	67
[그림 2-8] 프랑스 세렉(Céreq)에서 조사 및 관리하는 데이터	68
[그림 2-9] 개인이 이용 가능한 직업능력개발 제도(일본)	71
[그림 2-10] 코로나19 이후 일의 변화에 관한 직업별 데이터(예시)	75
[그림 3-1] 2023년 조사 직업의 소득 지표	92
[그림 3-2] 2023년 직업지표 조사 임금지표와 고용조사 임금수준과의 관계	97
[그림 3-3] 학력수준의 중요성 상·하위 15순위 직업	100
[그림 3-4] 전공의 중요성 상·하위 15순위 직업	101
[그림 3-5] 자격증(면허)의 중요성 상·하위 15순위 직업	102
[그림 3-6] 외국어능력의 중요성 상·하위 15순위 직업	103
[그림 3-7] 직업훈련의 중요성 상·하위 15순위 직업	104
[그림 3-8] 실무경험의 중요성 상·하위 15순위 직업	105
[그림 3-9] 입직요건 1~3주기 변화	106
[그림 3-10] 학력의 중요성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07
[그림 3-11] 소득수준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09
[그림 3-12] 경력인정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10
[그림 3-13] 성과인정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11
[그림 3-14] 소득만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12
[그림 3-15] 소득 영역의 1~3주기 변화	113
[그림 3-16] 소득수준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14
[그림 3-17] 업무복잡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17
[그림 3-18] 융합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18
[그림 3-19] 전문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19
[그림 3-20] 변화속도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20
[그림 3-21] 공동작업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21
[그림 3-22] 육체노동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22
[그림 3-23] 정신노동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23
[그림 3-24] 감정노동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24
[그림 3-25] 직무특성 영역 1~3주기 지수 변화	125
[그림 3-26] 감정노동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26
[그림 3-27] 직업평판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28
[그림 3-28] 사회공헌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29
[그림 3-29] 신뢰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30
[그림 3-30] 소명의식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31
[그림 3-31] 직무만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32
[그림 3-32] 추천의향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33
[그림 3-33] 직업가치 영역 1~3주기 지수 변화	134
[그림 3-34] 직무만족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35
[그림 3-35] 도구조작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37
[그림 3-36] 자료분석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38
[그림 3-37] 대인관계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39
[그림 3-38] 리더십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40
[그림 3-39] 창의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41
[그림 3-40] 공감능력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42
[그림 3-41] 비판적 사고력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43
[그림 3-42] 디지털능력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44
[그림 3-43] 직무능력 영역 1~3주기 지수 변화	145
[그림 3-44] 비판적 사고력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46
[그림 3-45] 근로시간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48
[그림 3-46] 업무자율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49
[그림 3-47] 일·가정 균형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50
[그림 3-48] 경력단절 복귀 용이 상·하위 15순위 직업	151
[그림 3-49] 양성평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52
[그림 3-50] 위험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53
[그림 3-51] 쾌적성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54
[그림 3-52] 근무여건 영역 1~3주기 지수 변화	155
[그림 3-53] 근로시간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56
[그림 3-54] 업무자율성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57
[그림 3-55] 고용유지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59
[그림 3-56] 평생직업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60
[그림 3-57] 이직용이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61
[그림 3-58] 자영업 적합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62
[그림 3-59] 고용안정 영역 1~3주기 지표 변화	163
[그림 3-60] 고용유지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64
[그림 3-61] 평생직업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65
[그림 3-62] 이직용이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66
[그림 3-63] 자영업 적합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67
[그림 3-64] 일자리 수 지표 상·하위 15순위 직업	169
[그림 3-65] 일자리 수 변화 지표 1~3주기 상위 10순위 직업	171
[그림 4-1] 직업군별 입직 시 학력수준의 중요성 변화(2017/2020/2023)	187
[그림 4-2] 고졸자 적합도 및 고졸 청년 적합도가 높은 직업 15위	195
[그림 4-3] 고졸 청년 적합도 및 직업계 고졸 적합도가 높은 직업 15위	197
[그림 4-4] 직업별 고졸 청년 적합도와 학력의 영향력 산점도	198
[그림 4-5] 성별 고용률의 추이: 2017~2022년	230
[그림 4-6] 경력단절여성의 연도별 추이	231
[그림 4-7] 여성가족부의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지원 내용	234
[그림 4-8] 전체 응답자 중 상위 20개 직업 	251
[그림 4-9] 55세 이상 고령자의 취업 가능 직업 분석틀	258
[그림 4-10] 현실적인 은퇴 시기 상·하위 20순위 직업	259
[그림 4-11] 업무만 고려할 때, 은퇴시기 상·하위 20순위 직업	261
[그림 4-12] 현실적 은퇴 연령과 실제 일할 수 있는 연령의 분포도	262
[그림 4-13] 55세 이상 고령자가 취업 교육을 받은 후(자격 취득 포함) 새롭게 취업이 가능한 상·하위 20순위 직업	267
[그림 4-14] 55세 이상 고령자가 새롭게 취업한 경우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상·하위 20순위	268
[그림 4-15] 안전사고 위험 상·하위 16개 직업	284
[그림 4-16] 위생·보건 위험 상·하위 15개 직업	285
[그림 4-17] 물리·화학 위험 상·하위 15개 직업	286
[그림 4-18] 업무 스트레스 상·하위 15개 직업	287
[그림 4-19] 업무상 스트레스의 주된 요인	28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23)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