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탄소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위한 기업혁신과 숙련형성
Corporate Innovation and Skill Formation towards the Decarbonization of Capitalism
- 저자
- 조성익 김봄이 김영빈 남재욱 조계원 최지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23-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3.12.28
- 등록일
- 2024.02.16
요 약_xi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목적 3 제2절 연구 배경 5 제3절 연구의 개요 및 구성 25 제2장 탈탄소 자본주의로의 전환: 기업 혁신과 숙련_27 제1절 선행이론 검토 29 제2절 연구 방법 96 제3장 녹색 전환을 위한 기업의 조직 혁신과 녹색 스킬_113 제1절 조사 목적과 방법 115 제2절 분석 결과 133 제3절 소결 227 제4장 기업의 녹색 전환과 제도적 환경: 해외 사례 분석_231 제1절 사례 분석의 목적 233 제2절 기업 전환과 숙련 체제: 독일 사례 234 제3절 기업 전환과 거버넌스: 영국 사례 270 제5장 결론_311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의의 313 제2절 정책 제언 323 Summary_335 참고문헌_347 부록_377 부록 1. 이차전지 기업체 대상 설문조사 문항 379 부록 2. 이차전지 기업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385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화석연료에 의존하여 환경비용을 사회에 전가하였던 기존의 자본주의 경제에서 탄소중립과 자연과 인간의 경제활동이 지속가능한 균형을 이루는 경제 체제로의 이행에서 기업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기술적으로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며 자원순환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앞서, 그러한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의 운영 방식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바꾸는 것, 즉 기업의 녹색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기업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업의 역량을 높이는 동시에 새롭게 형성되는 탈탄소 경제에서의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녹색 전환의 딜레마를 극복해야 한다. 녹색 전환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한 기업의 혁신적 실천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이다. 기업의 녹색 전환은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실천적 활동을 만들어 내며, 기존의 기업활동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기업의 녹색 전환이 환경오염 문제를 처리하는 특정한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기존의 기업 운영 방식 전체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녹색 전환은 지속가능성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실천적 활동들을 조직하고 조정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녹색 전환을 위한 기업의 지속가능성 역량은 구성원의 녹색 역량, 즉 녹색 스킬에 의존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의 녹색 전환을 위한 조직적 역량과 녹색 스킬은 탈탄소 경제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촉매이자 잠재적 병목요소(bottlenecks)이다. 기업의 녹색 전환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녹색 스킬은 무엇인지, 이것을 효과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숙련체계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동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이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녹색 전환과 녹색 숙련형성체제 구축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focuses on companies in the transition from the existing capitalist economy, which relies on fossil fuels and transfers environmental costs to society, to an economic system that achieves carbon neutrality and a sustainable balance between nature and human economic activities. In particular, companies need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dilemma that they need to increase thei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capabilities and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in the newly formed decarbonized economy. Corporate green transformation needs new practices to improve sustainability and affects entire corporate activities.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rea of dealing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but involves a whole change in how a company operates. Thus company’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depends on its organizational capability of mobilizing green skills. The organizational capacity and green skills companies have can be either a catalyst or bottleneck in the transition to a decarbonized economy. The first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rporate green practices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dilemma. The second objective is to examine how firms organize their activitie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ssues and how they mobilize green skill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green transformation, skill systems,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mechanisms of corporate green transformation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s to promote it. ...
<표 2-1> 탄소세 시행 국가 및 탄소세율, 배출권 거래제 참여 현황 38 <표 2-2> CBAM 적용 품목별 한국의 주요 수출국 및 비중(2019년) 41 <표 2-3>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실천들 64 <표 2-4> 녹색 스킬 유형 85 <표 3-1> 심층 면접 대상자 기업 유형 및 담당 역할과 부서 121 <표 3-2> 이차전지 기업체 대상 심층 인터뷰 질문 구조 124 <표 3-3> 환경 컨설팅 기업체 대상 심층 인터뷰 질문 구조 126 <표 3-4> 응답자 특성 130 <표 4-1> VoC 이론의 LME와 CME 비교 239 <표 4-2> Buemeyer & Thelen의 숙련형성 체제 구분 245 <표 4-3> 독일 탈석탄위원회 구성 257 <표 4-4> 독일 탈석탄위원회의 주요 정책 권고 내역(2019년) 258 <표 4-5> 「탄소중립 전략」(2021)의 주요 내용 277 <표 4-6> TCFD의 기후 관련 정보 공시 권고사항(2017) 281 <표 4-7> 영국의 ‘산업 탈탄소화 전략’(2021) 주요 내용 285 <표 4-8> 녹색 일자리 태스크포스 권고사항(2021) 289 <표 4-9> 탄소중립 이행의 경제 부문별 영향 295 <표 4-10> 「CCUS 전달 계획 2035」(2022)의 주요 내용 303 <부표 2-1> 환경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평가 385 <부표 2-2>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대응 평가 386 <부표 2-3>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금융기관 및 자본 투자자의 요구 387 <부표 2-4>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공급망 내의 고객사의 요구 388 <부표 2-5>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기업 최고경영자의 인식과 의지 389 <부표 2-6>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평가-해외 규제시장에 대한 대응 또는 준비 390 <부표 2-7>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정부의 국내 규제 또는 협조 요청 391 <부표 2-8>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민간기업의 자발적인 변화에 대한 동참 또는 준비 392 <부표 2-9>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환경규제 시장에서 시장 선점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의 인식 393 <부표 2-10>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시민사회의 요구 394 <부표 2-11>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우수한 인재 유인을 위한 기업 친환경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 395 <부표 2-12>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요도-1순위 396 <부표 2-13>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요도-2순위 397 <부표 2-14>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요도-3순위 398 <부표 2-15>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요도-1+2+3순위 399 <부표 2-16>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의 공감대 평가 400 <부표 2-17>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대응의 변화 방향 401 <부표 2-18>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을 초래할 요인 402 <부표 2-19>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에너지 효율성 향상 403 <부표 2-20>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폐기물 감소 및 재활용 배출 감소 404 <부표 2-21>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 405 <부표 2-22>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공급망 지속가능성 관리 406 <부표 2-23>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지속가능성 마케팅 407 <부표 2-24>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녹색 상품 및 서비스 개발 408 <부표 2-25>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녹색 조직문화 개선 409 <부표 2-26>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탄소시장 대응 410 <부표 2-27>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사회 이해관계자 협력 네트워크 구축 411 <부표 2-28>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 부문에 대한 실천 수준 평가-녹색 정책 과정에 참여 412 <부표 2-29> 환경 지속가능성 활동을 실천하는 방식(복수응답) 413 <부표 2-30>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의 타 부서와의 협의 필요성 평가 414 <부표 2-31>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협의 시 타 부서와의 이견이나 갈등 평가 415 <부표 2-32>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관련 원활한 부서 간 협의를 위해 중요한 사항 416 <부표 2-33> 환경 지속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할 사항(복수응답) 417 <부표 2-34>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수행 스킬의 중요성 평가-기후변화 및 탄소규제에 대한 지식 418 <부표 2-35>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수행 스킬의 중요성 평가-외국어 능력 419 <부표 2-36>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수행 스킬의 중요성 평가-에너지 및 IT관련 공학 기술 지식 420 <부표 2-37>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수행 스킬의 중요성 평가-기업가적 스킬 421 <부표 2-38>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수행 스킬의 중요성 평가-관리 및 리더십 스킬 422 <부표 2-39>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수행 스킬의 중요성 평가-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스킬 423 <부표 2-40>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수행 스킬의 중요성 평가-유연한 학습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 424 <부표 2-41>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요구되는 스킬(복수응답) 425 <부표 2-42>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에 필요한 스킬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복수응답) 426 <부표 2-43> 환경 지속가능성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녹색스킬 양성 방법 427 <부표 2-44> 녹색 스킬 양성 방법의 이유 428 <부표 2-45> 녹색 스킬 양성 방법의 이유 429 <부표 2-46> 녹색 스킬 양성 방법의 이유 430 <부표 2-47> 녹색 스킬 양성 방법의 이유 431 <부표 2-48> 녹색 스킬 양성 방법의 이유 432 <부표 2-49> 환경 지속가능성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이용하는 교육훈련 서비스 433 <부표 2-50> 녹색 스킬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실시 또는 활용 이유 434 <부표 2-51> 기업의 환경 지속가능성 인식과 역량을 제고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 435 <부표 2-52> 환경 지속가능성 역량 제고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자체기관으로부터 받은 지원 또는 협력(복수응답) 436 <부표 2-53> 정부의 교육훈련 지원 정책이 초점을 맞추어야 할 녹색 스킬 영역 437 [그림 1-1] 전 산업 시기 기준 세계 연평균 기온 차 7 [그림 1-2] 지구 이산화탄소 배출량(kiloton) 11 [그림 1-3] 전 세계 평균 해수면 변화 13 [그림 1-4] 2019년 전 지구 온실가스배출량 19 [그림 1-5] 주요 국가의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비중 21 [그림 2-1] EU 에너지집약적 수입 현황(10억 유류), 2019년 40 [그림 2-2] 자발적 탄소배출권 발행량 45 [그림 2-3] 유럽 대형은행의 친환경 전환 리스크 47 [그림 2-4] 전 세계 청정에너지 및 화석연료 투자 48 [그림 2-5] 글로벌 분야별 인프라 투자 현황 50 [그림 2-6] 기업 및 정부 재생에너지 연구개발비 51 [그림 2-7] RE100 회원사의 본부 지역별 수 54 [그림 2-8] 전 세계 화석연료 보조금 59 [그림 2-9] 환경 지속가능성 대응 기업 유형 62 [그림 2-10] 공급망 탄소배출 비중 66 [그림 2-11] 공급망(upstream) 탄소배출 문제 해결의 장애 요소들 67 [그림 2-12] 녹색 일자리 유형 73 [그림 2-13]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녹색직업과 녹색 전환 중인 직업 77 [그림 2-14] EU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녹색 스킬(2022) 79 [그림 2-15] 녹색 숙련화 과정과 기업의 조직 혁신 유형 90 [그림 2-16] 기업의 녹색 전환 분석틀 95 [그림 2-17] 전기차 밸류체인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100 [그림 2-18] 전기차 배터리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101 [그림 2-19] 세계 전기차 및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 전망 103 [그림 2-20] 세계 이차전지 소재 및 4대 핵심 소재 시장 전망 104 [그림 2-21] 이차전지 밸류체인 107 [그림 2-22] 배터리 생태계구성 및 경쟁 역학 구도 108 [그림 2-23] 전기차용 이차전지 주요시장 시장점유율 109 [그림 2-24] 2016년과 2021년의 배터리 셀 제조 Top 10 기업별 시장 점유율 110 [그림 2-25] 연구 조사 방법 및 절차 111 [그림 3-1] 환경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인식 135 [그림 3-2] 기업 유형별 환경 지속가능성 인식 137 [그림 3-3] 환경 지속가능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2 [그림 3-4] 기업 유형별 환경 지속가능성 영향 요인(1순위) 143 [그림 3-5] 제품 유형별 ‘시장 선점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의 인식’ 분포(%) 155 [그림 3-6] 기업의 환경 지속가능성 실천 수준 158 [그림 3-7] 공급망 지속가능성 관리 실천 수준(%) 161 [그림 3-8] 녹색 상품 또는 서비스 개발 실천 수준(%) 164 [그림 3-9] 기업의 녹색 조직문화 개선 실천 수준(%) 168 [그림 3-10]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의 타 부서와의 협력 필요성(%) 180 [그림 3-11]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 관련 이견이나 갈등의 수준(%) 184 [그림 3-12]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의 원활한 협의를 위한 중요 요인(%) 193 [그림 3-13] 환경 지속가능성 대응을 위한 선결 과제(%, 복수응답) 194 [그림 3-14] 환경 지속가능성 업무의 조직화 방식(%, 복수응답) 196 [그림 3-15] 중요한 녹색 스킬(%) 208 [그림 3-16] 이차전지 기업의 녹색 스킬 수요(%, 복수응답) 210 [그림 3-17] 녹색 스킬 획득 방법(%, 복수응답) 223 [그림 4-1] 독일 전력 생산의 에너지원별 비중(2022년) 254 [그림 4-2] 독일 전력 소비의 에너지원별 비중 추이(1990~2022년) 255 [그림 4-3] 영국의 GDP와 탄소배출 추이 270 [그림 4-4] 영국 「기후변화법」의 네 가지 핵심 요소 272 [그림 4-5] 영국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 주기 273 [그림 4-6] 영국 기후변화위원회의 주요 역할 274 [그림 4-7] 탄소중립 산업을 위한 로드맵 287 [그림 4-8] 영국 6대 산업 클러스터의 탄소배출량(2018) 301 [그림 4-9] 2019년 지방당국별 1인당 이산화탄소 순배출량(1인당 CO2e톤) 306 [그림 5-1] 기업·산업 전환에 따른 탈탄소 경제로의 이행경로 320 [그림 5-2] 탈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훈련 정책 33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탈탄소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위한 기업혁신과 숙련형성 | 2023.01.01~202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