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K-CESA 사후설명회 진행 현황 21
<표 1-2> K-CESA 진단 참여대학 현황 24
<표 1-3> K-CESA 진단 참여학생 현황 26
<표 1-4> K-CESA 연도별 진단현황 27
<표 2-1> K-CESA 핵심형(4판) 검사 구성 32
<표 2-2> 의사소통역량 기본형 검사 구성 38
<표 2-3> 의사소통역량 핵심형 검사 구성 38
<표 2-4>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일반형 검사 구성 39
<표 2-5>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핵심형 검사 구성 40
<표 2-6> 종합적사고력의 평가요소 41
<표 2-7> 종합적사고력 문항 유형 42
<표 2-8> 종합적사고력의 문항 수 및 배점 43
<표 2-9> K-CESA 의사소통역량 문항분석 대상 44
<표 2-10>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문항분석 대상 45
<표 2-11> K-CESA 종합적사고력 문항분석 대상 45
<표 2-12> K-CESA 의사소통역량 Pilot Test 분석 대상 46
<표 2-13>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Pilot Test 분석 대상 47
<표 2-14> K-CESA 의사소통역량 ‘듣기’ 영역 문항분석 결과(n=216) 49
<표 2-15> K-CESA 의사소통역량 ‘토론과 조정’ 영역 문항분석 결과(n=216) 50
<표 2-16> K-CESA 의사소통역량 ‘읽기’ 영역 문항분석 결과(n=216) 51
<표 2-17> K-CESA 의사소통역량 문항 선정 결과 52
<표 2-18>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자원’ 영역 문항분석 결과(n=583) 53
<표 2-19>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정보’ 영역 문항분석 결과(n=583) 54
<표 2-20>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기술’ 영역 문항분석 결과(n=583) 55
<표 2-21>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문항 선정 결과 56
<표 2-22> 종합적사고력 핵심형 구성(안) 점수와 일반형 총점 간 상관 58
<표 2-23> 종합적사고력 핵심형 1안 문항별 기술통계량, 변별도, 신뢰도 59
<표 2-24> 종합적사고력 핵심형 2안 문항별 기술통계량, 변별도, 신뢰도 59
<표 2-25> 종합적사고력 핵심형 3안 문항별 기술통계량, 변별도, 신뢰도 60
<표 2-26> 종합적사고력 핵심형 2안 영역별 점수 규준표 61
<표 2-27> K-CESA 의사소통역량 문항 선지분포 및 난이도(n=295) 63
<표 2-28> K-CESA 의사소통역량 문항 기술통계 및 변별도(n=295) 64
<표 2-29>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문항 선지 분포 및 난이도(n=347) 65
<표 2-30>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문항 기술통계 및 변별도(n=347) 66
<표 2-31> K-CESA 의사소통역량 신뢰도 67
<표 2-32> K-CESA 의사소통역량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적합도 68
<표 2-33> K-CESA 의사소통역량 문항 요인부하량 68
<표 2-34>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신뢰도 70
<표 2-35>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적합도 71
<표 2-36>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문항 요인부하량 71
<표 2-37> 문항 재선정 후 K-CESA 의사소통역량 변별도 및 신뢰도 74
<표 2-38> K-CESA 의사소통역량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적합도(문항 재선정 후) 74
<표 2-39> K-CESA 의사소통역량 문항 요인부하량(문항 재선정 후) 75
<표 3-1> 인간과 기계의 능력이 최적화된 영역 86
<표 3-2> ‘DeSeCo 프로젝트’와 ‘교육 2030 프로젝트’의 특징 87
<표 3-3>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cies) 88
<표 3-4> ATC21s 21세기 역량 88
<표 3-5> P21 프레임워크 90
<표 3-6> Global Skill Taxonomy 92
<표 3-7> 역량 개념의 변천사 94
<표 3-8> 하버드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변화 95
<표 3-9> 2015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역량 비교 97
<표 3-10> 응답자 구성 99
<표 3-11> 자료 수집 방법 100
<표 3-12> 1차 온라인 설문조사 내용 101
<표 3-13> 국내 대학의 핵심역량 중 K-CESA에 포함되지 않은 역량 102
<표 3-14> 2차 인터뷰 질문 구성 104
<표 3-15> 미래사회 노동시장 관점에서 중요 역량 다중응답 빈도분석 결과 105
<표 3-16> 미래사회 노동시장 관점에서 중요 역량 순위다중응답 평균 점수 106
<표 3-17> 전문가 집단별 미래사회 노동시장 관점에서 역량의 중요도 107
<표 3-18> 미래사회 노동시장 관점에서 중요한 역량 응답 이유 108
<표 3-19> 인간의 전인적 성장 관점에서 중요 역량 다중응답 빈도분석 결과 110
<표 3-20> 인간의 전인적 성장 관점에서 중요 역량 순위다중응답 평균 점수 112
<표 3-21> 전문가 집단별 인간의 전인적 성장 관점에서 역량의 중요도 순위 113
<표 3-22> 인간의 전인적 성장 관점에서 중요한 역량 응답 이유 114
<표 3-23> 미래사회 노동시장 및 인간의 전인적 성장 관점에서 역량 중요도 순위 118
<표 3-24> 기존 K-CESA 핵심역량 수정·보완 의견 119
<표 3-25> K-CESA 문항 유형 및 평가방식에 관한 응답 내용 121
<표 3-26> K-CESA 역량별 문항 유형 및 평가방식에 관한 응답 내용 121
<표 3-27> K-CESA 문항 수에 관한 응답 내용 122
<표 3-28> K-CESA 평가시간에 관한 응답 내용 123
<표 3-29> 새로운 역량에 관한 응답 내용 123
<표 3-30>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25
<표 3-31> 세계시민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26
<표 3-32> 공존공감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28
<표 3-33> 문제해결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29
<표 3-34> 창의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29
<표 3-35> 융합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30
<표 3-36> 검사 방법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32
<표 3-37> 채점 방법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33
<표 3-38> 활용 방법 관련 인터뷰 언급 내용 134
<표 3-39> 기타 인터뷰 언급 내용 135
<표 3-40> 새롭게 제시된 역량 주요 조사 결과 138
<표 3-41> 평가방법 주요 조사 결과 140
<표 4-1> K-CESA 개인정보 유형 및 종류 152
<표 4-2> K-CESA 분야별 보안활동 153
<표 4-3> K-CESA 클라우드 전환 진행 일정 156
<표 4-4> K-CESA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하드웨어 변동 사항 156
<표 4-5> K-CESA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소프트웨어 변동 사항 157
<표 4-6> K-CESA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보안관제 시스템 변동 사항 157
<표 5-1> K-CESA 향후 운영계획 164
<표 6-1> 핵심역량별 K-CESA 점수 177
<표 6-2> 자기관리역량 점수(전체) 180
<표 6-3> 자기관리역량 점수(수도권) 181
<표 6-4> 자기관리역량 점수(비수도권) 182
<표 6-5> 대인관계역량 점수(전체) 186
<표 6-6> 대인관계역량 점수(수도권) 187
<표 6-7> 대인관계역량 점수(비수도권) 188
<표 6-8>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점수(전체) 192
<표 6-9>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점수(수도권) 193
<표 6-10>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점수(비수도권) 194
<표 6-11> 글로벌역량 점수(전체) 198
<표 6-12> 글로벌역량 점수(수도권) 199
<표 6-13> 글로벌역량 점수(비수도권) 200
<표 6-14> 의사소통역량 점수(전체) 204
<표 6-15> 의사소통역량 점수(수도권) 205
<표 6-16> 의사소통역량 점수(비수도권) 206
<표 6-17> 종합적사고력 점수(전체) 210
<표 6-18> 종합적사고력 점수(수도권) 211
<표 6-19> 종합적사고력 점수(비수도권) 212
<표 6-20> 출신 고등학교 유형 216
<표 6-21>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K-CESA 점수 216
<표 6-22>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220
<표 6-23>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221
<표 6-24>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점수 222
<표 6-25>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글로벌역량 점수 223
<표 6-26>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224
<표 6-27> 출신 고등학교 유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25
<표 6-28> 입학 전형 방법 226
<표 6-29> 입학 전형 방법별 K-CESA 점수 227
<표 6-30> 입학 전형 방법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230
<표 6-31> 입학 전형 방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231
<표 6-32> 입학 전형 방법별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점수 232
<표 6-33> 입학 전형 방법별 글로벌역량 점수 233
<표 6-34> 입학 전형 방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234
<표 6-35> 입학 전형 방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35
<표 6-36> 진로 계획 236
<표 6-37> 진로 계획별 K-CESA 점수 237
<표 6-38> 진로 계획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239
<표 6-39> 진로 계획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240
<표 6-40> 진로 계획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점수 241
<표 6-41> 진로 계획별 글로벌역량 점수 242
<표 6-42> 진로 계획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243
<표 6-43> 진로 계획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44
<표 6-44> 학점 평균 245
<표 6-45> 학점별 K-CESA 점수 246
<표 6-46> 학점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249
<표 6-47> 학점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250
<표 6-48> 학점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51
<표 6-49> 학점별 글로벌역량 점수 252
<표 6-50> 학점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253
<표 6-51> 학점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54
<표 6-52> 가정 경제 사정 256
<표 6-53> 가정 경제 사정별 K-CESA 점수 256
<표 6-54> 가정 경제 사정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259
<표 6-55> 가정 경제 사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260
<표 6-56> 가정 경제 사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61
<표 6-57> 가정 경제 사정별 글로벌역량 점수 262
<표 6-58> 가정 경제 사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263
<표 6-59> 가정 경제 사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64
<표 6-60> 학비 조달 방법 265
<표 6-61> 학비 조달 방법별 K-CESA 점수 266
<표 6-62> 학비 조달 방법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269
<표 6-63> 학비 조달 방법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270
<표 6-64> 학비 조달 방법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71
<표 6-65> 학비 조달 방법별 글로벌역량 점수 272
<표 6-66> 학비 조달 방법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273
<표 6-67> 학비 조달 방법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74
<표 6-68> 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 276
<표 6-69> 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K-CESA 점수 276
<표 6-70> 자기관리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자기관리역량 점수 278
<표 6-71>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대인관계역량 점수 280
<표 6-72>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점수 282
<표 6-73> 글로벌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글로벌역량 점수 284
<표 6-74> 의사소통역량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의사소통역량 점수 286
<표 6-75> 종합적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참여 여부별 종합적사고력 점수 288
<표 6-76> ‘듣기’ 영역 규준표 290
<표 6-77> ‘토론과 조정’ 영역 규준표 290
<표 6-78> ‘읽기’ 영역 규준표 290
<표 6-79> ‘쓰기’ 영역 규준표 291
<표 6-80> ‘말하기’ 영역 규준표 293
<표 6-81> 의사소통역량 총점 규준표 295
<표 6-82> ‘자원’ 영역 규준표 304
<표 6-83> ‘정보’ 영역 규준표 304
<표 6-84> ‘기술’ 영역 규준표 304
<표 6-85>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총점 규준표 305
[그림 1-1] K-CESA 사업 추진 체계 10
[그림 1-2] K-CESA 시스템 구성도 15
[그림 2-1] K-CESA 핵심형 개발 절차 35
[그림 2-2] K-CESA 종합적사고력 핵심형 개발(안) 57
[그림 2-3] K-CESA 의사소통역량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9
[그림 2-4] K-CESA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72
[그림 2-5] K-CESA 의사소통역량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문항 재선정 후) 76
[그림 3-1] K-CESA 핵심역량 모델 82
[그림 3-2] K-CESA 핵심역량 재구조화 과정 84
[그림 3-3] 21세기 학습 프레임 워크 89
[그림 3-4] P21 프레임워크 91
[그림 3-5] 전문가 집단별 미래사회 노동시장 관점에서 역량별 중요도 순위 108
[그림 3-6] 전문가 집단별 인간의 전인적 성장 관점에서 역량 중요도 114
[그림 3-7] 미래사회 노동시장 및 인간의 전인적 성장 관점에서 역량 중요도 순위 118
[그림 4-1] K-CESA 시스템 장애 발생 대책 149
[그림 6-1] 자기관리역량 점수(2023) 183
[그림 6-2] 대인관계역량 점수(2023) 189
[그림 6-3]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점수(2023) 195
[그림 6-4] 글로벌역량 점수(2023) 201
[그림 6-5] 의사소통역량 점수(2023) 207
[그림 6-6] 종합적사고력 점수(2023)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