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기존의 대학 역량 진단도구와 본 연구의 차이 7
<표 1-2> 연구 내용 11
<표 2-1> K-SDGs와 지자체의 L-SDGs 매칭 예시 25
<표 2-2> 지역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 관련 선행연구 40
<표 2-3> 지역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 관련 선행연구 42
<표 2-4> 지역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 관련 선행연구 44
<표 2-5>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 관련 선행연구 45
<표 3-1> 대학의 지역사회공헌 지수(한국교통대학교, 2022) 50
<표 3-2> 산업체 및 지역사회 특화센터 지수(한국교통대학교, 2022) 51
<표 3-3> 대학 창업활동 기반의 지역연계 평가지표(변영조 외, 2020) 52
<표 3-4> 대학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측정지표(신진영ㆍ이종호, 2017) 54
<표 3-5> LINC+ 핵심성과지표(산학협력 고도화형) 57
<표 3-6> LINC+사업 지역사회 기여 측정 정량 지표(산학협력 고도화형) 58
<표 3-7> LINC+ 핵심성과지표(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60
<표 3-8> LINC+사업 지역사회 기여 측정 정량 지표(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60
<표 3-9> LINC+사업 지역사회 기여 측정 정성 지표(산학협력 고도화형) 62
<표 3-10> LINC+사업 지역사회 기여 측정 정성 지표(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64
<표 3-11> LINC 3.0 핵심성과지표(일반대) 68
<표 3-12> LINC 3.0 핵심성과지표(전문대) 69
<표 3-13> LINC 3.0 3S 지수(안) 70
<표 3-14>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핵심성과지표(안) 71
<표 3-15>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성과지표 74
<표 3-16>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Ⅲ유형) 연차평가 지표정의서(안) 76
<표 3-17>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 성과지표 77
<표 3-18> 글로컬대학 본지정 시 평가 기준(안) 79
<표 3-19> 대학의 지역 기여도 및 영향력 성과 분석(Impact) 80
<표 3-20> 대학평가인증(3주기) 평가 영역 및 평가 준거 81
<표 3-21> 평가 준거별 보고서 주요 내용 및 근거 자료 목록: 5영역 82
<표 3-22>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의 전문대학 평가인증기준 84
<표 3-23> 전문대학 평가인증기준 중 지역사회 기여를 반영한 정성적 평가 요소 86
<표 3-24> 정책성 분석 항목의 범주화 87
<표 3-25> 대학의 산업 기여도 평가항목 및 지표 예시 89
<표 3-26> 시민대학의 시민적 영향력 측정지표 93
<표 3-27> 협동 대학’ 프로젝트 성과 측정 항목 98
<표 3-28> 요코하마시립대 CoC사업 달성 목표 100
<표 3-29> 아일랜드 대학협회 시민과 지역사회 참여 고등교육 측정지표 102
<표 3-30>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지역혁신영향 평가지표 107
<표 3-31> 하노버 연구 공공 참여 전략 및 평가지표 110
<표 4-1>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지역사회 기여도 진단모형의 대영역 및 소영역 118
<표 4-2> 진단모형 타당화 작업 절차 119
<표 4-3> 델파이 조사 개요 120
<표 4-4> 델파이 조사 대상 121
<표 4-5> 델파이 조사 내용 123
<표 4-6> 델파이 조사 지표 선정 기준 126
<표 4-7> 1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대영역에 대한 패널 의견 수렴 결과 127
<표 4-8> 1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소영역에 대한 패널 의견 수렴 결과 128
<표 4-9> 1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타당도 및 판정 130
<표 4-10> 1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경제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타당도 및 판정 132
<표 4-11> 1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타당도 및 판정 133
<표 4-12>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2차 델파이 조사에 추가된 후보 지표 134
<표 4-13> 영역별 소영역 개념 및 모형 타당도에 관한 결과(2차 델파이 조사) 135
<표 4-14>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대영역에 대한 패널 의견 수렴 결과 136
<표 4-15>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소영역에 대한 패널 의견 수렴 결과 137
<표 4-16>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타당도 139
<표 4-17>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표에 대한 패널 의견 140
<표 4-18> ‘지역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판정 결과 142
<표 4-19>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경제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타당도 144
<표 4-20>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경제적 지속가능성’ 지표에 대한 패널 의견 145
<표 4-21> ‘지역의 경제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판정 결과 146
<표 4-22>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타당도 147
<표 4-23> 2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지역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표에 대한 패널 의견 149
<표 4-24> ‘지역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표의 판정 결과 150
<표 4-25> 지역대학의 지역사회 기여도 진단모형 152
<표 5-1> 지표 간 쌍대비교 문항 구성 예시 158
<표 5-2> AHP 조사 대상 159
<표 5-3> 대영역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 분석 결과 160
<표 5-4> 소영역의 상대적 중요도(가중치) 분석 결과 161
<표 5-5> 지역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측정지표의 가중치 및 우선순위 163
<표 5-6> 지역의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정지표의 가중치 및 우선순위 165
<표 5-7> 지역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측정지표의 가중치 및 우선순위 167
<표 5-8> 측정지표의 종합가중치 및 우선순위 169
<표 6-1> 대영역별 1~10순위 세부 지표 176
<표 6-2> 지역대학의 지역사회 기여도 진단모형 지표 체계 178
<표 6-3> K-SDGs, L-SDGs(부산광역시)과의 매칭표 예시 184
[그림 2-1] UN의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프레임워크 22
[그림 2-2]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체계 23
[그림 2-3] K-SDGs의 비전 및 전략 24
[그림 2-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대학의 기여 요소(미국 피츠버그 대학) 29
[그림 2-5] USR 프레임워크 32
[그림 2-6 지역의 앵커기관으로서의 대학 35
[그림 2-7]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 37
[그림 3-1] LINC 3.0 육성사업 지원 유형 67
[그림 6-1] 대학의 지역사회 기여도 진단모형 체계 176
[그림 6-2] THE 세계 대학 영향력 평가 지표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