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23)
- 저자
- 유명환 김지영 민숙원 최수현 이지은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23-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발행일
- 2023.12.28
- 등록일
- 2024.03.08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OECD 교육지표교육성과지표OECD INES LSO
요 약_ix 제1장 사업 개요_1 제1절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사업의 내용 및 추진 방법 6 제3절 사업 추진 경과 8 제2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활동_11 제1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13 제2절 OECD 교육지표 2023 17 제3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_29 제1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제29차 총회 31 제2절 OECD INES LSO 네트워크 제30차 총회 78 제4장 OECD 교육성과 지표: 이슈 분석_129 제1절 한국 고등교육 투자의 특성 ? 주요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131 제2절 한국 고교 직업교육의 현황 국제 비교 154 제5장 사업성과 및 향후 개선 방안_181 제1절 사업성과 183 제2절 향후 개선 방안 186 참고문헌_188
○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및 향후 지표자료집 구성을 위하여 OECD가 매년 요청하는 통계자료를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공하여 제공하고 지표와 관련된 수시 요청에 대응함. ○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연 2회 개최)에 참석하여 EAG 지표 검토 및 신규 지표 개발 작업 과정에 참여하여 OECD INES 총회에서 논의된 현안을 중심으로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 관련 동향 분석 자료를 도출함. ○ 교육 및 노동시장 연계에 관련한 국제통계 정보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의 개선 및 연구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며, 본원 연구원에게 OECD 총회 결과 및 최신 OECD 교육지표 성과 등 관련 이슈를 공유함. ○ LSO 총회의 주요 안건 중에서 보다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한 주제를 선정하여 이슈 분석을 하고, 그 내용을 전문가 포럼을 통해 공유함. EAG 2023의 중점 이슈인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을 주제로 한 올해 이슈 분석은 두 가지 주제로, 첫째는 ‘한국 고등교육 투자의 특성 ? 주요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이고, 둘째는 ‘한국 고교 직업교육의 현황 국제 비교’임.
<표 2-1> OECD 교육지표 자료 수록 국가 14 <표 2-2> LSO 네트워크 총회 및 분과별 주요 활동 16 <표 2-3> OECD 교육지표 구성(2023) 22 <표 2-4> EAG 2022: A4 지표 데이터 산출 방식 24 <표 2-5> 교육수준별 상대적 임금 26 <표 2-6> 중위소득 대비 소득수준 분포 27 <표 2-7> 교육수준별 남녀 소득격차 28 <표 3-1> 기타 INES 항목 평가값 34 <표 3-2> 갱신 세부 일정 38 <표 3-3> EAG의 PIAAC 데이터 포함에 대한 임시 일정표 48 <표 3-4> EAG 2023 데이터 수집 49 <표 3-5> EAG 2023 지표 A7 제안 사항 54 <표 3-6> 설문 세부 일정 80 <표 3-7> EAG 세부 일정 81 <표 3-8> 주제별 보고서 83 <표 3-9> 세부 일정(임시) 84 <표 3-10> 상대 급여 측정의 편향 또는 잠재적 편향성 87 <표 3-11> 지난 몇 년간 주요 발전 사항 93 <표 4-1> 필요 교육수준 대비 실제 인력의 미스매치 136 <표 4-2> 고등교육과 시장경제 체제 비교 143 <표 4-3> 고교 직업교육 참여 학생 비율 159 <표 4-4> 연도별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 수 및 학교 수 160 <표 4-5> 직업계고 취업률 계산 방식에 따른 취업률 169 [그림 3-1] 지표 개발을 위한 각 주제별 평가 점수 35 [그림 3-2] 주제별 데이터 가용성 36 [그림 3-3] 비정규직 고용에 대한 데이터 수집-제안 사항 44 [그림 3-4] OECD.stat 비공개 버전의 주기 변수에 대한 유효성 검사 50 [그림 3-5] 교육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네 가지 차원 51 [그림 3-6] 프레임워크 제안(2023년 3월 버전) 56 [그림 3-7] 데이터 게시 및 분석 캘린더 62 [그림 3-8] 부모의 재산이 미치는 영향 94 [그림 3-9] 4As 프레임워크 95 [그림 3-10] 4As 95 [그림 3-11] A5 등급 - “높음” 또는 “매우 높음” 등급을 부여한 국가의 비율 100 [그림 3-12] ESO WG 작업 계획 요약 104 [그림 3-13] 국가별 고등교육 학생을 위한 재정 지원 110 [그림 3-14] 프레임워크 업데이트(Excel) 117 [그림 4-1] 크레덴셜리즘의 구조와 논리 132 [그림 4-2] 각국의 국민 소득 대비 교육 지출 133 [그림 4-3]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전체 졸업생과 석박사 졸업생의 수적 추이 135 [그림 4-4] 월평균 사교육비 수준(2021년, 2022년) 137 [그림 4-5] 가구 소득수준별 사교육 참가와 지출 138 [그림 4-6] 사립 고등교육기관에 다니는 학생의 비중 139 [그림 4-7] 고등교육 투자에서 사적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2020년) 140 [그림 4-8] 사적 고등교육 투자의 출처(2019) 140 [그림 4-9] 공적 교육 투자의 변화(2015-2019) 141 [그림 4-10] 고등교육 사적 투자의 비중과 지니계수(2020년) 145 [그림 4-11] 고등교육 사적 투자 비중과 상대적 빈곤율 146 [그림 4-12] 부모의 교육수준과 자녀의 대학 진학 상황 148 [그림 4-13] 고소득자의 자녀가 고등교육을 받는 것이 정당하다는 인식 비중 149 [그림 4-14] 고소득자의 자녀가 고등교육을 받는 것이 정당하다는 인식 비중과 사적 고등교육 투자 비중의 관련 150 [그림 4-15] 연도별 직업계 고등학교에 재적한 학생 비율 158 [그림 4-16]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수 및 학교 수 변화 160 [그림 4-17] 일반계 고교 언어능력 161 [그림 4-18] 직업계 고교 언어능력 161 [그림 4-19] 언어능력 계열 간 차이 162 [그림 4-20] 직업계고 수리력 163 [그림 4-21] 일반계고 수리력 163 [그림 4-22] 수리력 계열 간 차이 163 [그림 4-23] 주당 국어 시간_직업계열 165 [그림 4-24] 주당 국어 수업 시간_일반계열 166 [그림 4-25] 주당 수학 수업 시간_직업계열 167 [그림 4-26] 주당 수학 수업 시간_일반계열 167 [그림 4-27] 주요 국가의 학력별 임금격차 171 [그림 4-28] 연도별 전문대 졸업자와 고졸자의 소득격차 172 [그림 4-29] 연도별 4년제 대졸자와 고졸자의 소득격차 17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23) | 2023.01.01~2023.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