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연구 내용 및 방법 7
<표 2-1> 교육국제화특구 1, 2, 3기 지정개요 주요 내용 16
<표 2-2> 1~3기 교육국제화특구 지역별 주요 사업 내용 18
<표 2-3> 해외인재 유치 및 관리 관련 최신 선행연구 21
<표 2-4> 해외인재의 국내 정주 및 복지 관련 최신 선행연구 24
<표 2-5> 지역별 학위과정별 유학생 수 29
<표 2-6>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응답자 수 및 비중 변화 32
<표 2-7> 국적별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응답자 비중 변화 34
<표 2-8>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의 인적 구성 35
<표 2-9>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취업자 비율 36
<표 2-10>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연 근로소득 분포 38
<표 2-11>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연 근로소득 분포(STEM 전공) 39
<표 2-12> 현 업무와 전공과의 관련성 40[
<표 2-13> 박사학위 취득 이후 거주 계획 41
<표 2-14> 박사학위 취득 이후 거주 계획(권역별) 42
<표 2-15> 권역별 대학원 소재지와 직장 소재지 일치율 43
<표 2-16> 외국인 박사의 대학원 소재지별 직장 소재지 44
<표 2-17> 내국인 학업념 박사의 대학원 소재지별 직장 소재지 44
<표 3-1> 충청권역 광역지자체별 주력산업과 신산업 50
<표 3-2> 광주광역시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중 미래산업 육성계획 51
<표 3-3> 12대 주력산업별 채용예정인력(2020년 기준) 53
<표 3-4> 동남권역 산업별 종사자 비중(2021년 기준) 55
<표 3-5> 동남권역 산업별 신규 구인인원 상위 10개 업종(2020년 10월 기준) 56
<표 3-6> 지역별 외국인 구인인원, 채용인원, 미충원율 (2023년 1분기) 68
<표 3-7> 지역별 외국인 구인인원 증감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71
<표 3-8> 지역별 외국인 채용인원 증감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72
<표 3-9> 지역별 외국인 미충원율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73
<표 3-10> 지역내 산업별 고용 증가율 (2022년, 2023년 1~9월) 78
<표 3-11> 제조업 지역별 직능수준별 외국인 미충원인원 및 미충원율(2023년 1분기) 81
<표 3-12> 서울지역 서비스업의 외국인 구인 및 채용의 직종별, 직능수준별 분포 85
<표 4-1> 해외인재 유치를 위한 지역 이해관계자 간 협력 사례 분석 94
<표 4-2> 지역 고등교육 전문가 대상 조사 응답자 정보 101
<표 5-1> 캐나다 유학생 출신 국가: 상위 10개국 131
<표 5-2> 졸업 후 취업 비자의 유효 기간 조건 135
<표 5-3> OINP의 유학생 프로그램 신청이 가능한 학교 목록 138
<표 5-4>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고용/노동시장 139
<표 5-5>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언어 능력 139
<표 5-6>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지역 139
<표 5-7>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학력 140
<표 5-8> 호주 유학생 출신 국가: 상위 10개국 148
<표 5-9> 호주 유학생 주별 분포 149
<표 5-10> 서부 호주의 EOI 평가 체계 154
<표 5-11> 남부 호주의 Graduates 스트림 자격 요건 155
<표 6-1> 해외인재 기초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모델 주요 내용 174
<표 6-2> 해외인재 대상 지역대학 간 연계 프로그램 운영 모델 주요 내용 178
<표 6-3> 해외인재 대상 산학연계 프로그램 및 취업 연계형 계약학과 모델 주요 내용 181
[그림 2-1] Study Korea 300K Project의 비전 및 핵심과제 14
[그림 2-2] 교육국제화특구 확대・개편(안) 15
[그림 2-3] 학위과정 유학생 수 26
[그림 2-4] 비학위과정 유학생 수 26
[그림 2-5] 지역별 학생 만 명당 외국인 유학생 수(학위과정) 27
[그림 2-6] 지역별 학위과정별 유학생 비율 28
[그림 2-7] 지역별 유학생 전공 비율(이공계열, 非이공계열) 30
[그림 2-8] 지역별 이공계열 유학생 수 30
[그림 2-9]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응답자 수 및 비중 변화 33
[그림 2-10]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취업자 비율(STEM, 예술 및 인문학) 37
[그림 3-1] 전라남도 블루 이코노미 6대 프로젝트 산업 52
[그림 3-2] 외국인 구인인원, 채용인원, 미충원율 추이(2018년 Q1~2023년 Q1) 60
[그림 3-3] 경제성장률 및 고용지표 추이 61
[그림 3-4] 외국인 구인인원, 채용인원 증감(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63
[그림 3-5] 전체 구인 및 채용인원에서 외국인과 내국인 비중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64
[그림 3-6] 산업별 외국인 구인인원(위), 내국인 구인인원(아래) 비중(각 연도 1분기 기준) 65
[그림 3-7] 외국인(좌) 및 내국인(우)의 직능수준별 구인인원 비중 (2023년 1분기) 66
[그림 3-8] 외국인(좌) 및 내국인(우)의 직능수준별 구인인원 비중 (2023년 1분기) 67
[그림 3-9] 지역별 내국인 종사자 대비 외국인 종사자 비중 70
[그림 3-10] 지역내 산업구조 75
[그림 3-11] 지역 내 산업별 고용 비중 (2023년 1~9월 기준) 77
[그림 3-12] 지역별 제조업 중분류 고용 비중(2023년 1분기) 79
[그림 3-13] 서울의 건설업 외국인과 내국인의 구인 및 채용 증감(연도별 1분기 기준) 83
[그림 3-14] 교육서비스업과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의 외국인 구인 및 채용 증감(각 연도 1분기 기준) 86
[그림 4-1] 협력 범위에 따른 유형 구분 92
[그림 4-2] 협력 목적에 따른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 유형 구분 124
[그림 5-1] 캐나다의 주(province)별 유학생 분포 132
[그림 5-2] 2022년 호주 기술 우선순위 목록(일부 발췌) 158
[그림 6-1]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 단계별 전략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