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기업-지자체 협업을 통한 지역 중심의 해외인재 유치 방안

저자
민숙원 송창용 장광남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3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2.28
등록일
2024.03.08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해외인재 유치외국인력
요 약_ix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8
제2장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 성과_11
	제1절 해외인재 관련 최신 정책 동향 및 선행연구 리뷰	13
	제2절 지역별 유학생 특성 분석	25
	제3절 지역별 국내 취업 외국인 유학생의 노동시장 이행	31
	제4절 소결	45
제3장 지역의 산업 특성과 해외인재 수요_47
	제1절 권역별 주력산업 현황	49
	제2절 지역의 외국인력 수요 분석	57
	제3절 소결	87
제4장 해외인재 유치를 위한 지역의 전략_89
	제1절 해외인재 관련 대학-기업-지자체 협력 사례 리뷰	91
	제2절 고등교육 전문가가 본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 전략 및 과제	101
	제3절 해외인재 유치를 위한 지자체의 추진 전략	115
	제4절 소결	123
제5장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 관련 국외 제도 현황_127
	제1절 캐나다의 해외인재 유치	129
	제2절 호주의 해외인재 유치	146
	제3절 소결	159
제6장 지역 협업 기반 해외인재 유치를 위한 과제_163
	제1절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를 위한 중앙정부 및 지역의 과제	165
	제2절 지역 협업 기반 해외인재 유치 모델	172
참고문헌_183
부 록_197
<표 1-1> 연구 내용 및 방법	7
<표 2-1> 교육국제화특구 1, 2, 3기 지정개요 주요 내용	16
<표 2-2> 1~3기 교육국제화특구 지역별 주요 사업 내용	18
<표 2-3> 해외인재 유치 및 관리 관련 최신 선행연구	21
<표 2-4> 해외인재의 국내 정주 및 복지 관련 최신 선행연구	24
<표 2-5> 지역별 학위과정별 유학생 수	29
<표 2-6>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응답자 수 및 비중 변화	32
<표 2-7> 국적별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응답자 비중 변화	34
<표 2-8>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의 인적 구성	35
<표 2-9>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취업자 비율	36
<표 2-10>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연 근로소득 분포	38
<표 2-11>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연 근로소득 분포(STEM 전공)	39
<표 2-12> 현 업무와 전공과의 관련성	40[
<표 2-13> 박사학위 취득 이후 거주 계획	41
<표 2-14> 박사학위 취득 이후 거주 계획(권역별)	42
<표 2-15> 권역별 대학원 소재지와 직장 소재지 일치율	43
<표 2-16> 외국인 박사의 대학원 소재지별 직장 소재지	44
<표 2-17> 내국인 학업념 박사의 대학원 소재지별 직장 소재지	44
<표 3-1> 충청권역 광역지자체별 주력산업과 신산업	50
<표 3-2> 광주광역시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중 미래산업 육성계획	51
<표 3-3> 12대 주력산업별 채용예정인력(2020년 기준)	53
<표 3-4> 동남권역 산업별 종사자 비중(2021년 기준)	55
<표 3-5> 동남권역 산업별 신규 구인인원 상위 10개 업종(2020년 10월 기준)	56
<표 3-6> 지역별 외국인 구인인원, 채용인원, 미충원율 (2023년 1분기)	68
<표 3-7> 지역별 외국인 구인인원 증감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71
<표 3-8> 지역별 외국인 채용인원 증감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72
<표 3-9> 지역별 외국인 미충원율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73
<표 3-10> 지역내 산업별 고용 증가율 (2022년, 2023년 1~9월)	78
<표 3-11> 제조업 지역별 직능수준별 외국인 미충원인원 및 미충원율(2023년 1분기)	81
<표 3-12> 서울지역 서비스업의 외국인 구인 및 채용의 직종별, 직능수준별 분포	85
<표 4-1> 해외인재 유치를 위한 지역 이해관계자 간 협력 사례 분석	94
<표 4-2> 지역 고등교육 전문가 대상 조사 응답자 정보	101
<표 5-1> 캐나다 유학생 출신 국가: 상위 10개국	131
<표 5-2> 졸업 후 취업 비자의 유효 기간 조건	135
<표 5-3> OINP의 유학생 프로그램 신청이 가능한 학교 목록	138
<표 5-4>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고용/노동시장	139
<표 5-5>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언어 능력	139
<표 5-6>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지역	139
<표 5-7> OINP의 유학생 자격 평가 요소: 학력	140
<표 5-8> 호주 유학생 출신 국가: 상위 10개국	148
<표 5-9> 호주 유학생 주별 분포	149
<표 5-10> 서부 호주의 EOI 평가 체계	154
<표 5-11> 남부 호주의 Graduates 스트림 자격 요건	155
<표 6-1> 해외인재 기초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모델 주요 내용	174
<표 6-2> 해외인재 대상 지역대학 간 연계 프로그램 운영 모델 주요 내용	178
<표 6-3> 해외인재 대상 산학연계 프로그램 및 취업 연계형 계약학과 모델 주요 내용	181
[그림 2-1] Study Korea 300K Project의 비전 및 핵심과제	14
[그림 2-2] 교육국제화특구 확대・개편(안)	15
[그림 2-3] 학위과정 유학생 수	26
[그림 2-4] 비학위과정 유학생 수	26
[그림 2-5] 지역별 학생 만 명당 외국인 유학생 수(학위과정)	27
[그림 2-6] 지역별 학위과정별 유학생 비율	28
[그림 2-7] 지역별 유학생 전공 비율(이공계열, 非이공계열)	30
[그림 2-8] 지역별 이공계열 유학생 수	30
[그림 2-9] 외국인 국내 박사학위 신규 취득자 응답자 수 및 비중 변화	33
[그림 2-10] 외국인 학업전념 박사의 취업자 비율(STEM, 예술 및 인문학)	37
[그림 3-1] 전라남도 블루 이코노미 6대 프로젝트 산업	52
[그림 3-2] 외국인 구인인원, 채용인원, 미충원율 추이(2018년 Q1~2023년 Q1)	60
[그림 3-3] 경제성장률 및 고용지표 추이	61
[그림 3-4] 외국인 구인인원, 채용인원 증감(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63
[그림 3-5] 전체 구인 및 채용인원에서 외국인과 내국인 비중 추이(2019년 1분기~2023년 1분기)	64
[그림 3-6] 산업별 외국인 구인인원(위), 내국인 구인인원(아래) 비중(각 연도 1분기 기준)	65
[그림 3-7] 외국인(좌) 및 내국인(우)의 직능수준별 구인인원 비중 (2023년 1분기)	66
[그림 3-8] 외국인(좌) 및 내국인(우)의 직능수준별 구인인원 비중 (2023년 1분기)	67
[그림 3-9] 지역별 내국인 종사자 대비 외국인 종사자 비중	70
[그림 3-10] 지역내 산업구조	75
[그림 3-11] 지역 내 산업별 고용 비중 (2023년 1~9월 기준)	77
[그림 3-12] 지역별 제조업 중분류 고용 비중(2023년 1분기)	79
[그림 3-13] 서울의 건설업 외국인과 내국인의 구인 및 채용 증감(연도별 1분기 기준)	83
[그림 3-14] 교육서비스업과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의 외국인 구인 및 채용 증감(각 연도 1분기 기준)	86
[그림 4-1] 협력 범위에 따른 유형 구분	92
[그림 4-2] 협력 목적에 따른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 유형 구분	124
[그림 5-1] 캐나다의 주(province)별 유학생 분포	132
[그림 5-2] 2022년 호주 기술 우선순위 목록(일부 발췌)	158
[그림 6-1] 지역의 해외인재 유치 단계별 전략	17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대학-기업-지자체 협업을 통한 지역 중심의 해외인재 유치 방안 2023.09.08~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