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개발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Career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저자
정지은 이지연 문한나 류지영 곽초롱 곽미선 최지희 김미란 신주랑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2.28
등록일
2024.03.08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대학 진로취업지원
요약_ⅹⅰ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6
	제4절 연구의 범위	12
제2장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현황_15
	제1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개념 및 구성 요인	17
	제2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현황 분석	26
	제3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운영 사례 분석	36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44
제3장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관련 지표 분석_51
	제1절 국내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관련 지표 분석	53
	제2절 국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관련 지표 분석	79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97
제4장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개발_103
	제1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개념 모형	105
	제2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구안	109
	제3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안) 타당화	114
제5장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도구 개발_163
	제1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도구 구안	165
	제2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도구(안) 타당화	176
제6장 정책 제언_197
	제1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고도화 방안	200
	제2절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활용 방안	210
SUMMARY	231
참고문헌	233
부  록	241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의 개념 및 구성 요인을 분석한다.
둘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의 현황 및 사례를 분석한다. 
셋째, 국내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관련 지표를 분석한다. 
넷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의 진단지표 및 진단도구를 개발한다.
다섯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의 정책적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As part of a broader initiative to enhance the quality of career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a framework for career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and future youth employment service policies.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capable of diagnos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areer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In pursuit of this objective, we conducted a tho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policies, and cases related to career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Following that, we formulated a draft indicator based on the examination of indicators associated with career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
<요약 표 1>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ⅹⅱ
<요약 표 2>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ⅹⅷ
<표 1-1> 전문가협의회 실시 현황	7
<표 1-2> 델파이 조사 패널 특성	9
<표 1-3> FGI 개요	11
<표 1-4> 예비조사 참여 현황	11
<표 2-1> 대학 진로서비스 모형(Watts, 1997)	21
<표 2-2> 4년제 대학의 진로・취업 지원 모형	24
<표 2-3> 대학 진로취업지원 담당 조직 구성 현황	29
<표 2-4> 대학 진로취업지원 담당 조직 기능 현황	30
<표 2-5> 대학 진로취업지원 담당 조직 예산 현황	30
<표 2-6> 대학생 현장 경험 비율 추이	31
<표 2-7> 대학 진로취업지원 교과목 운영 현황	32
<표 2-8> 대학 진로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현황	32
<표 2-9> 학과(전공) 교수와의 진로・취업상담 경험 비율 추이	35
<표 2-10>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운영 사례 종합	36
<표 3-1> 국내 대학 진로취업지원 관련 지표 현황	53
<표 3-2>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지표	54
<표 3-3> 대학기본역량진단 진로취업지원 관련 진단지표별 진단 요소	57
<표 3-4> 대학기본역량진단 진로취업지원 지표 진단 방법(3주기 기준)	58
<표 3-5> 대학기본역량진단 교육과정 관련 진단지표별 진단 요소	60
<표 3-6>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준거(일반대학)	61
<표 3-7>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요소(전문대학)	62
<표 3-8> 일반대학 기관평가인증 평가준거	64
<표 3-9>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평가요소	65
<표 3-10> 대학기관평가인증 정성평가 판정 기준	66
<표 3-11>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준거별 주요 내용(일반대학)	67
<표 3-12>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요소별 주요 내용(전문대학)	68
<표 3-13> 대학기관평가인증 교육과정 관련 평가준거	69
<표 3-14> 대학일자리센터 선정 심사지표	71
<표 3-15>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선정 심사지표(2022년 기준)	72
<표 3-16>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2016)의 진로・취업지원 체크리스트	76
<표 3-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7)의 통합적 진로개발 지원 가이드라인	78
<표 3-18> Hooley & Rice(2019)의 진로교육 질 관리를 위한 세부 영역	81
<표 3-19> 진로교육 품질보증의 4가지 접근법	82
<표 3-20> 고등교육 생애지도 사례(Good Practice)	84
<표 3-21> Good Career Guidance에서 제시한 8가지 벤치마크	87
<표 3-22> The Quality in Careers Standard	92
<표 3-23> 국내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관련 지표 종합	97
<표 4-1> 지표체계 개발 접근법	109
<표 4-2>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안)	112
<표 4-3> 1차 델파이 분석 결과: 영역 및 항목 	116
<표 4-4> 전략적 계획 수립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17
<표 4-5> 실행 예산 및 지원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18
<표 4-6> 조직 구성 및 역할 규정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19
<표 4-7> 담당 인력의 전문성 및 고용환경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0
<표 4-8> 교직원의 참여 및 역량 강화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1
<표 4-9> 시설 및 시스템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2
<표 4-10> 진로 기반 교육과정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3
<표 4-11> 교육과정 안내 및 학습 지원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4
<표 4-12> 노동시장 정보 제공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5
<표 4-13> 노동시장 경험 지원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6
<표 4-14> 상담체계 및 전문성 확보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7
<표 4-15> 프로그램의 다양성 확보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8
<표 4-16> 이력 관리 및 활용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29
<표 4-17> 협력체계 구축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30
<표 4-18> 지역인재 양성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31
<표 4-19> 지속가능한 성과 목표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32
<표 4-20> 서비스 운영 성과 항목의 4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33
<표 4-21> 만족도 성과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34
<표 4-22> 노동시장 이행 성과 항목의 1개 지표에 대한 1차 의견	135
<표 4-23>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수정안(1차 델파이 조사 결과 반영)	136
<표 4-24>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에 대한 2차 의견	139
<표 4-25> 운영 계획 수립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0
<표 4-26> 대학의 지원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1
<표 4-27> 조직 구성 및 역할 규정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2
<표 4-28> 담당 인력의 전문성 관리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3
<표 4-29> 교직원의 참여 및 역량 강화 지원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4
<표 4-30> 시설 및 시스템 확보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5
<표 4-31> 진로개발 교육과정 구축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6
<표 4-32> 교육과정 안내 및 학습설계 지원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7
<표 4-33> 진로취업 정보 관리 및 제공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8
<표 4-34> 일 경험 활성화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49
<표 4-35> 상담서비스 제공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0
<표 4-36>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1
<표 4-37> 진로취업 이력 관리 및 활용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2
<표 4-38> 협력체계 구축 항목의 3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3
<표 4-39> 지역인재 양성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4
<표 4-40> 지속가능한 성과 관리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5
<표 4-41>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운영 실적 항목의 4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6
<표 4-42> 만족도 성과 항목의 2개 지표에 대한 2차 의견	157
<표 4-43>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수정안(2차 델파이 조사 결과 반영)	159
<표 4-44> AHP 중요도 척도	160
<표 4-45>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배점(안)	161
<표 5-1> 진단도구 개발 관련 유관지표	167
<표 5-2>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와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지표 연계	173
<표 5-3> 진단도구 초안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주요 의견 요약	175
<표 5-4>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예비조사 참여 대학	176
<표 5-5> 영역별 긍정응답률	177
<표 5-6> 항목별 긍정응답률	178
<표 5-7> 지표별 긍정응답률	179
<표 5-8> 문항별 긍정응답률	180
<표 5-9> 지표별 문항 수정 내용	190
<표 6-1> 대학알리미를 통한 대학 진로취업지원 정보 공유(안)	215
<표 6-2> ‘대학기관평가인증’ 내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관련 평가준거 개선(안)	216
<표 6-3>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를 활용한 대학 자체 진단 예시(안)	226
<표 6-4> 영향력-긍정응답률 Grid 사분면에 대한 해석	228
[요약 그림 1]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의 미래 추진 방향	ⅹⅴ
[요약 그림 2]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개념 모형(안)	ⅹⅵ
[요약 그림 3]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최종안	ⅹⅶ
[요약 그림 4]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도구 개발 절차	ⅹⅸ
[요약 그림 5]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고도화 방안 및 진단지표 활용 방안	ⅹⅹ
[그림 2-1] Watts(1997)의 진로서비스 모형 종합	22
[그림 2-2] 학교 여건을 고려한 진로탐색 모델(정철영 외, 2021)	25
[그림 2-3] 청년 진로정보 시스템(시범운영) 내용	33
[그림 2-4] 진로 및 취・창업지원 지도교수제도 운영 여부(2017~2022)	35
[그림 2-5] 영산대의 YCMP 학년별 진로・취업 교과 및 지정 과제	38
[그림 2-6] 경기대학교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체계(지역 소외청년)	39
[그림 2-7] 세종대 추천채용 진행현황 및 최종합격자 수(2022년 8월 기준)	40
[그림 3-1] Compass Tool을 활용한 평가 결과	96
[그림 4-1]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의 미래 추진 방향	106
[그림 4-2]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개념모형	110
[그림 4-3] 진단지표 초안 개발 개요	111
[그림 4-4]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안) 타당화 프로세스	114
[그림 4-5]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안)	162
[그림 5-1]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도구 개발 절차	165
[그림 5-2]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도구 초안 및 응답 방법	166
[그림 6-1] 한국형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인큐베이팅 사업 운영 모형(안)	213
[그림 6-2]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수준 진단 예시(안)	219
[그림 6-3] 지역 맞춤형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컨설팅 추진 단계(안)	220
[그림 6-4]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우수 대학 인증제」 사업 추진 개요	225
[그림 6-5] 영향력-긍정응답률 Grid(예시)	22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대학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진단지표 개발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