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광역지자체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Model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저자
주휘정 오호영 송창용 장광남 윤여인
분류정보
기본연구(2023-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발행일
2023.12.31
등록일
2024.03.08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공공누리 제 4유형 : 출처 표기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지역 인적자원개발지역별 인력양성 시스템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8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1
제2장 광역지자체 주도로의 인력양성 정책변동 분석_15
	제1절 연구설계	17
	제2절 정책변동 과정 분석	23
	제3절 정책산출로서의 RISE 체계구축 현황	45
	제4절 소결	52
제3장 광역지자체 인력양성 시스템의 차이와 기여도 분석_55
	제1절 연구설계	57
	제2절 지역별 인력양성 시스템의 차이	59
	제3절 지역별 인력양성 시스템의 기여도 지표개발	71
	제4절 지역별 인력양성 시스템의 기여도 분석	79
	제5절 소결	87
제4장 RISE 체계구축 Co-Design 사례 분석_91
	제1절 연구설계	93
	제2절 Co-Design 프로세스	106
	제3절 Co-Design 중간 결과	113
	제4절 소결	117
제5장 RISE 체계 기반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에 관한 인식 조사_119
	제1절 연구설계	121
	제2절 설문조사 결과	130
	제3절 FGI 결과	160
	제4절 소결	176
제6장 주요 쟁점과 정책방안_179
	제1절 연구요약	181
	제2절 주요 쟁점	183
	제3절 정책방안	193
참고문헌_213
부  록_231
	<부록 1> 광역지자체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을 위한 조사 설문지	233
	<부록 2> 광역지자체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에 관한 FGI 반구조화된 면담지	242
	<부록 3> LASSO 추정 방법	248
Abstract_250
This study investigates methods to establish and activate a workforce development system centered around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ith a focus o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RISE), aiming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of regional decline and promote local innovation. Utilizing various methodologies such as policy change analysis, analysis of the RISE system's structure and content, comparative analysis of regional workforce development systems, Co-Design case analysis, and perception and demand survey analysis, the research identifies key issu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leadership enhancement,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and addressing structural limitations in resource acquisition as major challenges.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e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leadership enhancement, expertise acquisition, and improvement in resource structures. These results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domestic workforce development and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표 2-1> 선행연구에 나타난 분석요소와 자료	19
<표 2-2> 정책변동 과정 분석의 분석요소, 내용 및 자료	22
<표 2-3> 중앙지방협의회 회의 내용	33
<표 2-4> 지방대육성법에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의 고등교육에 대한 책무	38
<표 2-5> RISE 시범지역 공고의 목적, 내용 및 규모	48
<표 2-6> RISE 시범지역 지자체 전담부서 현황	50
<표 2-7> RISE 센터 설치 상황	50
<표 3-1> 시도별 GRDP 변화 추이	59
<표 3-2> 2021년 지역별 연구개발비 및 연구원 수	67
<표 3-3> 특허출원 건수 및 창업기업 수	70
<표 3-4> 선행연구의 인력양성 시스템 관련 변수들	71
<표 3-5> 지역의 인력양성 시스템 관련 변수	75
<표 3-6> 선행연구들의 지역 인력양성 시스템 관련 변수들	78
<표 3-7> 지역 인력양성 시스템의 지역 경제성장 기여도 분석	81
<표 4-1> 정책단계별 공동생산의 개념과 내용	96
<표 5-1> 조사 설계	122
<표 5-2> 조사 문항	123
<표 5-3> 응답자의 배경 변인(공통)	125
<표 5-4> FGI 참여자 기본 정보	127
<표 5-5> 지자체 및 대학 FGI 질문지 구성	128
<표 5-6> RISE 체계에 대한 인식 차이(지자체-대학)	130
<표 5-7> RISE 체계에 대한 역할 평가(지자체-대학)	131
<표 5-8> RISE 체계에 대한 정보 출처(지자체-대학)	132
<표 5-9> RISE 체계에 대한 이해 및 관심 제고 방안(지자체-대학)	133
<표 5-10> RISE 체계의 목표 달성 예상(지자체-대학)	134
<표 5-11> RISE 체계의 인력 양성모델(지자체-대학)	135
<표 5-12> RISE 도입 이후 긍정적 변화(지자체-대학)	136
<표 5-13> RISE 체계 도입의 방해 요인(지자체-대학)	137
<표 5-14> RISE 체계 도입의 고려 요인(지자체-대학)	138
<표 5-15> RISE 체계 재정 배분(지자체-대학)	139
<표 5-16> RISE 체계 도입을 위한 협력 부서(1순위)(지자체-대학)	140
<표 5-17> RISE 체계 도입을 위한 협력 부서(2순위)(지자체-대학)	141
<표 5-18> RISE 체계 시 지자체-대학 협력과정에 대한 인식(지자체-대학)	142
<표 5-19> RISE 체계 시 지자체-대학 협력과정 항목의 신뢰도	144
<표 5-20> 권역별 응답자 분포	145
<표 5-21> RISE 체계에 대한 인식 차이(권역별 비교)	146
<표 5-22> RISE 체계에 대한 역할 평가(권역별 비교)	146
<표 5-23> RISE 체계에 대한 정보 출처(권역별 비교)	147
<표 5-24> RISE 체계에 대한 이해 및 관심 제고 방안(권역별 비교)	148
<표 5-25> RISE 체계의 목표 달성 예상(권역별 비교	149
<표 5-26> RISE 체계의 인력 양성모델(권역별 비교)	150
<표 5-27> RISE 도입 이후 긍정적 변화(권역별 비교)	151
<표 5-28> RISE 체계 도입의 방해 요인(권역별 비교)	152
<표 5-29> RISE 체계 도입의 고려 요인(권역별 비교)	153
<표 5-30> RISE 체계 재정배분(권역별 비교)	154
<표 5-31> RISE 체계 도입을 위한 협력 부서(1순위)(권역별 비교)	155
<표 5-32> RISE 체계 도입을 위한 협력 부서(2순위)(권역별 비교)	156
<표 5-33> RISE 체계 시 지자체-대학 협력과정(권역별 비교)	158
<표 5-34> 초기 조건 최다 출현 코드(지자체)	160
<표 5-35> 초기 조건 최다 출현 코드(대학)	162
<표 5-36> 리더십 최다 출현 코드(지자체)	165
<표 5-37> 리더십 최다 출현 코드(대학)	167
<표 5-38> 협력 과정 최다 출현 코드(지자체)	169
<표 5-39> 협력 과정 최다 출현 코드(대학)	171
<표 5-40> 요구사항 최다 출현 코드(지자체)	173
<표 5-41> 요구사항 최다 출현 코드(대학)	174
<표 6-1> 지방공무원 교육과정	203
<표 6-2> 가칭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 지원 특별회계’의 세입과 세출(안)	205
[그림 1-1] 연구의 구성 및 절차	13
[그림 2-1] 인구절벽과 출생률 변화 추이(1970~2020년)	24
[그림 2-2] ‘지방대학’ 키워드트렌드 분석(2018.1.1.~2023.1.31.)	26
[그림 2-3] ‘인력양성’ 키워드트렌드 분석(2018.1.1.~2023.1.31.)	26
[그림 2-4] 지방대학 관계도 분석(2018.1.1.~2023.1.31.)	28
[그림 2-5] 인력양성 관계도 분석(2018.1.1.~2023.1.31.)	28
[그림 2-6] 지방대학 워드 클라우드 분석(2018.1.1.~2023.1.31.)	30
[그림 2-7] 인력양성 워드 클라우드 분석(2018.1.1.~2023.1.31.)	30
[그림 2-8] 역대 정부의 흐름에 따른 지자체의 주도성 정도	37
[그림 2-9] MSF 모형을 적용한 광역지자체 인력양성 정책변동 분석결과	44
[그림 2-10]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 방안의 주요 내용	46
[그림 2-11] 중앙-지방 전담조직 구성 및 체계	47
[그림 3-1] 시도별 GRDP(명목) 추이	60
[그림 3-2] 수도권 인구집중 추이	62
[그림 3-3] 2021년 인구 천 명당 외국인 수	63
[그림 3-4] 지역별 삶의 만족도	65
[그림 3-5] 15세 이상 인구 중 전문대졸 이상 인구 비율(2022년 2/2반기)	66
[그림 3-6] Cross-validation plot	78
[그림 3-7] 지역별 청년층 고용률의 분포	85
[그림 3-8] 지역별 R&D 투자의 분포	85
[그림 3-9] 지역별 고성장기업의 분포	85
[그림 3-10] 지역별 외국인 비율	86
[그림 3-11] 지역별 자격증 취득자 수의 분포	86
[그림 4-1] 경험기반 Co-Design 프로세스(Experience-based co-design process)	100
[그림 4-2] 더블다이아몬드 디자인 접근(DDDA) 모델	101
[그림 4-3] K도의 RISE 체계구축을 위한 Co-Design 프로세스 설계	105
[그림 4-4] K도의 RISE 체계구축 과정	107
[그림 4-5] K도 핵심전략산업과 대학 및 혁신기관의 분포도	113
[그림 4-6] K도의 RISE 중점 모델(안)	114
[그림 4-7] K도의 RISE 핵심 프로젝트(안)	116
[그림 6-1] 주요쟁점 및 정책방안 연계도 	18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광역지자체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모델 연구 2023.01.01~202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