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비정규직 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 실태

Participation of non-regular workers in education and training
저자
김철희 정재호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15
등록일
2012.10.15
비정규직 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율은 2007년 18.6%에서 2011년 27.8%로 4년 동안 9.2%p 증가했으나, 2011년 현재 정규직에 비해 11.7%p 낮은 수준임. 
교육훈련 참여자의 경우 22.4%만이 훈련 참여를 본인 스스로 선택, 나머지는 회사의 방침이나 상사 지시 등으로 선택함. 스스로 선택한 사람일수록 교육훈련의 노동시장 지위 개선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함. 
교육훈련 미참여자의 경우 미참여 사유로는‘필요성을 못 느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56.8%) 향후 교육훈련을 희망하는 비율은 15.8%에 그침. 
교육훈련이 정규직 전환이나 임금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비중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남. 비정규직 훈련 기회의 확대와 함께 교육훈련의 결과가 근로자의 지위 개선으로 이어지는 노동시장 관행이 정착되어야 함.
The participation rate of non-regular workers in education and training has increased in 4 years by 9.2% from 18.6% in 2007 to 27.8% in 2011, but this is still 11.7%p lower than that of the regular workers as of 2011.
Only 22.4% of the participants made the decision for themselves to take part in education and training, while the rest took part to conform to company policies or follow superiors’ directions. Thos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education and training had more optimistic percep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improving their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mong non-participants,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taking part in education and training was the lack of need (56.8%); only 15.8% indicated that they would undertak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future.
Generally, not many are optimistic that education and training affect the change of employment status from non-regular to regular or the rise in wage. In addition to providing more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mporary employees, it should be more widely practiced that education and training outcomes lead to improvement in the worker’s employment statu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2) 2012.01.01~201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