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및 대학졸업자의 경력경로 실태: 1960년대생을 중심으로

Career paths of junior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저자
최수정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2.30
등록일
2012.12.27
전문대졸자일수록 불안정한 경력경로를 보임(남자 정규직 유지형(대졸 73.5%>전문대졸 58.3%), 여자 정규직 유지형(대졸 39.4%>전문대졸 24.7%)). 
최종학력에 관계없이 경력 중반기에 근로자에서 자영업으로 경력을 변경하는 비중이 높음. 
최종학력에 따른 종사 직종의 양극화가 존재하며, 남성일수록 격차가 더 큼. 
여성의 경력단절도 최종학력에 관계없이 뚜렷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비전문직 종사자일수록 경력단절 비중이 매우 높음.
Junior college graduates display less stable career paths, with 73.5% of male university graduates maintaining permanent employment as compared to 58.3% of male junior college graduates, and 39.4% of female university graduates as compared with 24.7% of female junior college graduates.
Regardless of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a high proportion of employees opt for self-employment in the mid-way of their career.
There is a polarization of occupation fields with reference to the level of education attainment and the differences are larger among male graduates.
For females, career interruption occurs conspicuously irrespective of their education attainment level, and there is a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y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female workers in nonprofessional occupation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2) 2012.01.01~201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