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행복한 청소년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happy adolescents
저자
송창용 손유미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02.28
등록일
2013.02.27
대학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와 획일적이고 경쟁적인 학교 분위기에 의한 학업 스트레스 등을 경험하면서, 한국의 청소년들에게는 학교 폭력, 왕따, 정신병과 자살 등 많은 극단적인 문제가 야기되고 있음. 
한국 청소년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 중 평균 6.84점이며, 행복 수준 9점 이상의‘행복한 청소년’은 전체의 18%에 불과 
학력과 취업 여부, 사교육 등 현실에서 경쟁을 통해 얻는 요인들이 아니라 오히려 개인의 건강과 자아성숙 등과 같은 정신적인 요인들이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행복한 청소년들은‘가정생활 만족’, ‘건강함’, ‘자아성숙’등의 요인에서 전체 청소년에 비해 각각 11.8%p, 26.2%p, 6.5%p 높은 것으로 나타남. 
Korean adolescents suffer from academic stress deriving mainly from the education system oriented towards college entrance and the standardized, competitive school atmosphere; the side effects of this is being manifested as extreme social problems including bullying, peer victimization, mental disorder, and suicide.
The happiness level of Korean adolescents averaged 6.84 out of 10 and ‘happy adolescents’ with a score of 9 or higher only accounted for 18% of the total.
Factors that determined their happiness were not those that could be attained in reality through competition, such as education levels, employment status, and private education, but mo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ersonal health and ego-maturity.
Happy adolescents were 11.8%p, 26.2%p, and 6.5%p higher in ‘family life satisfaction’, ‘healthiness’, and ‘ego maturity,’ respectively than adolescents as a total.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3) 2013.01.01~201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