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제조업의 장시간 초과근로 실태와 그 영향

Status of Extended Overtime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Its Impact
저자
김미란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1.30
등록일
2013.11.30
제조업체에서 주당 12시간 이상의 장시간 초과근로는 대규모 사업체(33.3%)보다 중소규모 사업체(35.7~50.0%)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음.
장시간 초과근로는 교대제 작업팀(48.7%)에서, 업무유형으로는 부품가공업무(41.6%)와 품질관리?검사 등의 기타업무(48.2%)에서 주로 높게 나타남.
노동조합이 있는 사업체(45.1%)가 비노조 사업체(37.3%)보다, 작업장의 기계설비가 독립형 자동화(55.0%)이거나 반자동화(41.7%)인 경우가 수동식(27.6%)인 경우보다 장시간 초과근로를 하는 작업팀이 많음.
제조업의 장시간 초과근로 관행은 근로자의 직무태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며, 근무시간 중 낭비되는 유휴시간도 늘리고 있음. 근무 중 유휴시간이 전체 근로시간의 10% 이상이라는 응답이 20.1%에 달함.
12 hours per week or more of extended overtime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s taking place at a higher rate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35.7~50.0%) compared to large companies (33.3%).
In general, overtime is occurring mainly where there are teams working on a shift basis (48.7%); and in terms of work type, parts processing work (41.6%) and the work that includes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inspection (48.2%) have a high occurrence of overtime.
Long hours of overtime are found among work teams in companies with a labor union (45.1%) than companies without a labor union (37.3%), in companies with standalone automated field equipment or semi-automated field equipment (55.0% and 41.7%, respectively) than those in companies with manual field equipment (27.6%). 
The practice of long hours of overtime work in the manufacturing sector has negative effects on the overall work attitude of workers and is causing increased idle time during work hours. As much as 20.1% responded that idle time makes up more than 10% of the entire work hour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3) 2013.01.01~201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