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반대학원 석사학위의 경제적 효과

Economic Benefits of a Master
저자
양정승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3.12.15
등록일
2013.12.13
신규 채용 시 대졸 인력과 석사 인력을 구분하는 기업은 43.5%, 신규 채용된 석사 인력의 경력을 2년 이상 인정해 주는 기업은 40.1%, 재직 중 석사학위 취득 시 승진소요연수가 단축될 수 있는 기업은 33.0%에 불과함. 이는 석사학위보다 노동시장 경력을 더 중요시함을 의미
석사 인력의 희망임금은 월평균 300만 원이나 실제 받는 임금은 270만 원으로 30만 원이 더 낮으며, 석사졸업 재직자의 절반 이상이 석사수준을 요구하지 않는 업무를 담당함.
비수도권 대학 출신이 비수도권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고 수도권 대학원에 진학한 경우 구직기간은 1.2개월 짧지만 월평균임금은 11만 원 낮아 학벌이동의 실익이 없음.
석사 졸업 재직자는 석사학위가 학문적 성장(3.93점), 자기만족(3.85점) 측면에서는 효용성이 높으나 취업력 제고(3.47점), 소득 증대(3.32점) 측면에서는 효용성이 낮다고 평가하여 석사학위의 경제적 효과는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음.
기업의 석사 인력에 대한 평가는 석사 인력 본인의 평가보다 대체로 낮음. 특히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격차가 큼.
Only 43.5% of companies differentiate between people with a bachelor's degree and people with a master's degree when recruiting new employees and only 40.1% of companies recognize newly recruited employees with a master's degree as having two or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In addition, only in 33.0% of companies are master’s degree helpful in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promotion. This indicates that experience in the labor market takes precedence over the acquisition of a master's degree.
The average monthly wage desired by people with a master's degree is 3 million won, but the actual average wage paid is 300,000 won lower at 2.7 million won.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employees with a master's degree are doing tasks that do not require master's level education.
A graduate of a non-capital college who advance into a graduate school in the capital area instead of one in a non-capital area will be able to shorten his/her job search period by 1.2 months. However, his/her average monthly wage will still be 110,000 won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graduate school in a provincial area, there is no actual merit in moving up the education ladder.
Employees with a master's degree believe that the economic benefits of a master's degree are insignificant; they perceive a master's degree is useful in terms of achieving academic growth (3.93 points) and self-satisfaction (3.85 points), but low in terms of employability enhancement (3.47 points) and income growth (3.32 points).
Generally, companies rate a person with a master’s degree lower than the person rates themselves. In particular, the greatest gap exists between their ratings on interpersonal skill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3) 2013.01.01~2013.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