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의 취업관련 시험 준비 실태

Status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Employment-Related Tests
저자
오호영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4.15
등록일
2014.04.15
2007년 이후 청년층의 취업관련 시험 준비 인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 96만 명에 달하며, 공무원 수험생이 31만 9천 명으로 가장 많음.
4년제 대졸 및 대학원졸 청년층 미취업자의 약 1/4은 공무원 시험 준비 중임.
4년제 대학 재학생(휴학생 포함)의 취업관련 시험 준비 비율은 8.7%(2007년) → 12.1%(2013년)으로 3.4%p 상승함.
입사시험(공무원, 민간기업, 공기업) 준비생 중 취업자 비중은 14.0%(2007년) → 22.9%(2013년)로 8.9%p 상승함. 이는 청년층 취업자 중 더 좋은 조건의 직장으로 이직을 준비하는 취업자가 증가하였음을 의미함.
수험생을 양산하는 지필고사 중심의 대규모 공채에 의한 신입직원 충원방식을 개편하고, 자격증 준비생의 증가에 대응하여 자격증 활용실태에 관한 종합정보망을 구축해야 함.
Since 2007, the number of young people preparing for employment-related tests has increased steadily, peaking at about 960,000 in 2013, and the largest group consists of those preparing for civil servant exams (about 319,000). 
About one quarter of unemployed young people with a four-year college degree or a graduate school degree are preparing for civil servant exams.
The percentag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cluding students on a leave of absence) preparing for employment-related tests has increased by 3.4%p from 8.7% (2007) to 12.1% (2013).
The percentage of workers preparing for entrance exams (government offices,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companies) has increased by 8.9%p from 14.0% (2007) to 22.9% (2013). This signifies tha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young people preparing to change jobs in search of better employment conditions.
Reform is needed in the recruitment practice dependent on large-scale open recruitments through written tests, producing a huge number of exam-takers, and a comprehensive information network for the status on the utilization of qualific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young people preparing to obtain qualification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4) 2014.01.0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