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학력 여성의 취업과 기업의 인력수요 미스매치

Employment of Highly Educated Women and Mismatch of Manpower Demand in Companies
저자
반가운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7.15
등록일
2014.07.15
고학력 여성이 주로 취업하는 일자리는 교육서비스업 전문가(26.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전문가(10.3%), 금융 및 보험업 사무 종사자(6.3%), 도매 및 소매업 사무 종사자(4.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무 종사자(3.8%)임.
기업이 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상위 5가지 일자리는 운수업 서비스 종사자(14.4%), 제조업의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9.0%), 운수업의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3%), 제조업의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7.2%), 제조업의 단순노무 종사자(6.9%)임.
기업이 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상위 5가지 일자리에 종사하는 여성은 전체 여성 근로자의 10.5%이나, 남자는 18.1%로 여성의 취업 기회가 더 적은 편임.
학력별로 인력이 부족한 상위 5가지 일자리의 여성 취업 비율을 살펴보면, 고졸 이하가 16.5%, 전문대졸 3.4%, 대졸 이상은 1.0%로 고학력 여성일수록 기업의 인력수요와 무관한 취업패턴을 보임.
Highly educated females are mostly employed as education services specialists (26.4%), followed by healthcare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specialists (10.3%), workers in the finance and insurance sector (6.3%), workers in the wholesale and retail sector (4.2%), and as workers in the specialized, science and technical services sector (3.8%).
The top five jobs for which there is a manpower shortage are transportation services workers (14.4%), equipment and machine operators as well as assembler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9.0%), equipment and machine operators as well as assembler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8.3%), technicians and workers for other related technical dut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7.2%), and manual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6.9%).
10.5% of all female workers work in those top five jobs experience a manpower shortage, but the respective figure for male workers is 18.1%, indicating that there are fewer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females.
Looking at the female employment rates in the top five ‘manpower shortage’ jobs by education level, females with a high school level of education or lower is 16.5%, those with a two-year college education is 3.4%, and those with a four-year college education or higher is 1.0%. The figures indicate that the employment patterns of highly educated women are unrelated to companies’ manpower demand.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4) 2014.01.0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