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단시간 근로와 근무시간 선택이 유연한 직업

Jobs that Allow Temporary Work and Flexible Working Hours
저자
장혜정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02.28
등록일
2015.02.27
단시간 근무 가능성이 높은 직업으로는 보험 설계사 및 간접투자증권 판매인, 기타 문화·예술 관련 종사자, 혼례 종사원이 높게 나타남.
여자가 남자보다, 60대 이상이 40대 미만보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와 박사학위 취득자가 단시간 근무 가능성이 높은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음.
단시간 근무 가능성이 높은 일자리 종사자 중 직무만족도(82.9%)와 일·가정균형(80.1%)은 단시간 근무 가능성이 낮은 집단보다 각각 11.2%p, 29.6%p 더 높으나 고용 안정성은 7.6%p 더 낮음.
근무시간 선택 가능성이 큰 직업으로는 보험 설계사 및 간접투자증권 판매인, 화가 및 조각가, 대학 교수로 나타남.
근무시간 선택 가능성이 높은 일자리 종사자 중 직무만족도(83.2%)와 일·가정균형(80.2%)은 근로시간 선택 가능성이 낮은 집단보다 각각 11.3%p, 30.4%p 더 높으나 고용 안정성은 5.5%p 더 낮음.
More women than men and more people aged 60 or older than people aged 40s work in jobs that provide ample opportunity for temporary work. In terms of education levels, people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ower, and doctoral degree holders work in jobs with a high chance of temporary work.
People who work in jobs with a higher chance of temporary work have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82.9%, 11.2pp higher) and work-family balance (80.1%, 29.6pp higher) but less employment stability (7.6pp lower) than those who work in jobs with a lower chance of temporary work.
The jobs that provide a greater opportunity to work flexible hours are insurance agents, sellers of indirect investment securities, painters, sculptors, and university professors.
People who work in jobs with a greater chance of flexible working hours have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83.2%, 11.3pp higher) and work-family balance (80.2%, 30.4pp higher) but less employment stability (5.5pp lower) than those who work in jobs with a lower chance of flexible working hour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5)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