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졸 미취업 청년의 아르바이트와 생활 실태

The State of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저자
정지선 주휘정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05.30
등록일
2015.05.29
34세 이하 4년제 대졸 미취업자 중 69.0%가 대학 졸업 후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이 있음.
4년제 대졸 미취업자 중 아르바이트 참여자의 연령별 평균 임금은 20~24세가 주당 15만 8천 원, 25~29세는 주당 22만 2천 원, 30~34세는 26만 6천 원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아르바이트 소득이 높아짐.
4년제 대졸 미취업자의 60.5%가 경제적인 이유(용돈 마련 37.3%, 생활비 마련 23.2%)로 대학 졸업 후 아르바이트를 실시함.
25~29세 4년제 대졸 미취업자가 가장 걱정하는 문제는 취업(71.1%), 경제적 문제(52.0%), 건강(40.4%) 순이나 30~34세는 경제적 문제(57.7%), 취업(47.4%), 인간관계(45.9%) 순으로, 취업 걱정은 줄어들고 경제적 문제와 인간관계에 대한 걱정이 더 많아짐.
Among unemployed people with a four-year college education who are 34 years old or younger, 69.0% have the experience of having a part-time job after college graduation. 
The average wage for each age bracket of part-time work participants among unemployed people with a four-year college education is as follows: those aged 20-24, 158,000 won per week; those aged 25-29, 222,000 won per week; and those aged 30-34, 266,000 won per week. The figures show that income from part-time work increases in proportion to age. 
60.5% of unemployed people with a four-year college education worked a part-time job after college graduation for economic reasons ('to earn pocket money' (37.3%) and 'to pay living expenses' (23.2%)). 
The issue most worried about by unemployed people with a four-year college education who are aged 25-29 is 'finding a job' (71.1%), followed by 'economic issues' (52.0%) and 'health' (40.4%). On the other hand, among those who are aged 30-34, the most worried about issue is 'economic issues' (57.7%), followed by 'finding a job' (47.4%)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45.9%). The figures show that with age, concerns about finding employment decrease, but concerns about economic issu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crease.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5)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