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조직에 대한 성별 인식 비교 분석

Comparison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 by gender
저자
김봄이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07.30
등록일
2015.07.30
회사가 자신의 업무 성과를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응답한 남자는 41.6%이나 여자는 29.6%에 불과하며, 자신의 직장 만족도와 목표, 가치에 회사가 관심을 갖는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여자가 남자보다 크게 낮음.
회사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응답한 남자는 43.5%, 여자는 30.4%로 남자보다 13.1%p  낮음.
직무에 만족하는 남자는 52.0%이나 여자는 40.5%로 남자보다 11.5%p 낮음.
또한 열정적으로 업무에 임한다고 응답한 남자는 53.5%이나 여자는 35.2%에 불과하며, 회사에 강한 소속감을 느끼는 남자는 54.6%, 여자는 42.9%임.
이는 아직까지 여성 친화적 조직 문화 조성에 많은 과제가 있음을 시사. 차별로 인한 여성의 업무 의욕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은 성별이 아닌 능력주의 인사관리체계를 확립하여 공정한 기회 및 보상을 제공해야 함.
41.6% of males said the company is proud of their performance, but only 29.6% of females reported the same.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females who believe that the company is interested in their job satisfaction, goals, and value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males.
43.5% of males said the company is helping them to display their abilities to the fullest, but only 30.4% of females reported the same (13.1pp lower than that of males).
52.0% of males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with the corresponding figure for females 11.5pp lower at 40.5%.
53.5% of males said they work enthusiastically, while only 35.2% of females reported the same. 54.6% of males said they feel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pany, compared with 42.9% of females.
These statistics imply that there is still much to be done before a female-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is created. To prevent women's drive and desire to work from declining due to discrimination, organizations must establish a competency-based, not gender-base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nd offer equal opportunities and compensation.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5)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