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학습병행제의 경제·사회적 성과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저자
전승환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15
등록일
2015.12.14
일학습병행제가 성공적으로 정착·운영될 경우, 학습근로자 1인당 2016년에는 592만 원, 2017년에는 1,274만 원의 이득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됨.
국가 차원에서 일학습병행제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인식은 ‘취업 시까지 구직기간 단축효과(사업주 4.14점/5점, 기업 현장교사 3.90점/5점)’와 ‘첫 직장에 입사한 나이 단축 효과(학습근로자 4.04점/5점)’가 가장 긍정적임.
기업 차원에서 일학습병행제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인식은 ‘학습근로자의 현장 적응력 향상(사업주 4.19점/5점)’과 ‘학습근로자의 직무수행능력 향상(기업현장교사 4.43점/5점, 학습근로자 4.07점/5점)’이 가장 긍정적임.
개인 차원에서 일학습병행제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인식은 ‘현장 업무에 대한 흥미와 관심 증가(사업주 3.99점/5점, 학습근로자 3.91점/5점)’와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는 자신감 획득(사업주 평균 3.99점/5점, 기업현장교사 4.04점/5점)’이 가장 긍정적임.
If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is successfully adapted, its benefit is estimated to be 5,920,000 KRW per student apprentice in 2016 and 12,740,000 KRW in 2017. 
The recognition of social effect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on national scale was identified to be ”shortening the idle time until getting hired (company owner 4.14 points /5 points, in-house trainer 3.90 points / 5 points)“and ”lowering the age of first employment (student apprentice 4.04 points / 5 points)”. 
The recognition of social effect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on company scale was identified to be improved field adaptability by student apprentice (company owner 4.19 points / 5 points scale)“and ”improved task handling ability by student apprentice (in-house trainer 4.43 points / 5 points scale, student apprentice 4.07 points / 5 points scale)“. 
Their cognition of social effect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on individual scale was identified to be increased interest in actual job tasks (company owner 3.99 points / 5 points scale, student apprentice 3.91 points / 5 points scale)“ and ”gaining confidence on becoming a professional (company owner average 3.99 points / 5 points, in-house trainer 4.04 points / 5 points)”.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5)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