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훈련·일자리 미래 전망

Future Outlook of VET and Employment in an Al Era
저자
김영생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05.30
등록일
2016.05.30
응답자의 80% 가까이가 향후 5년 이내에 ICT 중심의 기술 융합으로 신산업 등장이 활발해질 것이며, 기술 발전으로 고용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좋은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함.
응답자 대다수가 우수한 인력의 해외 유출이 증가할 것(83.5%)이며, 복지 및 일자리와 관련하여 세대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81.7%), 고령화와 복지 확대로 공공재정이 고갈될 것(71.9%)으로 전망함.
미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창업 인프라 구축과 기업가정신(창업가정신)을 강조하는 직업교육(90.4%), 명장과 같이 깊이 있는 기술인을 양성하는 직업교육훈련(89.1%), 융합인재교육(85.6%)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Almost 80% of respondents believe that the amalgamation of ICT-centered technology will stimulate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in the next 5 years, and that technological advancements will increase employment elasticity,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good job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predicted that the outflow of talented workforce to overseas will increase (83.5%), that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regarding welfare and employment will intensify (81.7%), and that public finances will be depleted due to aging and welfare expansion (71.9%).
In order to respond to future changes, vocational education that emphasizes startup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ship (90.4%), VET that cultivates valuable master-level technicians (89.1%), and convergence talent training (85.6%) are required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6) 2016.01.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