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의 비인지적 능력과 노동시장 성과

Youth non-cognitive skills and labor market outcomes
저자
홍광표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07.15
등록일
2016.07.14
월평균 임금은 정서적 안정성과 성실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13만 원 이상 높음.
미취업 비율은 외향성, 정서적 안정성, 성실성이 높은 청년이 상대적으로 낮음. 특히 성실성이 높은 집단이 성실성이 낮은 집단보다 미취업 비율이 5.8%p 낮음.
외향성, 정서적 안정성, 성실성이 높은 경우, 괜찮은 일자리에 취업한 비율이 높음. 특히 성실성이 높은 청년이 괜찮은 일자리에 취업한 비율은 25.6%로, 성실성이 낮은 경우(16.9%)보다 8.7%p 높음.
성격이나 인성이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어려서부터의 인성교육이 노동시장 이행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
The average monthly wage of the high emotional stability and integrity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the low emotional stability and integrity group by more than 130,000 won. 
Unemployment rate is relatively low in the youth of high extraversion, emotional stability, and integrity. In particular, the unemployment rate of the high integrity group is 5.8 percentage points lower than that of the low integrity group. 
A person with high extraversion, emotional stability, and integrity is more likely to have a decent job. In particular, the employment ratio in terms of decent jobs of youth of high integrity is 25.6%, which is 8.7 percentage points higher than the youth of low integrity (16.9%). 
The fact that character or personality affects labor market performance suggests that personality education from childhood is very importan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labor market.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6) 2016.01.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