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본 저하율의 국제 비교 및 영향요인 분석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the rate of human capital deterioration
- 저자
- 반가운
- 분류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08.30
- 등록일
- 2016.08.29
한국은 청년층의 인적자본 저하율이 OECD 국가 중 세 번째로 높고, 50세 이후 세대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저하율을 보임. 하향취업을 하고, 평생학습에 참여하지 않으며, 직장과 가정에서의 스킬 활용도가 떨어질수록 인적자본이 저하됨. 단순노무직에 비해 준전문생산직, 준전문사무직, 전문직 순으로 인적자본 저하율이 낮아져, 저숙련 직종일수록 인적자본의 저하가 빠름. 기업 규모가 클수록 인적자본 저하율이 낮아지며, 특히 한국은 직종 특성에 비해 기업 규모가 인적자본 저하에 더 큰 영향을 미침. 한국의 경우 노동시간이 주 39시간을 초과하거나 이보다 낮으면, 인적자본의 저하가 가속화됨.
The rate of human capital deterioration of the youth in Korea is the third high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for generations over the age of 50, Korea shows the highest rate of deterioration among OECD member countries. Human capital deteriorates due to underemployment and non-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as well as being left behind in skill utilization at work and at home. Human capital deteriorates faster in low-skilled jobs since the rate of human capital deterioration is higher in the order of simple blue-collar jobs, semi-professional blue-collar jobs, semi-professional white-collar jobs, and professional white-collar jobs.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6) | 2016.01.01~2016.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