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 졸업유예의 실태와 정책 과제

Actual status and policy task of graduation postponement
저자
채창균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0.15
등록일
2016.10.19
4년제 대학생의 절반 정도(2013년 졸업생의 경우 44.9%)가 졸업유예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졸업유예가 보편화됨.
입학부터 졸업까지 걸리는 평균 소요 학기는 졸업유예자가 일반 졸업자보다 2007년 2.0학기 → 2013년 2.6학기가 더 길어져 격차가 확대됨.
졸업유예자의 스펙이 일반 졸업자에 비해 좋은 편이고, 이것이 보다 양호한 취업 성과로 연결되고 있는 상황임.
2013년 4년제 대졸자의 경우 졸업유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약 2,514억 원으로, 2007년의 2,068억 원에 비해 크게 상승함. 졸업유예의 선택이 개인의 입장에서는 합리적일 수도 있지만, 사회적으로는 막대한 비용을 초래하고 있음.
Graduation postponement was generalized as follows: half of the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44.9% of graduates in 2013) had experienced graduation postponement, etc.
The average number of semesters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for graduation deferrers was longer than those of regular graduates by 2.0 semesters in 2007 and 2.6 semesters in 2013, showing a widening gap.
The qualifications of the graduation deferrers are better than those of general graduates, and such leads to a better employment result.
In the cas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2013, the social cost due to graduation postponement was about 251.4 billion w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06.8 billion won in 2007. In other words, the choice of graduation postponement may be rational for the individual but very costly for society.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5)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