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내 15개 산업분야의 직장 괴롭힘 실태

Actual status of workplace bullying in 15 industries of Korea
저자
서유정 이지은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0.30
등록일
2016.10.27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환경이 중하위층(25.5%) 또는 하위층(23.5%)인 경우 직장 괴롭힘의 피해율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상류층은 괴롭힘의 피해율(15.1%)이 가장 낮고 가해율(16.2%)은 가장 높음.
국내 경제활동인구의 98%를 차지하는 15개 산업 분야 전반의 직장 괴롭힘 실태조사 결과, 조작적 피해자는 21.4%, 주관적 피해자는 4.3%로 나타남.
산업분야 중 숙박 및 음식점업(27.5%)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6.0%)에서 조작적 피해율이 가장 높고, 주관적 피해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7.0%)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0%)임.
직장 괴롭힘으로 인한 15개 산업 전체의 인건비 손실은 약 4조 7,835억 원으로 추산됨.
소속된 회사 내에 직장 괴롭힘에 대응하는 고충처리담당 부서가 없다 혹은 있는지 모르겠다는 응답이 79.2%, 직장 괴롭힘 방지 법령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85.4%에 달함.
The rate of victimization due to workplace bullying was high in the middle and lower class (25.5%) or in the lower class (23.5%), whereas the upper class recorded the lowest victimization rate (15.1%) and the highest perpetration rate (16.2%).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status of workplace bullying in 15 industries, which accounted for 98%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Korea, showed that 21.4% were operational victims and 4.3% were subjective victims.
The lodging and restaurant industries (27.5%) and health and social work services (26.0%) recorded the highest operational victimization rates, whereas the art, sports, and recreation-related services (7.0%) and health and social work services (6.0%) posted the highest subjective victimization rates.
The loss of labor costs in a total of 15 industries due to workplace bullying was estimated to be 4.784 trillion won.
79.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no grievance settlement department in their companies, or they did not know if there was one; 85.4%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a workplace bullying prevention act is needed.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6) 2016.01.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