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채용 시 중요 요인 : EU 기업과 한국 기업의 비교

Important factors in hiring new university graduates: comparison between EU and Korean companies
저자
양정승 채창균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1.30
등록일
2016.11.29
서류 전형 단계에서 한국 기업은 학위(34.3점) > 전공의 직무적합성(28.0점) > 학점(12.5점) 등을 상대적으로 중요시하는 반면, EU 기업은 전공의 직무적합성(25.8점) > 관련 업무 경험(19.9점) > 학위(19.3점) 등을 중시함.
서류 전형 단계에서 한국 기업은 석·박사에 비해 학사를 절대적으로 선호하며, 학점은 평균 이하인 경우 선호도가 급격히 하락하고 평균 이상인 경우 선호도의 차이가 없음.
면접 단계에서 한국 기업은 대인관계 능력(25.0점) > 전문지식(20.5점) > 일반적인 학업수행능력(14.7점) > 전략적 행동 능력(14.6점) 등을 상대적으로 중요시하는 반면, EU 기업은 전문지식(19.5점) > 대인관계 능력(19.1점) > 상업적·기업가적 역량(17.6점) > 혁신성·창조성(16.0점) 등을 중시함.
한국 기업은 상위 25%의 고숙련자에게 평균 수준의 숙련자 임금보다 최대 3.4%까지 임금을 추가로 지불할 의향이 있음. 반면, EU 기업은 추가 임금을 최소 9.4%에서 최대 16.6%까지 지불할 의향이 있어, 한국 기업은 EU 기업보다 높은 숙련에 대해 고임금을 지불할 의향이 별로 없음.
In the document screening phase, Korean companies consider degree (34.3 points), job suitability in majors (28.0 points), and grade (12.5 points) to be important factors, whereas EU companies regard job suitability in majors (25.8 points), job experience in related field (19.9 points), and degree (19.3 points) as important factors.
In the document screening phase, Korean companies absolutely prefer bachelor to master's or doctor's degrees. The preference is rapidly dropping for candidates with grades below average and stays the same for candidates with average grades.
In the interview phase, Korean companies consider interpersonal competency (25.0 points), professional knowledge (20.5 points), general academic accomplishment (14.7 points), and strategic behavior capability (14.6 points) to be important factors, whereas EU companies regard professional knowledge (19.5 points), interpersonal competency (19.1 points), commercial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17.6 points), and innovation and creativity (16.0 points) as important factors.
Korean companies are willing to pay up to 3.4% more than the wages of average skilled employees for the upper 25% of highly skilled employees.? On the other hand, EU companies are willing to pay at least 9.4?16.6% more for the same case; in other words, Korean companies are less willing to pay higher wages for higher skills than EU companies.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6) 2016.01.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