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청년 채용시장Ⅰ: 서류 전형 단계

Job market for the youth in Korea I: document examining stage
저자
채창균 양정승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2.15
등록일
2016.12.14
우리나라 500대 기업은 서류 전형 시 최종학교 졸업시점을 가장 중시하며, 그다음으로 졸업 평점, 전공의 직무적합성, 출신 학교 순서임. 어학능력, 자격증 보유, 경력, 해외취업·어학연수 등의 중요도는 크지 않음.
기업이 서류 전형 단계에서 중시하는 졸업시점, 졸업 평점, 전공의 직무적합성, 출신대학 중 어느 하나라도 좋지 않을 경우 다른 스펙이 아무리 좋더라도 서류 통과 가능성이 매우 낮음.
대학 졸업 후 3년 이상이 지난 입사지원자의 경우, 아무리 다른 스펙이 우수하더라도 서류를 통과할 가능성은 매우 낮음.
직무와 무관한 전공자의 경우, 졸업 평점이 높거나 상위 10개 대학 출신이더라도 서류 통과 가능성이 낮음.
The top 500 companies in Korea consider the year of gradu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ecting job candidates, followed by GPA, job relevance to major, the rank of the university. Language skills, certificates, work experiences, and overseas employmentㆍ language training abroad are less important. 
In case the candidate did not get high score in at least one of the criteria that the companies consider importance, it is very unlikely that he/she will successfully pass the document examining stage, even if he/she did very well in other criteria. 
Those who graduated university 3 years ago or before, have a very low chance of passing to the next stage however they did well in all other criteria. 
For those whose majors are irrelevant to the job, the possibility of passing document examining stage is low even if their GPA is high or they are from the top 10 universities in Korea.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사업(2016) 2016.01.01~2016.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