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계고 지역 분포와 직업교육 기회

Regional distribu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opportunities for vocational education
저자
이영민 김민규 강서울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02.15
등록일
2017.02.14
강원, 전남 등 시·군·구 단위에서 직업계고가 설치되지 않은 일부 시·도의 경우, 길어진 통학거리로 인해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역 산업체 또한 인근 지역 내 숙련 기술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경기 등 일부 수도권 지역의 경우 학생 자원은 비교적 풍부한 편이나 일반고 선호 현상으로 신도시에 직업계고를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강원 등 일부 시·도 지역에서는 직업계고 지역 편중 현상으로 인해 ICT나 디자인과 같이 인기 있는 학과의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음.
In some provinces, such as Gangwon-do and Jeollanam-do, where vocational high school has not been established at the district or city level, the students and parents are burdened due to the long distance to schools, and the local industries also have difficulties in securing skilled workers.
In some metropolitan areas, such as Gyeonggi-do, although the number of students is relatively high, it is difficult to set up vocational high schools in new cities due to the preference for general high schools.
In some cities and provinces, including Gangwon-do, there are limit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be enrolled in popular vocational courses, such as ICT and design, due to the regional bia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7) 2017.01.01~201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