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난 10년간 4년제 대졸자 노동시장의 변화

The Change in the Labor Market for University Graduates over the Last Decade
저자
양정승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06.30
등록일
2017.06.29
4년제 대졸 청년층의 고용률은 4.6%p, 정규직 취업률은 10.6%p, 선망직장 취업률은 9.3%p 감소함.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인 저소득 가구 청년층의 고용률은 2006년 71.6%에서 2015년 73.8%로 2.2%p 상승함.
직장 전반에 대한 만족 비율은 2.4%p,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 비율은 1.9%p 하락하였고, 임금, 복리후생, 근로환경 등에 대한 만족 비율은 모두 증가함.
업무 내용이 자신의 교육 수준과 기술 수준에 비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 10년간 각각 10.8%p, 9.9%p 증가함.
업무-전공 불일치 비율은 인문계열이 35.9% → 42.4%로 6.5%p, 교육계열은 8.2% → 15.8%로 7.6%p 증가함.
취업자 중 이직을 준비하고 있는 비율은 2006년 8.4%에서 2015년 17.7%로 크게 증가함.
The employment rat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reduced by 4.6 percentage points (pp) while their employment rate for regular workers and at desired workplaces dropped by 10.6 pp and 9.3 pp, respectively.
The employment rate of youth from low income families―of which both parents earn less than ?3,000,000 a month―rose by 2.2 pp from 71,6% in 2006 to 73.8% in 2015.
Satisfaction rates with the overall workplace and with human relationships fell 2.4 pp and 1.9 pp, respectively, while those of wages, benefit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all increased. 
The share of respondents who indicated their belief that the level of their work i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ir education and skills rose by 10.8 pp and 9.9 pp, respectively, from a decade ago.
In terms of the ratio of work-major discordance, the liberal art track increased by 6.5 pp from 35.9% to 42.4%, and the education track showed a 7.6 pp increase from 8.2% to 15.8% during the same period.
The proportion of incumbents who are preparing for new job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8.4% in 2006 to 17.7% in 2015.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7) 2017.01.01~201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