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따른 잠재집단별 특징

Characteristics of Job Preference Groupings of University Students
저자
박연복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08.15
등록일
2017.08.16
대학생들의 취업선호도는 근무환경 중시 집단(51.3%), 사회적 인정 선호 집단(19.1%), 직업선호 탐색 집단(29.7%)으로 유형화할 수 있음. 
여학생은 근무환경 중시 집단 비율(60.3%)이 남학생(47.4%)에 비해 높고, 남학생은 직업선호 탐색 집단의 비율(36.1%)이 여학생(14.7%)보다 높음.
아버지의 월평균 소득이 높은 학생들 사이에서는 사회적 인정을 선호하는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
전문대 재학생과 예체능계열 전공자는 특정한 직업선호를 보이는 비율이 낮음.
취업선호도에 따른 집단별 수능 평균 등급은 사회적 인정 선호 집단(3.85등급), 근무환경 중시 집단(4.81등급), 직업선호 탐색 집단(5.51등급) 순임. 
University stud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employment preference groups: those that place emphasis on their working environment (51.3%); a those that prefer social recognition (19.1%); and those that wish to further explore their job preference (29.7).
By gender, a larger proportion of women (60.3%, compared to 47.4% for men) put greater importance on the working environment, while a larger share of men (36.1%, compared to 14.7% for women) emphasized the desire to further explore job preferences.
Among students whose father had a high average monthly income, the proportion of the second group was higher.
For college students and those majori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the proportion of the last group was lower.
The second social recognition group averaged the highest score (3.85 score class) on the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followed by the first group (4.81), and the last group (5.51).\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7) 2017.01.01~201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