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 소득 지원: 한국과 OECD 국가 비교

Youth Income Support: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OECD Countries
저자
채창균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09.30
등록일
2017.09.28
한국의 경우 청년 실업자 중 실업급여(실업부조) 수급자 비율은 2014년 현재 3.1%로 OECD 국가(28.2%)의 1/10 수준에 지나지 않아, 실업급여가 청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으로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음.
실업급여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구직 청년(특히 저소득 가구 출신)의 유일한 의존처는 사회부조(주거급여 포함)이지만, 사회부조 수혜자 비율도 한국의 경우 청년 인구 대비 2%에 불과하여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편에 속함(OECD 평균은 15% 수준).
당장은 사회부조의 확대나 실업부조의 도입보다 청년층에 초점을 맞춘 별도의 지원 제도 도입이 필요함.
 In Korea, only 3.1% of the young unemployed received unemployment benefits(unemployment allowance) in 2014 as compared to that of the average 28.2% in OECD countries. The rate is just 1/10 of the OECD countries showing that unemployment benefits do not function properly as a social safety net for young people.  
 While the young job-seekers(especially those from low-income families) who don’t get to receive unemployment benefits rely on social assistance(including housing benefits), social assistance again is received by only 2% of the youth population in Korea(OECD average is 15%) ranking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At the mo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eparate support system focusing on youth population rather than expanding social assistance or introducing unemployment assistance.
*The full-text is available in Korean on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7) 2017.01.01~201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