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진단 결과 분석

Analysis on University Students’ Global Capabilities
저자
손유미 백영은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7.12.15
등록일
2017.12.14
수도권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은 평균 56.5점으로 비수도권 학생들(46.2점)보다 현저하게 높음.
전공계열별 글로벌 역량은 이공계열 학생이 48.1점으로 인문사회계열 학생(51.8점)보다 낮게 나타남.
학년별 글로벌 역량은 5학년 이상(60.8점), 4학년(55.7점), 3학년(49.9점), 2학년(49.6점), 1학년(45.8점) 순으로 높게 나타나, 고학년일수록 글로벌 역량 수준이 높음.
글로벌 환경에 대한 노출 정도에 따라 글로벌 역량의 격차가 나타남. 즉, 글로벌 환경 노출 정도가 높은 상위 25%의 글로벌 역량 수준은 58.8점인 반면, 하위 25%는 36.5점으로 큰 차이를 보임.
글로벌 역량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60.3점)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52.2점)보다 글로벌 역량이 높음.
The global capability score for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stands at 56.5,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46.2% for those in other regions.
The figure for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is 48.1, which is lower than that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ajors at 51.8.
The higher the school year, the higher the global capability score is. The figure stands at 60.8 for 5th year or higher, 55.7 for 4th year, 49.9 for 3rd year, 49.6 for 2nd year and 45.8 for the 1st year.
Exposure to global experience has been found to be the determinant of global capabilities. The score for the top 25% with the highest exposure to global experience stands at 58.8, which is considerably higher than 36.5 for the bottom 25%.
The score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global capability programs stands at 60.3, which is higher than 52.2 for those who haven’t.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7) 2017.01.01~2017.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