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사회정책 주요 지표 분석: 한국과 OECD 국가 비교

Analysis of Social Policies: Comparison of Indexes between Korea and Other OECD Members
저자
채창균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01.15
등록일
2018.01.15
사회정책의 대상이 되는 주요 지표들의 표준화 점수 전체 평균은 한국의 경우 -0.52점으로 나타나, OECD 35개국 중 29위로 하위권에 속함.
OECD 국가들과 비교해서 한국의 상황이 가장 좋지 못한 세부 지표는 자살률로, 표준화 점수가 -3.36에 달함. 자살률 다음으로는 GDP 대비 공공사회지출 수준(-1.78), 출산율(-1.32), 삶의 만족도(-1.04), 1인당 공공보건지출 부분(-1.01)이 상대적으로 취약함.
주요 사회정책 영역 중에서는 한국의 보건 지표가 OECD 35개국 중 33위, 형평성 지표는 30위로 최하위권임.
The average standardized score for major indexes - a basis for social policies - stands at -0.52 for Korea, which is 29th among 35 OECD member countries.
The largest gap between Korea and other OECD members exists in the suicide rate, with the standardized score for Korea at -3.36. Other areas for improvement in comparison to the OECD average include public social spending (-1.78), the fertility rate (-1.32), satisfaction with life (-1.04) and per-capita public spending on healthcare (-1.01).
With regard to key indexes relevant to social policies, Korea is ranked 33rd in healthcare and 30th in fairness among 35 members of the OECD.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2
수시 (단기수시)한국의 사회정책 주요 지표 분석 - OECD 사회지표를 중심으로 2017.11.01~2017.12.31 바로가기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