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층 학력·일자리·심리적 요인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How Youth’s Educational Attainment, Job,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Affects Marriage Execution
저자
주휘정 김민석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02.15
등록일
2018.02.13
대졸 이상·정규직·월 근로소득 400만 원 이상인 청년층의 결혼 이행 비율이 가장 높음.
월 근로소득이 400만 원 이상인 남자는 200만 원 미만인 경우보다 결혼 이행 가능성이 3.83배 높음.
고졸·비정규직·월 근로소득 200만 원 이하 청년층의 경우 자존감과 사회관계 만족도가 낮고, 결혼 이행 비율도 낮음.
학력·종사상 지위·근로소득 수준이 유사해도 자존감과 사회관계 만족도가 높아야 결혼 이행 가능성이 높음.
자존감이 높은 청년 남성은 자존감이 낮은 경우보다 결혼 이행 가능성이 3.48배 높고, 여성은 1.99배 높음.
The ratio of marriage execution is the highest for youth with undergraduate degrees, permanent jobs, and a monthly income of four million won or higher.
The possibility of marriage execution is 3.83 times higher for males with a monthly income of, or more than, four-million won than males with a monthly income less than two million won.
Graduates of high school and under, temporary employees, and those with a monthly income less than two million won, show low self-esteem and low level of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marriage execution rate is also found to be low.
With a similar level of education, social position, and income, higher self-esteem, and level of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ships increase the rate of marriage execution.
Male youth with higher self-esteem are 3.48 times more likely to execute marriage than those with a low level of self-esteem, and for female youth it is 1.99 times more likely.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