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보통교과 이수와 시민의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tion of General Subjects and Civic Awaren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저자
김영식 박환보
분류정보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03.15
등록일
2018.03.14
특성화고 학생들의 시민의식 수준(3.44점)은 일반고 학생들(3.60점)에 비해 0.16점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남(5점 만점 기준).
보통교과 수업시수 상위 50%에 해당하는 특성화고 재학생들의 시민의식(3.51점)은 하위 50%에 해당하는 특성화고 재학생들(3.41점)에 비해 0.10점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남.
성별, 학업성취 수준별에 관계없이 보통교과 수업시수가 늘어날수록 특성화고 학생들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특성화고 졸업생들이 전문직업인이자 건전한 사회구성원, 민주시민으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특성화고에서 보통교과 이수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되돌아보고,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간의 균형 있는 배분이 필요함.
The level of civic awaren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3.44 out of 5 points) is 0.16 points low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3.60 points).
The civic awaren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top 50% of general subject class hours (3.51 points) is 0.10 point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bottom 50% of general subject class hours (3.41 points)
The level of civic awarenes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s shown to increase as the class hours for general subjects increase, regardless of gender or academic achieve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completing general education subjec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balance allocation of special and general subjects in order for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to gain competency as a professional worker, a healthy member of the society, and a democratic citizen.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재개발 동향분석 연구 사업(2018) 2018.01.01~201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